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전에 있던 토론인데 보존 공간으로 이동도 됐고, 흐지부지된 감이 없지 않아 있어 다시금 토론을 개설합니다. 현재 위키에서는 바깥고리에 공식이라도 카페 링크를 거는 것을 금하고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해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공식카페의 경우에는 오피셜로 운영되는 공간이므로 적어도 된다고 생각이듭니다. 이전 토론에서 회원가입을 해야만 글 내용을 볼 수 있다는 이유로 반대를 하시는 분이 계셨는데, 솔직히 외부 링크에 해당 카페가 있다고 알려주는 것일 뿐인데 그게 뭐가 대수인지 납득이 도저히 되지 않습니다. 백:확인 가능 때문인지는 모르겠는데 해당 정책은 본문에서 출처로서 사용하는 부분에 대한 정책이지 외부 링크에 까지 적용하는 것은 과하다고 생각이듭니다. 어떤 관점에서 보면 공식 카페는 공식 웹사이트로도 볼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카페라도 공식의 경우에는 적을 수 있도록 개정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9년 9월 17일 (화) 14:10 (KST)답변
한국어 위키백과 지침에는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본 지침이 영어 위키백과의 지침의 번역에서 비롯된 만큼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어떻게 언급하는지 참고하면 좋을 것 같아 요약합니다.
영어 위키백과의 지침에 따르면, 기본적으로는 회원 가입이나 구독을 요구하는 사이트는 회피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독자에게 이용의 제한을 두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공식 링크의 범주에 속하거나 인용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예외를 두고 있습니다.
연결된 콘텐츠가 위키백과 문서의 주제(단체 또는 사람)에 의해 통제될 것, 또 연결된 콘텐츠가 주로 문서의 주제에 대한 내용을 현저히 다룰 것. 이 2가지가 공식 링크의 충족 요건이며, 공식 링크는 그 주제 그 스스로에 관해 볼 기회를 독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존재해야 합니다.
내용을 보기 위해 회원 가입 또는 돈을 요구하는 웹사이트의 링크는 일반적으로 외부 링크 문단에서 허용되지 않지만, 이러한 링크가 주제의 공식 웹사이트라면 포함이 가능합니다. (although links to websites that require readers to register or pay to view content are normally not acceptable in the External links section, such a link may be included when it is an official website for the subject)
위 2번째 항목이 핵심 사항입니다. 현 영어 위키백과 기준으로 보면, 공식 웹사이트임에도 불구하고, 또 (사이트 운영진이 통제를 하는 사이트라고 할지라도) 그 사이트가 모금을 하는 추가적인 공식 링크라면 외부 링크 문단에 연결할 수 없음을 한 예로 들고 있습니다.(This exemption does not allow for additional "official" links such as those found on fundraising websites.) 이것을 카페로 비유해보자면 공식 사이트라고 하더라도 주제에 관한 정보성 내용은 하나도 없고 단순 방명록만 있는 카페 외부 링크는 연결할 수 없겠지요.
"공식 사이트라고 하더라도 주제에 관한 정보성 내용은 하나도 없고 단순 방명록만 있는 카페 외부 링크는 연결할 수 없겠지요." 이 말씀이 이해가 잘 가질 않네요. 연예인 공식 카페를 예로 들자면 연예인의 스케쥴이나 관련 공지사항 등 정보가 매우 많은 것이 이 카페라는 커뮤니티입니다. 달랑 방명록만 있다는 것이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현재 한국 연예인들 대부분이 이 카페라는 수단을 채택해서 활용하고 관련 정보도 상당히 많이 공유되고 있습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9년 9월 26일 (목) 23:33 (KST)답변
양념파닭님이 제 의견에 오해가 있으신 것 같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공식 카페를 외부 링크로 사용하는 것에 찬성하는 입장입니다. 영어 위키백과 입장에서 보면 공식 카페 중 정보성 내용이 있는 공식 카페의 링크는 추가가 가능하지만, 정보성 내용(여기서 정보성 내용은 그 문서의 주제가 무엇인가에 대해 독자가 알 수 있는 정보를 의미)이 없는 카페는 등재할 수 없다는 말씀을 드리고 있는 것입니다. "본 지침이 영어 위키백과의 지침의 번역에서 비롯된 만큼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어떻게 언급하는지 참고하면 좋을 것 같아 요약합니다."를 다시 읽어주세요. 저는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굳이 영어 위키백과의 지침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 적이 없으니 참고는 하되 우리만의 방식을 만들어나가도 상관 없습니다. --ted (토론) 2019년 9월 27일 (금) 06:40 (KST)답변
위에 언급된, 문서의 주제가 통제되는 사이트를 공식 링크로 취급한다는 사항 또한 중요하다고 봅니다. 과거 토론에서 공식 카페임을 어떻게 알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문서의 주제(사람 또는 단체)가 컨트롤하는 공식 링크라는 것이 증명된다면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ted (토론) 2019년 9월 27일 (금) 07:20 (KST)답변
카페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에서 부여하는 공식 카페 인증 제도를 확인하거나, 대상이 직접 운영하는 공식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링크를 통한 크로스 체킹이 가능하다면 페이스북 등 SNS 사이트를 표기하는 틀처럼 출처까지 제시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9년 9월 28일 (토) 13:58 (KST)답변
연결 가능한 것 문단의 1번 항목 밑에 "공식적으로 인정되며 공식에서 관리함을 증명할 수 있는 카페는 공식 사이트로 인정됩니다."라는 문구를 추가하며, 만약 공식 카페 관련 편집 분쟁이 일어난다면 공식 카페임을 증명할 수있다면 이를 인정하도록 하는 것은 어떨까요?--L. Lycaon (토론 / 기여) 2019년 10월 6일 (일) 15:29 (KST)답변
저는 "연결할 수 없는 것"의 3번 항목 또한 같이 수정하면서 "공식 웹사이트"의 개념을 확장하기를 희망합니다. 위키백과에 등재될 수 있는 개인이나 단체라면, 그 곳에서 직접 운영하고 문서가 설명하는 대상을 주제로 하는 어떠한 형태의 웹사이트 (블로그나 카페 등)도 공식 웹사이트로 간주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9년 10월 6일 (일) 15:54 (KST)답변
폐쇄적인 사이트로 인해 공식 운영 여부가 확인이 어려운 경우는 외부 링크로 소개하는 것이 부적절할 수는 있지만, 공식 주체에 의한 운영 여부만 확인된다면 문제삼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9년 10월 8일 (화) 16:55 (KST)답변
공식이 운영하는 공식 사이트면 다 허용한다는 거죠? 수익 창출 또는 운영 자금이 좀 필요할 때 공식이지만 모금 전용 페이지-카페 링크를 넣을 수 있을까요? 위 토론 내용을 보니까 영어 위키백과는 안 된다고 하지만 한국어 위키백과는 허용하는 방침인 것 같아서요. 117.111.24.25 (토론) 2019년 10월 12일 (토) 10:40 (KST)답변
공식 사이트 검증과 관련하여서는 본 문단에서 제가 먼저 꺼냈으나, 공식 사이트 검증 방법은 문서 토론 등을 통해 논의가 가능하므로 우선 순위를 낮추어 차후 논의하기로 합시다. 논란이 되는 부분(정보 비공개 카페, 유익한 정보 제공과 무관한 목적의 공식 사이트)만 우선 매듭을 짓고 지침화를 했으면 합니다. 공식 웹사이트라면 조건없이 넣느냐(이강철 등) 마느냐(ChongDae, IP 사용자 등)에 대해 의견들이 갈리고 있어, 상기 언급해 드린 영어 위키백과를 참고하고자 합니다. "1. 단체, 사람, 웹사이트 등 실체가 존재하며 공식 사이트가 있는 문서는 그 사이트의 링크를 반드시 제공합니다." 아래에 다음의 내용을 추가할 것을 제안합니다.
1. 단체, 사람, 웹사이트 등 실체가 존재하며 공식 사이트가 있는 문서는 그 사이트의 링크를 반드시 제공합니다.
공식 사이트의 충족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문서의 주제(인물 또는 단체)에 의해 인정되고 관리되는 사이트
문서의 주제 그 자체에 관한 내용을 공개하고 직접 다루고 있는 웹사이트
단, 모금 등 주제 그 자체에 대해 내용을 주로 다루지 않는 사이트는 공식 사이트이더라도 포함할 수 없습니다.
웹 카페 등 회원 가입 또는 구독이 요구되는 접근 제한이 있는 사이트는 일반적으로 외부 링크로 권장되지 않으나 해당 링크가 위의 조건들을 충족하는 주제의 공식 사이트라면 포함이 가능합니다.
상기 제안되는 추가 내용은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독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유익한 것" 등 한국어 위키백과의 현 지침에 있는 내용과 상충하지 않습니다. 부족한 점이 있다면 내용을 보완하여 다시 제안해 주시기 바랍니다. --ted (토론) 2019년 10월 12일 (토) 15:21 (KST)답변
'공식 카페로 인정되다'라는 것은 게임이나 기업, 제품 같은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문서 주체나 그와 관련된 단체가 직접적으로 운영하며 관리하거나 인정하는 것을 공식 웹사이트와 동등하게 취급하고 공식 카페로 인정해야 한다고 봅니다.--L. Lycaon (토론 / 기여) 2019년 11월 7일 (목) 12:11 (KST)답변
실례합니다. "소속사 등이 아닌 개인이 개설한"이라는 문장이 어색합니다. "개설"에 의미를 둔다기 보다는 "관리" 또는 "운영"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 (소속사가 직접 카페를 개설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요. 예: 소속사가 소속사 무관 개인이나 다른 단체에 개설을 요청하면 요청에 따라 개인이나 다른 단체가 개설을 하고 운영은 소속사가 직접 하는 경우) 그렇게 토론이 이루어졌었던 것 같은데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ted (토론) 2019년 12월 4일 (수) 23:29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