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윤기
신윤기(辛允基, 1957년 3월 23일 ~ 1999년 9월 12일)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축구 감독이다. 감독으로서는 특유의 성실함과 선수단을 장악하는 능력 및 경기 정보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에 능했던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조직력에 중점을 두어 짜임새 있는 공격 축구를 선호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축구인 경력선수경상남도 고성군 출신으로[3] 범일초등학교, 부산중앙중학교, 영남상업고등학교를 거쳤으며,[4][5] 1975년 전국우수고교축구대회에서 감투상을 수상하였다.[6] 이후 1976년 1월 15일 서울시청 축구단이 정식으로 창단하자 원년 멤버로 합류했으며,[7] 1977년 전국실업축구연맹전에서 여러 차례 득점을 기록했으나 팀은 결승 진출에 실패하였다.[8][9] 하지만 그 해 허리 부상으로 인해 2년동안 병원에서 부상 회복에 전념했으며, 1979년 선수로 다시 복귀하였으나 후유증으로 정상적인 선수 생활을 하지 못했다.[10] 그 뒤 1980년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이원화 원칙에 따라 만들어진 국가대표 B팀인 충무팀에 포함되어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와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에 참가했으며,[11][12][13][14] 1982년 팀의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우승에 일조하였다.[15] 이후 1982년 12월 17일 유공 코끼리가 정식으로 창단하자 원년 멤버로 입단에 합의했으며,[16][17] 1983년 슈퍼리그 당시 포항제철 축구단과의 경기에서 팀의 선제골에 관여하는 등의 활약을 하였다.[18] 그 뒤 같은 해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에 출전하였으나 팀은 PSV 에인트호번과 가나 대표팀에 이어 3위를 기록해 토너먼트 진출에는 실패했으며,[19] 1984년 선수 은퇴를 선언하였다.[20] 지도자은퇴 이후 1985년부터 서울시청 축구단에서 코치로 활동했으며, 1985년 방글라데시에서 개최된 프레지던트 골드컵에 팀의 일원으로 참여해 팀의 우승에 공헌하였다.[21] 이후 1986년 박종환 감독과 함께 팀의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우승을 이끌어 지도자 코치상을 수상했으며,[22] 1989년 김수덕 감독을 보좌하며 팀의 전국실업축구연맹전 후기 리그 우승을 견인한 뒤 지도자 코치상을 수상하였다.[23] 그 뒤 1990년 팀이 타이완에서 개최되는 '차이니스컵'에 출전하자 팀의 코치로 참가했으며,[24] 1992년 한국실업축구연맹의 이사로 선임되었다.[25] 또한 1994년 한국실업축구연맹에서 조직한 '실업 선발팀'의 코치로 임명되어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치러진 '실업친선축구대회'에 나섰으며,[26] 그 해 서울시청의 감독으로 승격되어 팀을 지휘하였다. 그리고 1996년 1월 17일 강원도 춘천시를 연고로 하는 한일생명 축구단이 창단하자 원년 감독으로 합류했으며,[27][28] 전국축구선수권대회 및 전국실업축구연맹전 등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것에 대한 공로로 1998년 '강원도 축구인의 밤' 행사에서 감사패를 수여받았다.[29] 이후 1999년 팀이 해체되자 K리그 최초로 운용되는 부산 대우 로얄즈의 스카우트로 임명되어 임중용 등을 영입하기도 했으며,[30][31][32] 그 해 대한축구협회의 기술위원으로 선임되었다.[33] 또한 1999년 6월 이차만이 총감독으로 승격되어 감독이 공석이 되자 대행을 맡았으며,[34] 데뷔전에서 첫 승을 올리며 좋은 출발을 보였으나,[35] 얼마 뒤 천안 일화 천마와의 2연전에서 내리 패한 후 울산 현대 호랑이와의 경기에서도 승부차기 패배를 기록하며 3연패의 늪에 빠져 팀의 분위기가 가라앉게 되었다.[36] 사망감독 부임 후 2개월 뒤 팀 사정과 맞물려 스트레스로 인한 과로에 시달리다 위경련 및 복통을 앓았으며,[37][38] 1999년 9월 10일 검진 도중 급성 백혈병 판정을 받은 뒤 합병증으로 뇌졸중 증세가 발병해 의식을 잃었다.[39] 이후 병원에서 지속적인 치료를 받았으나 9월 12일 세상을 떠났으며,[40] 유해는 경상남도 양산시 통도사 인근 솔밭산 공원의 묘지에 안장되었다.[41] 그 뒤 부산 대우 로얄즈 선수들 및 관계자들은 9월 18일 있었던 부천 SK와의 K리그 경기에서 가슴에 검은 리본을 달고 나오며 조의를 표했으며, 경기 전 전광판을 통해 신윤기의 생전 모습을 방영하고 서포터즈 회원들이 추모의 글을 낭독하였다.[42] 기타서울시청 축구단에서 코치로 활동하던 시절 인천전문대학 체육학과에 진학해 학업 활동을 병행하였으며, 1995년 졸업한 뒤 중부대학교 사회체육과에 편입하였다.[43] 부산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한 정신지체장애아 복지시설의 원장과 의남매를 맺고 지속적으로 후원금을 지급하였다.[44][45] 이장수와는 절친 사이이며,[46] 안정환과는 부산 대우 로얄즈 시절 스승과 제자 사이로 인연을 쌓아 많은 영향을 주었다.[47][48][49] 선수 및 지도자 기록클럽국가대표팀
지도자
수상 경력선수감독
개인각주
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