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군론에서, 멱영 리 대수(冪零Lie代數, 영어: nilpotent Lie algebra)는 유한한 길이의 내림 중심렬을 갖는 리 대수이다.
정의
가환환
위의 리 대수
의 내림 중심렬(-中心列, 영어: lower central series)은 다음과 같다.

![{\displaystyle {\mathfrak {g}}_{i+1}=[{\mathfrak {g}}_{i},{\mathfrak {g}}]}](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08536505fa013ddea62b5a6d73299d4c7571137e)

만약 어떤 자연수
에 대하여
이라면,
를 멱영 리 대수라고 한다. (
은 유일한 0차원 리 대수이다.) 즉, 다음 명제가 성립하는 자연수
이 존재해야 한다.
![{\displaystyle [x_{1},[x_{2},[x_{3},\dotsb [x_{n},y]\dotsb ]]]=0\qquad \forall x_{1},\dotsc ,x_{n},y\in {\mathfrak {g}}}](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649d7e5267d1db21aedef03b3048f1f04322e333)
가환환
위의 리 대수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엥겔 조건 리 대수(영어: Engel condition Lie algebra)라고 하자.
가 되는 함수
가 존재한다.
멱영 리 군
라고 하자. 리 군
의 리 대수가
-리 대수
라고 할 때,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1]:105
- 항등원을 포함하는 연결 성분
은 (군으로서) 멱영군이다.
는 멱영 리 대수이다.
성질
멱영 리 대수의 킬링 형식은 0이다.
포함 관계
임의의 가환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성립한다.
-아벨 리 대수 ⊆
-멱영 리 대수 ⊆
-가해 리 대수 ⊆
-리 대수
-멱영 리 대수 ⊆
-엥겔 조건 리 대수 ⊆
-리 대수
엥겔 정리에 따르면, (임의의 표수의) 체
위의 유한 차원 엥겔 조건 리 대수는 항상 멱영 리 대수이다.[1]:46, Theorem 1.35
연산에 대한 닫힘
멱영 리 대수의 모든 부분 리 대수는 멱영 리 대수이다. 멱영 리 대수의 모든 몫 리 대수 역시 멱영 리 대수이다.
예
체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정사각 행렬들의 집합을 생각하자.

즉, 대각 성분이 0인 상삼각 행렬의 집합이다. 이는
의 부분 리 대수를 이루며, 또한 멱영 리 대수이다. 구체적으로,
의
번째 내림 중심열은 0이다. 엥겔 정리에 따라서, 모든 멱영 리 대수는 충분히 큰
에 대한
의 부분 리 대수로 나타낼 수 있다.
역사
엥겔 정리는 프리드리히 엥겔(독일어: Friedrich Engel)이 1890년 7월 20일 빌헬름 킬링에게 보낸 편지에서 대략적으로 증명하였다. 이후 엥겔의 제자 카를 아르투어 움라우프(독일어: Karl Arthur Umlauf)가 1891년 박사 학위 논문에서 이 정의의 완전한 증명을 제시하였다.[2]
참고 문헌
외부 링크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