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ocialblade.com/youtube/channel/UCZg3pD3U-TvH62zbZDMXsGg/achievements 위 링크는 소셜블레이드 라이브를 일일 라이브로 확인할수있는 사이트 입니다. 저 사이트에서도 17년 9월 1일을 마지막 끝으로 84만명이라고 기재되어있습니다. 또한 85만명이라고 제가 말씀 드렸던 이유는 소셜블레이드 사이트 특성상 다음날 기준으로 구독자가 리셋 갱신이 됩니다. 그말은 즉슨 9월 1일 영구정지를 당한 당일 구독자는 약852,000명이었고 ~ 9월 2일로 리셋 갱신된 정보는 나오지 않은채 정지를 9월 1일날 당하여 84만명에서 멈춰있습니다.
죄송합니다만 저는 위키백과의 정책을 따를 뿐입니다. 귀하의 말씀의 신빙성을 의심하는 것이 아닙니다. 단지 신뢰할 수 있는 출처가 있어야지 등재가 가능하기에 계속 요구하는겁니다. 나무위키 또한 근거가 될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본인이시면 구독자 정보에 대한 사진이 없으신지요?? -- ginaan(˵⚈ε⚈˵)★2022년 5월 18일 (수) 09:30 (KST)답변
https://socialblade.com/youtube/channel/UCZg3pD3U-TvH62zbZDMXsGg/achievements 위 링크는 소셜블레이드 라이브를 일일 라이브로 확인할수있는 사이트 입니다. 저 사이트에서도 17년 9월 1일을 마지막 끝으로 84만명이라고 기재되어있습니다. 또한 85만명이라고 제가 말씀 드렸던 이유는 소셜블레이드 사이트 특성상 다음날 기준으로 구독자가 리셋 갱신이 됩니다. 그말은 즉슨 9월 1일 영구정지를 당한 당일 구독자는 약852,000명이었고 ~ 9월 2일로 리셋 갱신된 정보는 나오지 않은채 정지를 9월 1일날 당하여 84만명에서 멈춰있습니다.
https://socialblade.com/youtube/channel/UCZg3pD3U-TvH62zbZDMXsGg/achievements
위 링크는 소셜블레이드 라이브를 일일 라이브로 확인할수있는 사이트 입니다.
저 사이트에서도 17년 9월 1일을 마지막 끝으로 84만명이라고 기재되어있습니다.
또한 85만명이라고 제가 말씀 드렸던 이유는 소셜블레이드 사이트 특성상 다음날 기준으로 구독자가 리셋 갱신이 됩니다.
그말은 즉슨 9월 1일 영구정지를 당한 당일 구독자는 약852,000명이었고 ~
9월 2일로 리셋 갱신된 정보는 나오지 않은채 정지를 9월 1일날 당하여 84만명에서 멈춰있습니다.
위키백과 보니까 84만명에서 또 80만명으로 수정하셨던데 일부로 이러시는건가요??
답변이 늦었습니다. en:Social Blade라는 사이트는 저도 처음 알았는데, 님께서 신태일씨가 맞다면 아마도 팬들의 집단지성이 발휘된 결과물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조금 더 찾아 보니 영어판에서도 작년 8월 비슷한 문의가 있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 코타쿠 기사에서 보듯이 유튜브가 구독자수를 잘 못잡아내는 타사 서비스 중 하나로 소셜 블레이드를 직접 언급했다는 것입니다. 문제가 있는 출처를 대형 유튜버 문서에 허용하게 되면 다른 곳에서도 똑같은 요구를 하기에 저희 출처 방침상 받아들이기는 힘듭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84만명에서 또 80만명으로 수정하셨던데 일부로 이러시는건가요??"는 편집 요약에서 말씀드렸듯이 "신뢰할 수 없는 출처를 근거로 한 정보는 당사자라도 기재 불가"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신태일씨뿐 아니라, 모든 생존 인물 관련 문서에 적용되는 정책입니다. 다만 2018년으로 기재한 것은 제가 잘못 적은 것이 맞고, 세계일보 기사를 참조한 바 2017년 8월 14일 기준 구독자 수가 '83만명'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확인 가능한 출처 중 가장 큰 수치입니다. 지금 이 수치로 바꿔드리겠습니다.
만일 이로써도 마음에 들지 않으신다면 본인의 인스타그램에 '내 구독자 85만명이었는데 언론들은 시정 바랍니다' 등 글을 올린 후, 신뢰할 수 있는 언론사에서 다뤄주기를 기다리는 것도 방법입니다. (여기서 신뢰할 수 있는 언론사란, 단순 인터넷 게시글 복사+붙여넣기로 악명 높은 처널리즘 언론사 -인사이트 (언론), 톱스타뉴스, 위키트리-등을 제외한 것을 말합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오로지 님의 인스타그램만이 출처라 신빙성이 아쉬우나, 논란이 되는 정보는 아니라 크게 문제되지는 않으리라 봅니다. 인터뷰를 하신다면 더더욱 좋습니다.
@호로조, 기나ㅏㄴ: 늦은 시간에 염치없습니다만, 이번 사안이 백:생존 관련이기도 하거니와, 사용자가 위키백과는 처음이라는 점을 감안해서, ginaan님께 직접 사과드린다는 조건으로 한 번만 선처 부탁드려도 괜찮으시겠습니까? 분명 무례한 행동은 맞으나, 제가 보기에는 반성하고 있는 바, 적절한 안내로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도 보입니다. 물론 ginaan께 사과드린다는 전제 하에 말입니다. Reiro (토론) 2022년 5월 19일 (목) 01:05 (KST)답변
귀하는 지금 기한이 정해진 활동 제한을 받으신 것이고, 이 기한이 지나면 편집을 재개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그 기한을 줄이는 것이 차단한 관리자의 권한으로도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확인이 필요할 듯 싶습니다. --호로조 (토론) 2022년 5월 19일 (목) 11:03 (KST)답변
@호로조: 본래는 제가 해도 상관은 없겠습니다만, 결정 내린 호로조님 의견을 듣고 싶어서 그랬습니다.
그리고 신태일님께 다시 말씀드리지만 소셜 블레이드의 신뢰성에 대한 비판이 다름아닌 유튜브 자체에서 나온 데다, 저 영어 위키백과의 문의글은 불과 작년입니다. 저 문의글에서 나온 다른 비판으로는 소셜 블레이드도 엄연한 사업체라 출처로 삼기 힘들다는 것이었습니다. (그게 된다면 기업 블로그도 전부 출처로 보아야 하니까요) 제가 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 찾을 수 있는 가장 정확한 수치는 83만명이고, 만일 정정하고 싶으시다면 신태일님의 인스타를 활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 포스트를 다른 언론사에서 다뤄준다면 가능할 것입니다.
덧붙여, 신태일님의 여러 방송을 일일이 나열하는 것 (가령 패드립 랩하면서 하이패스 지나가기 등)은 너무 사소한, 그러니까 나무위키의 '여담' 문단 같은 정보를 지나치게 많이 넣은 수준이라 생각하여 지웠습니다. 그러한 정보는 오히려 생존 인물에 대한 안 좋은 이미지를 강화시킬 수도 있고요. 그래서 일본 방송에서도 소개된 지하철 라면 사건이나 일부 행위만 남겼습니다.
신태일님의 마음은 알겠습니다만, 이번 결정이 다른 문서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기에 방침대로만 대답할 수밖에 없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위안이 되실런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인터넷 방송인들 중에서는 신태일님 수준의 구독자를 보유하고도 정작 언론에서 다뤄주지 않아 넘겨주기 문서로나 생성되거나, 아예 문서를 만들지도 못한 분들도 많습니다. 저희는 인터넷 방송인 뿐 아니라, 여러 분야의 인물 문서(특히 요즘은 선거철이라 여러 당 후보들 등등) 역시 다루고 있기에 한 쪽에만 출처에 대해 다른 기준을 적용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렇게 되면 자연히 형평성 문제가 생길 테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