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토론:라이트 노벨
편집 지침아직 논의도 안 끝났는데 프로젝트 문서에 "이대로 하시오"라고 버젓이 올라와 있습니다. 어서 논의를 끝내야 할 텐데요.--Leedors (토론) 2010년 10월 14일 (목) 00:58 (KST)
제 사용자 문서에뉴타입지에 언급되어 있으면서도 위키백과에 아직 없는 빨간 링크들을 모아놨습니다. 생성할 게 생각나지 않는다면 이 쪽을 참조해주셔도 좋을 것 같네요.--Alto (토론) 2010년 12월 26일 (일) 16:55 (KST)
2011년 1월 1일, 신규 라이트 노벨 레이블 'Novel Engine'이 창간되었습니다.디앤씨미디어와 같은 기존의 장르 소설 출판사인 영상노트에서 라이트 노벨 레이블 Novel Engine을 창간했습니다. 서울문화사의 J-Novel과 마찬가지로 '노블 엔진'으로 읽습니다(정식 한글 표기는 '노블엔진'으로 붙여 씁니다). 창간부터 일본어와 한국어 작품 섞어서 내기, 컬러삽화 8쪽, 흑백삽화 10쪽 선언 등(현재 시드 노벨은 컬러 4페이지, 흑백 8페이지입니다) 꽤나 많은 도전을 하고 있습니다. (아마추어 작가로서 컬러삽화 8페이지 때문에 굉장한 투고 유혹이...) 오늘 실물을 봤는데 표지 디자인이 참 수려하더군요. 다섯 번째로 성공한 한국 라이트 노벨 레이블이 될 수 있을지 기대해 봅니다. 홈페이지, 블로그. --Hijin6908(말마당 · 한 일) 2011년 1월 4일 (화) 08:41 (KST)
한국어판 문서를 번역해간 일본어판 라이트 노벨 문서가 드디어 탄생했습니다대체 그 문서의 원본은 누가 쓴 것인고 하니 접니다. [............] 생일날 혼자 집에 죽창 틀어박혀 1권을 붙잡고 실실대며 쓴 EFS 엑스마키나 문서를 어제 일본어판의 사용자:River-run님이 ja:EFSエクスマキナ로 번역하셨습니다. 덕분에 한국어판 문서와 일본어판 문서를 비교해 읽으면서 그 놀라운 싱크로율에 또다시 실실대고 있습니다. [...........] 아무튼 제 미숙한 문장이 그대로 일본어로 번역되어가는 모습을 보며 좀 부끄러운 느낌이고, 한국어판을 드나드시는 일본어판 사용자들도 이런 느낌을 받을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가니메데 측 용어는 귀찮아서 미완성으로 둔 지 8개월[...], 일본어판에도 그대로 남아 있는 미완성을 지우기 위해 다시 1, 2권을 붙잡고 실실거려야 할 듯 합니다. River-run님은 거기에 덧붙여 아직 한국어판에도 없는 작가 백호님과 삽화가 cuteG님도 절묘한 출처까지 사용하시며 일본어판에 올리셨더군요. 전에 최지인 작가님 내력을 어디서 끌어올까 고민하던 와중에 작가 대담이라는 간단한 출처를 사용해서 일본어판에 먼저 올리시기도 하고...흠흠 아무튼 쓸데없는 소리가 늘어나고 있으니 이만 줄이고 cuteG님이나 번역하러 가야겠습니다(어이, 대한민국 삽화가시라고?). --Hijin6908(말마당 · 한 일) 2011년 1월 7일 (금) 15:52 (KST)
이번에 일본어판 프로젝트에 다녀왔습니다.저도 참가자에 서명하고 왔습니다. 그건 그렇고, 토론을 읽어보던 중에 위에서 언급했던 River-run님이 대한민국을 포함한 일본 국외의 각국의 라이트 노벨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시어, 현재 일본어판의 라이트 노벨 관련 분류(특히 작가)에 대해 대대적인 수정을 제안하고 계십니다. 내용은 현재 제가 구축한 한국어판의 분류 구조와 같습니다. 즉, 분류:라이트 노벨에서 분류:일본 소설을 떼고, 분류:일본의 라이트 노벨, 분류:일본의 라이트 노벨 작가를 신설한다는 방안입니다(이것은 1안이라고 불리고, 2안으로 '라이트 노벨은 어디까지나 일본의 발상이라는 것을 중시해, 현재의 분류:라이트 노벨은 그대로 일본의 것으로 두고, 그 위에 '분류:라이트 노벨 (세계)'라는 괴뢰 분류(?)를 덧붙인다'는 안이 있습니다만, 발안자 River-run님도 회의적인 시각이며, 현재 의견을 내신 한 분도 1안에 찬성하셨습니다). 그와 더불어서 '일본 이외의 국가에 라이트 노벨 작가라고 불릴 작가는 있는가'라는 논제도 같이 제안하셨습니다. 관심있으시면 한번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Hijin6908(말마당 · 한 일) 2011년 1월 14일 (금) 23:47 (KST)
이 분의 블로그는 어떻겠습니까?이 분의 블로그를 참고로 해 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Winbbs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도시락 전쟁 아니메화!도시락 전쟁이 아니메화 발표가 났다는 군요. 으음... 제작사는 미정입니다. 그리고 저번에 삭제한 '하즈키 리온의 전쟁'이 NT노벨로 국내 정발 됬답니다. --Winbbs 2011년 2월 28일 (월) 16:25 (KST)
제로마 22권 완결이랍니다.마이니치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야마구치 노보루와 MF 문고 J는 제로마를 22권으로 끝낼 생각이라는 군요.[1] 아참. 제로마라고 말하고 보니깐 비판항목도 추가해야 될 거 같습니다.--Winbbs 2011년 3월 12일 (토) 13:17 (KST) 제목 변경과 분할 토론에 참여해주세요.--Leedors (토론) 2012년 1월 19일 (목) 19:55 (KST) 영어판에서 가져와 번역 중에 있습니다. 번역하다 보니 그래픽 노블은 해당사항이 아니라고 나와있긴 한데....아무튼 참조가 될 것 같으니 링크해 둡니다.--Leedors (토론) 2012년 3월 12일 (월) 16:36 (KST) 레이블 틀분류가 할 일을 틀이 대신하고 있진 않을까요?--Leedors (토론) 2012년 12월 2일 (일) 00:17 (KST)
안내 틀 등 둘러보기 틀에 대한 정확한 용도 논의가 필요할 것 같네요. 나중에 얘기해볼까요.--Leedors (토론) 2012년 12월 4일 (화) 20:22 (KST) 별다른 토론이 없네요...할 일을 찾는다는 차원이 아닌 만든다는 의미에서 포털:라이트 노벨 같은 거라도 만들어 볼까요.--Leedors (토론) 2013년 8월 2일 (금) 00:10 (KST) '시드 노벨'문서의 제목에 관해서시드노벨 공식홈페이지에는 '시드 노벨'이 아닌 '시드노벨'로 되어있는데 문서제목을 '시드노벨'로 바꾸어야 할것같습니다.--JahYuN (토론) 2013년 12월 15일 (일) 11:22 (KST) 라이트 노벨 레이블라이트 노벨 레이블인 S 노벨 문서를 새로 만들려고 하는데 레이블쪽은 별 기준이 없는거 같습니다. 어느정도 찾아 봤는데 없는거 같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KSH1015 (토론) 2014년 3월 25일 (화) 21:28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