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은(는) 일본 안에 위치해 있다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은(는) 홋카이도 안에 위치해 있다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
본진
UTC 시각1993-07-12 13:17:11
ISC 지진번호219326
USGS-ANSSComCat
현지일1993년 7월 12일
현지시간22시 17분 11초
규모   모멘트 규모 7.7
일본 기상청 규모 M7.8
최대 진도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진도 6 : 오쿠시리섬 (추정)
진원 깊이35 km
진앙일본 홋카이도 오쿠시리 섬 북쪽 앞바다
북위 42° 48′ 동경 139° 12′ / 북위 42.8° 동경 139.2°  / 42.8; 139.2[1]
종류역단층형 지진
피해
피해 지역홋카이도, 도호쿠 지방 북부
피해액약 1,243억엔
지진해일32 m: 일본 홋카이도 오쿠시리섬[2]
2.76m: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시 묵호진동[2]
사상자202명 사망, 28명 실종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일본어: 北海道南西沖地震 ほっかいどうなんせいおきじしん[*])은 1993년 7월 12일 오후 10시 17분 12초, 일본 홋카이도 오쿠시리군 오쿠시리정 북쪽 앞바다에서 일어난 지진이다. 릭터 규모는 7.8이고, 추정 진도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당시 기준 6으로 동해에서 발생한 지진으로서는 근대 이후 최대 규모 지진이다. 진원에 가까운 오쿠시리섬을 중심으로 화재쓰나미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사망자 202명와 행방불명자 28명이 발생했다. 게다가 러시아에서도 행방불명자가 3명 있었다. 진도가 추정인 이유는 당시 오쿠시리 섬에 지진계가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2]

지진학적 개요

진원북위 42° 48′ 동경 139° 12′ / 북위 42.8° 동경 139.2°  / 42.8; 139.2, 깊이 35km이며, 유라시아판북아메리카판의 판 경계인 사할린에서 니가타 앞바다로 이어지는 동해 동연 변동대에 있는 오쿠시리 해령 바로 아래에서 발생했다. 기상청이 발표한 릭터 규모는 7.8, 모멘트 규모(Mw)는 7.7이다. 진원 단층의 일부는 오쿠시리 해령의 동쪽 끝에 노출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 지진의 원인인 활단층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3].

메커니즘

여러 연구 기관에서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졌다.[4]

  • 단층 모델: '동서 방향으로 수평 압축 축을 가진 역단층'이라는 설 외에도 "파괴 영역의 북쪽 끝 지점에서는 동쪽 경사, 나머지 북쪽 절반은 완만한 서쪽 경사, 남쪽 절반은 서쪽 경사[3]'라는 설도 있다.
  • 파괴 시작점: 동경 139.183°, 북위 42.780°, 깊이 20km 파괴 전파 속도는 3.2km/s
  • 단층의 길이: 120km. 여진 지역은 남북으로 150km.

2 ~ 3개의 어스패러티가 파괴되어 발생한 지진으로 분석되고 있다. 첫 번째 파괴에서 20초 후에 남쪽 영역에서 다음 파괴가 일어났으며, 그 10초 후에 다른 영역이 파괴되었다. 전체 파괴 지속 시간은 40초이다.[5]

전조 활동

특이한 융기나 전진(前震)은 관측되지 않았으며 지진을 예측할 수 없었다. 후일의 해석은 1992년경부터 이번 진앙 부근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984년 3월 18일부터 5월 10일까지 오쿠시리토 최대 M4.1를 관측한 군발지진[6]이 발생했지만, 1988년경까지는 조용한 상태가 계속되고 있었다.

여진

  • 7월 20일 M5.1 8월 8일 M6.5

진도

진도 3 이상을 관측한 지점은 다음과 같다.

진도 도도부현 시구정촌
6 홋카이도 오쿠시리정 (추정)
5 홋카이도 에사시 정 오타루시 슷쓰정
아오모리현 후카우라정
4 홋카이도 하코다테시 굿찬정 무로란시 도마코마이시
아오모리 아오모리 무쓰시
3 홋카이도 삿포로시 이와미자와시 하보로정 루모이시 오비히로시
아오모리 하치노헤시
아키타현 아키타시

지진 해일

진앙이 섬 바로 근처였기 때문에 지진 발생 후 몇 분만에 거대한 쓰나미가 오쿠시리섬에 도달했다.[7] 지진 발생 4~5분 후 오쿠시리섬 맞은편에 있는 홋카이도 서남쪽 해안 세타나정다이세이정(현 세타나정)에도 닿았다. 또한 야간에 지진이 일어났기 때문에 쓰나미를 촬영한 영상이나 사진이 나오지 않았다.[8]

높은 쓰나미가 들이닥친 이유로 모나이 서쪽 15 km 해역에서 발생한 해저 산사태가 원인으로 지목된다.[8][9] 이 지진으로 발생한 쓰나미는 약 1시간 후에는 노토반도에, 약 3시간 후에는 규슈 북부 연안까지 도달했다.[10]

쓰나미 높이를 분석하면 진원으로부터 만들어진 쓰나미에 바로 직격당한 오쿠시리섬 서쪽에서 가장 높았으며, 모나이 지구에선 최대소상고 31.7 m를 기록했다.[8] 조사에 따라서는 최대 30.6 m라는 연구도 있다.[11] 그 외 쓰나미 높이(파고)는 오쿠시리섬 내에서는 이나호 지구 8.5 m, 오쿠시리 지구 3.5 m, 하쓰마사키 지구 16.8 m가 기록되었다. 쓰가루 해협에서는 오마항에서 1.0 m로 제일 높은 쓰나미를 관측했다. 또한 대한민국에도 쓰나미가 퍼져 울릉도에 119 cm, 속초시에 276 cm, 동해시 묵호항에 203 cm, 포항시에 92 cm의 쓰나미가 닥쳤다.[12]

보도 상황

같이 보기

각주

  1. 日本付近のおもな被害地震年代表 보관됨 2021-05-24 - 웨이백 머신 - 日本地震学会
  2. “Tsunami Event”. 2021년 6월 20일에 확인함. 
  3. 오카무라 유키노부: 동해 동쪽 가장자리의 지질 구조와 진원 단층과의 관계 지질학 잡지 Vol. 116 (2010) No.11 P 582-591
  4. 지진예지연락회 회보 제51권
  5. 1993년 홋카이도 남서쪽 앞바다 지진 (M7.8)의 특성화 진원 모델 항만공항기술연구소 지진방재연구영역 내진구조연구팀 지진동연구팀
  6. 1984년 오쿠시리토 군발 지진 활동 보관됨 2015-04-02 - 웨이백 머신 홋카이도 대학 이학부 지구 물리학 교실
  7. 유균 특파원 (1993년 7월 13일). “일본 훗카이도 오쿠시리섬 지진 해일 강타”. 《KBS 9시뉴스》. 
  8. 首藤伸夫 ほか、北海道南西沖地震津波の特徴と今後の問題 海岸工学論文集 1994年 41巻 p.236-240, doi:10.2208/proce1989.41.236
  9. 北海道南西沖地震震源域の海底変動調査と余震観測 地震予知連絡会 会報 第53巻 (PDF)
  10. 見上敏文、柴木秀之、後藤智明、北海道南西沖地震津波の二・三の特徴について 海洋開発論文集 1994年 10巻 p.259-264, doi:10.2208/prooe.10.259
  11. 加藤健二、都司嘉宣:1993年北海道南西沖地震の 断層要素の推定とその津波の特性 東京大学地震研究所彙報. 第69冊第1/2号, 1994.9.30, pp.39-66, hdl:2261/13124
  12. 엄기영 앵커 (1993년 7월 13일). “오늘 새벽 강원도 해안 해일로 인해 53척 침몰,파손”. 《MBC뉴스데스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