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베르토 안토니오 페타지니 (Roberto Antonio Petagine , 1971년 6월 7일 ~ )는 베네수엘라 의 야구선수이다.
경력
야쿠르트 와 요미우리 에서 팀의 중심 타선으로 활약했다. 장타력, 선구안, 스피드를 고루 갖춘 타자라는 평을 받았으며 삼진도 잘 당하지 않았다. 땅볼을 잡은 뒤의 후속 처리가 능숙하여 1루수로 시즌 최다 보살 기록을 갖고 있으며 골든 글러브상을 3회 받았다.
1999년 야쿠르트 스왈로스 에서 첫시즌 134경기 출장 147개의 안타, 44개의 홈런, 112타점, 타율 3할2푼5리의 성적을 기록했다. 2002년에는 146안타, 41홈런을 기록. 다음 해인 2003년 요미우리 자이언츠 로 이적, 4번타자로서 활약했다. 일본 통산 756게임 813안타 223개의 홈런 813타점을 기록했다. 통산타율은 3할1푼7리.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시절 7억 2천만 엔,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절 7억 엔 으로 역대 일본 프로 야구 연봉 킹의 자리를 차지했다.
2005년 메이저 리그 보스턴 레드삭스 산하 트리플 A 팀 포터켓과 계약, 동년 8월 메이저 리그 로 승격하여 8월 5일 캔자스시티 전에서는 1루수에 4번 타자로 선발 출장했다. 2006년 스프링 캠프 초대 선수 자격으로 시애틀 매리너스 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다. 그 해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일본 국가대표팀과의 연습 경기에서 홈런을 치기도 했다. 개막전에서 프란시스코 로드리게스 로부터 대타 홈런을 기록하나 시즌 중 부진을 이유로 방출되어 잠시 야구계에서 은퇴하게 된다.
2008년 멕시칸 리그 멕시코시티 레드 데블스 로 이적하여 현역에 복귀했으며, 그 해 5월 대한민국 LG 트윈스 와 계약했다.
2008년 5월에 LG 트윈스 와 계약한 후 4번 타자로 활약했다. 9월 왼쪽 발바닥 부상으로 많은 경기를 뛰지 못했고 LG 트윈스 가 최하위를 기록했음에도 불구, 준수한 활약을 보여 주어 2009년 까지 활약했다.
2009년 4월 10일 두산 베어스 와의 경기에서 본인의 프로 야구 경력 최초의 3연타석 홈런을 기록했다. 3번째 홈런은 9회 말 4:5로 뒤지고 있던 상황에서 8:5로 역전시킨 끝내기 만루 홈런이었다.
공격력이 탁월하여 ‘페타신’[ 1] 이라는 별명이 붙었으며, 1971년 생이어서 나이가 많다는 특성 때문에 ‘페타옹’이라는 별명도 있다.
하지만 그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LG 트윈스 는 포스트 시즌에 계속 실패하여 김재박 감독의 계약이 만료되었고, 후임 박종훈 감독은 용병을 모두 투수 로 운용하겠다고 하여 그 때부터 그의 재계약이 수면위에 올랐다. 그리고 그는 연봉 100만 달러를 원하였고, 거기에 무릎 상태가 좋지 않게 되면서 재계약하지 않게 되었다.[ 2] 때마침 이 때 LG 트윈스 의 리빌딩과 맞물려 이택근 의 트레이드 추진까지 겹치면서 페타지니는 재계약이 불투명하던 때였고, 그가 떠난 후 그의 백넘버는 이후 트레이드된 이택근 에게 넘어갔다.
2010년 4월 15일 소프트뱅크 와 연봉 4,000만 엔의 조건으로 계약을 맺고 6년 만에 일본 프로 야구 로 복귀했다. 81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할6푼1리 10홈런 41타점을 기록하며 나쁘지 않은 활약을 보였으나 2010년 11월 15일 소프트뱅크 가 재계약을 포기하여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3]
특기 사항
부인은 25세 연상인 올가로, 고등학교 시절 친하게 지낸 미셸이라는 친구의 의붓 어머니이다.[ 4] 그리고 페타지니는 베네수엘라 출신이지만, 미국 국적이어서 2009년 8월 8일 에는 부인의 미국 시민권 심사 문제로 잠시 미국 으로 출국하기도 했다.[ 5]
연도별 타격 성적
연 도
소 속
경 기
타 석
타 수
득 점
안 타
2 루 타
3 루 타
홈 런
루 타
타 점
도 루
도 루 자
희 생 번
희 생 플
볼 넷
고 4
사 구
삼 진
병 살 타
타 율
출 루 율
장 타 율
O P S
1994년
HOU
8
8
7
0
0
0
0
0
0
0
0
0
0
0
1
0
0
3
0
.000
.125
.000
.125
1995년
SD
89
152
124
15
29
8
0
3
46
17
0
0
2
0
26
2
0
41
2
.234
.367
.371
.738
1996년
NYM
50
113
99
10
23
3
0
4
38
17
0
2
1
1
9
1
3
27
4
.232
.313
.384
.696
1997년
12
18
15
2
1
0
0
0
1
2
0
0
0
0
3
0
0
6
0
.067
.222
.067
.289
1998년
CIN
34
79
62
14
16
2
1
3
29
7
1
0
0
1
16
0
0
11
2
.258
.405
.468
.873
1999년
야쿠르트
134
576
452
97
147
23
2
44
306
112
10
1
0
1
116
6
7
91
13
.325
.469
.677
1.146
2000년
136
588
484
91
153
30
0
36
291
96
7
2
0
3
97
7
4
116
7
.316
.432
.601
1.033
2001년
138
592
463
93
149
27
0
39
293
127
4
1
0
2
120
13
7
89
11
.322
.466
.633
1.099
2002년
131
552
453
90
146
23
1
41
294
94
0
1
0
3
85
9
11
106
6
.322
.438
.649
1.087
2003년
요미우리
100
414
331
70
107
17
0
34
226
81
1
0
0
1
77
9
5
72
8
.323
.457
.683
1.139
2004년
117
467
383
70
111
17
0
29
215
84
2
1
0
4
75
5
5
76
14
.290
.409
.561
.970
2005년
BOS
18
36
32
4
9
2
0
1
14
9
0
0
0
0
4
0
0
5
3
.281
.361
.438
.799
2006년
SEA
31
32
27
3
5
2
0
1
10
2
0
0
0
0
4
0
1
10
0
.185
.313
.370
.683
2008년
LG
68
259
216
29
75
17
1
7
115
35
1
0
0
1
40
1
2
26
5
.347
.452
.532
.984
2009년
115
498
388
62
129
16
0
26
223
100
2
0
0
6
97
9
7
70
7
.332
.468
.575
1.043
2010년
소프트뱅크
81
307
264
34
69
12
0
10
111
41
0
0
0
4
39
2
0
72
12
.261
.352
.420
.772
MLB:7年
242
438
366
48
83
17
1
12
138
54
1
2
3
2
63
3
4
103
11
.227
.345
.377
.722
NPB:7年
837
3496
2830
545
882
149
3
233
1736
635
24
6
0
18
609
51
39
622
71
.312
.438
.613
1.051
KBO:2年
183
757
604
91
204
33
1
33
338
135
3
0
0
7
137
10
9
96
12
.338
.462
.560
1.022
참고 문헌
외부 링크
투수
마이클 앤더슨 (1998)
데니 해리거 (2000~2001)
더그 린튼 (2001)
에프레인 발데스 (2001)
제프 케펜 (2002)
라벨로 만자니오 (2002)
에드윈 후타도 (2004)
브라이언 쿠퍼 (2004)
레스 왈론드 (2005)
아마우리 텔레마코 (2006, 퇴출)
매니 아이바 (2006, 퇴출)
버디 카라이어 (2006, 퇴출)
라이언 베로커 (2006, 퇴출)
크리스 옥스프링 (2007~2009, 퇴출)
팀 하리칼라 (2007, 퇴출)
제이미 브라운 (2008, 퇴출)
릭 바워 (2009, 퇴출)
제레미 존슨 (2009)
오카모토 신야 (2010)
에드가르 곤살레스 (2010, 퇴출)
필 더마트레 (2010)
벤자민 주키치 (2011~2013)
레다메스 리즈 (2011~2013)
코리 리오단 (2014)
에버렛 티포드 (2014)
루카스 하렐 (2015)
헨리 소사 (2015~2018)
스콧 코플랜드 (2016, 퇴출)
데이비드 허프 (2016~2017)
타일러 윌슨 (2018~2020)
케이시 켈리 (2019~2024, 퇴출)
앤드류 수아레즈 (2021)
아담 플럿코 (2022~2023)
디트릭 엔스 (2024)
엘리에이저 에르난데스 (2024~)
요니 치리노스 (2025~)
코엔 윈 (2025~)
타자
후니오르 펠릭스 (1998~1999)
케빈 대톨라 (1999)
찰스 스미스 (2000)
브렌트 쿡슨 (2000, 2003, 퇴출)
짐 테이텀 (2000, 퇴출)
댄 로마이어 (2001, 퇴출)
매니 마르티네스 (2002~2003)
톰 퀸런 (2002, 퇴출)
이지 알칸트라 (2003)
알 마틴 (2004)
루 콜리어 (2005)
루벤 마테오 (2005, 퇴출)
페드로 발데스 (2007)
로베르토 페타지니 (2008~2009)
조쉬 벨 (2014, 퇴출)
브래드 스나이더 (2014)
잭 한나한 (2015, 퇴출)
루이스 히메네스 (2015~2017, 퇴출)
제임스 로니 (2017, 퇴출)
아도니스 가르시아 (2018)
토미 조셉 (2019, 퇴출)
카를로스 페게로 (2019)
로베르토 라모스 (2020~2021, 퇴출)
저스틴 보어 (2021)
리오 루이즈 (2022, 퇴출)
로벨 가르시아 (2022, 퇴출)
오스틴 딘 (2023~)
한국 프로 야구 외국인 선수 제도는 1998년부터 시행, 굵은 글씨는 현재 LG 트윈스 소속 선수, 퇴출은 시즌 중도에 퇴출된 경우
SK 와이번스
두산 베어스
한화 이글스
삼성 라이온즈
LG 트윈스
히어로즈
롯데 자이언츠
KIA 타이거즈
SK 와이번스
두산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삼성 라이온즈
한화 이글스
KIA 타이거즈
히어로즈
LG 트윈스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1972년부터 1985년까지는 다이아몬드 글러브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