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프로 야구 최우수 선수
![]() 일본 프로 야구에서 최우수 선수(일본어: 最優秀選手)는 1937년 춘계 대회 때부터 수상을 실시하여 현재 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 각각 1명씩의 수상자를 선정하는 일본 프로 야구 타이틀 중의 하나이다. 또한 일본 프로 야구에서는 정규 시즌 외에도 일본 시리즈, 올스타전에서 각각 MVP를 선정한다. 정규 시즌 MVP개요1937년 춘계 대회부터 수상을 시작했는데 당초의 명칭은 최고 수훈 선수( 수상자 선정은 프로 야구를 취재하는 기자단 투표에 의해서 이뤄지는데 투표 자격을 가진 기자는 전국의 신문, 통신사, 각 방송국에 소속되어 있으며 5년 이상 프로 야구 취재를 담당하고 있는 사람에게 자격이 주어진다. 투표 용지에는 3명의 선수 이름을 기입하여 1위에겐 5점, 2위에겐 3점, 3위에겐 1점의 포인트가 배분돼 그 합계가 가장 많은 선수가 선출된다. 또 엄정을 요하기 때문에 오·탈자를 시작으로, 틀리면 다음 연도의 투표 자격이 없어진다.[1] 제정 당초에는 선정 위원(리그 관계자와 기자)에 의해 선정하고 있었다. 1949년에는 기자 투표제를 도입, 첫 해에는 5명 연기제였지만 다음 연도부터 단기제가 되었고 1963년부터는 3명 연기제로 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발표 시기양대 리그 분열 이후의 발표 시기는 몇 차례의 과정과 변천을 겪었다. 분열 직후인 1950년과 1951년에는 일본 시리즈가 종료 며칠 후에 발표했지만[주 1] 1952년에 센트럴 리그는 일본 시리즈 개막 이틀 전에, 퍼시픽 리그는 일본 시리즈가 종료 이틀 후로 나뉘었고 1953년은 일본 시리즈 도중에 발표, 1954년부터 1962년까지는 시즌 도중에 투표 마감이 이뤄져 발표도 일본 시리즈 개막 전으로 리그 우승이 결정된 이후였지만 대개 정규 시즌이 종료되기 전이었다.[주 2] 1956년과 1957년에는 양대 리그 사무국에서 발표했기 때문에 각 리그에서 다른 날에 발표되었다. 1963년부터 2004년까지는 일본 시리즈 종료 이튿날에 행해졌고 2005년 이후에는 일본 야구 기구가 주최하는 시상식인 ‘프로 야구 컨벤션’ 당일에 발표하게 되어있다. 선출 경향‘최고 수훈 선수’로서 제정된 당초부터 ‘소속 팀의 성적에 관계없이 가장 가치있는 선수’ 또는 ‘소속 팀의 우승에 가장 기여한 선수’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초기에는 버키 해리스나 가리타 히사노리가 전자의 입장에서는 선택되고 있었지만 점차 후자의 경향이 강해졌다. 한신 타이거스의 구단 역사를 다룬 책인 《한신 타이거스 - 쇼와의 발자취》(1991년)에서는 1946년에 우승한 그레이트 링의 야마모토 가즈토(타점왕)가 선정 위원의 만장 일치로 선정된 것이 “우승 팀에 한정된 선출”의 발단이라는 견해가 나타났다.[주 3] 이 책에는 “MVP를 일본어 번역한 ‘최고 수훈’을 고집하다보면 어떻게 해도 ‘우승’에 연결된다”고 쓰여있다. 1949년에 6위팀에서 선정된 후지무라 후미오에 대해서는 그 해에 도입된 5명 연기제가 유리하게 작용했다고 《한신 타이거스 - 쇼와의 발자취》에는 기록되어있다. 또한 이 후지무라의 선출에 관해서는 이노우에 쇼이치가 《한신 타이거스의 정체》(오타 출판, 2001년)에서 오이 히로스케의 저서 《타이거스사》(베이스볼 매거진사, 1958년)에 있는 ‘마이니치 신문계의 표가 집중적으로 후지무라에게 쏠렸다’라는 기술을 소개해 당시 프로 야구 재편 문제로 마이니치 구단 측에 흡수될 것인가에 의심을 품었던 한신을 막은 일환으로서 그와 같은 일이 일어난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2] 이 해에 1위는 7점, 2위는 4점으로 이하 5위까지 1점씩 적게 되는 방식이었다. 후지무라와 차점자인 지바 시게루와는 1위와 같은 수로 2위 이하의 득표 수에서 차이가 났다. 발표 시의 요미우리 신문 기사(1949년 12월 1일)에서는 동료 후지모토 히데오나 가와카미 데쓰하루와의 사이에 2, 3위의 표가 분산된 것이 지바가 패배한 원인이라고 밝혔다. 그 다음해부터 투표는 단기제가 되었고 ‘우승 팀에서의 선출’이 불문율이 되어갔다.[주 4] 그 후 ‘원칙적으로 우승 팀에서 뽑는다’라는 조항이 설정되어 우승 팀에서의 선출이 계속되었다.[주 5] 또한 퍼시픽 리그는 최우수 투수 제정 이후 1953년부터 1955년까지는 ‘최고 수훈 선수의 대상에는 투수를 포함하지 않는다’였다. 1963년에 ‘최우수 선수’로 변경되었을 때 위에서 말한 조항은 삭제되었지만 그 후에도 리그 최고 승률 팀에게서 선정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2위 이하의 팀에 소속하는 선수는 가장 드문 성적이나 기록을 남겼을 경우에 선정되는 경우가 있지만 1986년에 센트럴, 퍼시픽 양대 리그에서 타격 부문 3관왕을 차지한 랜디 바스(한신 타이거스), 오치아이 히로미쓰(당시 롯데 오리온스)는 선정되지 못했다.[주 6] 그 때문에 ‘가장 활약한 선수’의 개념에 대해선 아래 두 가지의 경우 선정 결과에 의문이 제기되는 경우가 있다.
정규 시즌 우승팀 이외에서 MVP로 선정된 사례는 양대 리그제 출범 이후 센트럴 리그에선 2회, 퍼시픽 리그에선 10회를 기록했다. 또, 정규 시즌 최고 승률이 아닌 팀에게서 MVP로 선정된 사례는 양대 리그제 출범 이후 센트럴 리그는 2회, 퍼시픽 리그는 8회였는데 B클래스 팀에서 MVP는 한층 드물었는데 1982년 오치아이 히로미쓰(롯데 오리온스), 1988년 가도타 히로미쓰(당시 난카이 호크스), 2008년 이와쿠마 히사시(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등 3명 뿐이다(모두 퍼시픽 리그 정규 시즌 5위를 기록한 구단이며 센트럴 리그 B클래스 구단 및 양대 리그 최하위 구단에서의 선정은 없었다). 더욱이 퍼시픽 리그에서 전·후기 제도가 시행된 1973년 ~ 1982년에는 전기·후기 중 한 곳에서 최고 승률을 기록하면서도 플레이오프에서는 패하여 ‘우승 = 일본 시리즈 출장’을 놓친 구단에서 선정된 사례는 전무하다. 2004년 ~ 2006년까지 퍼시픽 리그에서 “정규 시즌 최고 승률 구단과 ‘우승 팀 = 일본 시리즈 출장 구단’이 다를 가능성이 생기는” 플레이오프가 실시되던 시기 및 2007년부터 현재에 이르는 클라이맥스 시리즈 제도 하에서는 정규 시즌 2위 이하인 팀이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이기고 올라와 일본 시리즈에 출전한 경우 해당 팀에서 MVP가 나온 사례는 없었다.[주 7] 메이저 리그에 비해 투수가 선정되는 빈도가 높으며(메이저 리그에서는 최고의 투수에게 주어지는 사이 영 상이 있기 때문에 투수가 MVP로 선정되는 일은 거의 없다) 타자 중에서는 홈런과 타점이 가장 많은 타자에게 MVP로 뽑히기 쉽다. 투수는 선발 완투한 투수가 선정되는 경우가 많은데 베스트 나인과 비교하면 구원 투수가 선출 횟수가 많다.[주 8] 역대 수상자단일 리그 시대
센트럴 리그
퍼시픽 리그
주요 기록![]()
일본 시리즈 MVP1950년 제1회 대회 때부터 시상을 실시하여 정식 명칭은 최고 수훈 선수이다. 일본 시리즈 우승팀 선수 중에서 팀 우승에 기여한 선수에게 주어지며 일본 시리즈가 종료된 직후에 발표된다. 1954년 제5회 대회부터 2006년 제57회 대회까지는 수상자에게 토요타 자동차(히로시마 도요 카프가 우승했을 경우에는 마쓰다)가 제공하는 자동차 한 대를 부상으로 주어졌다. 원칙적으로는 1명이지만 1962년에는 우승 상품이 많았던 것과 우승에 기여한 선수가 많았다는 것부터 유일하게도 2명에게 선정돼 도에이 플라이어스의 도바시 마사유키가 자동차, 다네모 마사유키는 그 외의 상품을 서로 나누기도 했다. 월간 MVP미국 메이저 리그의 ‘The Player of the Month award’(월간 MVP)를 참고로 시작된 상으로 당초에는 양대 리그에서 각각 가장 활약했던 선수를 전체 포지션 중 1명을 선정하여 시상하고 있었다. 원래는 투수와 야수를 포함해 양대 리그에서 매달 한 사람씩 선정했지만 1989년부터 투수 부문, 타자 부문(투수 이외)으로 확대해 양대 리그에서 매달 한 사람씩 선정하고 있다. 또한 현재 상의 정식 명칭은 ‘닛폰 생명 월간 MVP’(日本生命月間MVP)이며 닛폰 생명 보험이 스폰서를 맡고 있다. 교류전 MVP2005년 제1회 센트럴·퍼시픽 교류전부터 시상하여 정식 명칭은 최우수 선수상이다. 매년 최고 승률 구단 = 우승팀에서 우승에 가장 기여한 선수가 수여된다. 플레이오프 MVP1973년부터 1982년까지 10년간 퍼시픽 리그에서만 실시된 2시즌제에 따른 플레이오프에서의 시상이다. 1973년부터 시상하여 정식 명칭은 최우수 선수인데, 매년 우승 팀 선수들 가운데 1명을 선정했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간 같은 퍼시픽 리그에서만 실시된 플레이오프에서는 MVP를 선정하지 못했다. 클라이맥스 시리즈 MVP퍼시픽 리그에서는 2007년, 센트럴 리그에서는 2008년부터 시상하고 있으며 파이널 스테이지(제2 스테이지) 승리 팀에서 1명을 선정한다. 2007년과 2010년에 퍼시픽 리그에서만 제1 스테이지에서도 선정됐다. 올스타전 MVP1951년 제1회 대회 때부터 시상하고 있으며 정식 명칭은 최우수 선수상이다. 올스타전 각 경기에서 가장 맹활약한 선수에게 주어진다. 경기 종료 후에 발표되고 구장에서 시상식을 가진다. 플래시 올스타전에서도 각 경기마다 MVP를 선정한다. 주간 MVP이것은 연맹 공식 시상은 아니지만 후지 TV의 장수 프로그램 《프로 야구 뉴스》에서 1988년까지 이뤄진 것이다. 이것도 메이저 리그의 주간 MVP 제도를 참고로 만들어진 것으로 프로 야구 뉴스의 스태프·해설자가 한 주간의 경기에서 각각의 팀에서 가장 활약한 선수를 1명씩 추천해 매주 월요일 방송에서 센트럴·퍼시픽 각각의 주간 MVP를 1명씩 선정하여 시상한다는 제도였다. 각주주해
출전
같이 보기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