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노동운동연합서울노동운동연합(-勞動運動聯合, 1985년 8월 25일 ~ 1986년)은 구로동맹파업 이후 서울지역의 노동운동가를 중심으로 하던 대중정치조직이다. 서노련이라는 약어로도 불렸다. 배경1985년 6월 한국전쟁 이후 대한민국 최초의 동맹파업으로 기록되는 구로동맹파업이 발생하였다. 이 파업으로 인해 44명의 노동자가 구속되고 1천여 명이 해고되는 상처를 내며 사건은 종결되었다.[1] 당시 파업을 주도하였던 구로공단의 노동자들과 청계피복노동조합과 같은 노동운동가들은 단위사업장의 노동조합을 뛰어넘는 노동조합의 연대와 함께, 보다 근본적인 노동자 권익의 향상을 위한 민주화운동이 필요하다고 여겼다. 이에 따라 생각을 같이 하는 노동운동가들이 모여 서울노동운동연합의 결성을 결의하였다.[2] 경과결성서울노동운동연합의 결성을 주도한 사람은 김문수, 심상정, 박노해 등이었으며, 이 밖에도 여러 노동운동가들과 유시민, 백태웅 등 학생운동 출신들도 합류하였다.[3]
활동서울노동운동연합의 주요 활동은 노동조합의 교육, 전두환 군사독재 정권에 대한 반대, 노동조합 활동 지원 등이었다. 이들은 전위적 노동자 조직이 한국의 독재를 종식시키는데 앞장서야 한다고 여겼다.[2] 이에 따라 1986년 5월 1일, 서울노동운동연합은 노동절을 기념하여 구로공단을 중심으로 가두집회를 주도하였다.[5] 결과서울노동운동연합의 노동절 가두집회가 있은 직후인 1986년 5월 4일, 전두환 정권은 서울노동운동연합을 국가보안법에 의한 반국가단체로 규정하고 이들을 연행하였다. 전두환 정권은 아무런 수사관할권이 없는 보안사령부[6]를 동원하여 관련자를 구속하고 고문과 같은 가혹행위로 조작사건을 만들어내었다.[7] 보안사령부는 체포된 노동운동가에게 온갖 고문을 자행하였고, 이들이 이른바 '삼민주의'에 따라 국가를 전복하려는 반국가단체라는 혐의를 씌웠다. 그러나 당시 피고인들은 삼민주의와 같은 지도이념을 사용한 적이 없다고 증언하였다.[7] 당시 보안사는 체포된 노동운동가들에게 전기고문, 물고문과 같은 혹독한 고문을 가하였다. 고문의 주요 목적은 노동운동가들이 국가전복을 기도하였다는 것을 거짓자백하도록 하고 체포하지 못한 심상정, 박노해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었다.[3]
결국 서울노동운동연합은 주요 구성원이 감옥에 수감됨으로써 사실상 해체되었다. 이후서울노동운동연합이 와해된 뒤 김문수는 2년 6개월의 감옥생활을 거쳐 민중당의 창립에 참여하였으며, 심상정은 계속되는 수배생활에도 전국노동조합협의회의 창립에 참여하였다. 한편 박노해, 백태웅 등은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를 조직하여 급진적인 사회주의 운동을 주장하였다. 평가서울노동운동연합의 활동에 대해서는 '소그룹 운동을 극복하고 80년대 이후 선진노동자의 성장으로 인해 고양된 노동자 역량을 담아내야 한다는 요구에 부응하려는 노력이었다'는 의미를 부여하는 평가가 있는 반면, '노동자들과 대중과는 유리된 활동가들의 자기중심주의를 들어냈다'는 비판도 있다.[7] 같이 보기각주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