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토론:외래어의 한글 표기
일단이거부터 처리하고 본격적으로 토의를 시작해보죠.--Leedors (토론) 2010년 9월 24일 (금) 23:14 (KST)
현재 개정안이 지침 제안 과정에 들어갔습니다. 모두 관심 부탁드립니다. --Hijin6908(말마당 · 한 일) 2010년 10월 2일 (토) 23:41 (KST)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자모표국립국어원에서 이 언어들의 자모표는 따로 만들지 않았습니다만...이 언어들도 자모표가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우선 제가 임시로 만들어본 독일어 자모표_임시입니다. 사용자:Dmthoth님도 꽤 많은 부분을 손질하셨습니다. 여기에도 제가 이걸 건의하기도 했죠. 하늘모래 (토론) 2011년 1월 10일 (월) 14:27 (KST)
문득 이런 기사가 눈에 띄길래 올려봅니다.기업들의 외래어표기법 혼란 가중시킨다(기사 제목부터가 한국어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마지막 문단이 인상깊네요. --Hijin6908(말마당 · 한 일) 2011년 1월 27일 (목) 12:02 (KST) 위키백과:삭제 토론/불필요한 알림상자 틀들에 삭제 토론 대상에 올라와 있길래 언급해둡니다. 백:표기에서의 과거 토론이나 총의를 기억해 봤을 때 삭제 되어야 할 것이 맞긴 하겠네요.--Leedors (토론) 2013년 1월 26일 (토) 23:27 (KST) 프로젝트 합병별도의 프로젝트 토론 공간을 쓸 필요가 있을까요?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3년 3월 23일 (토) 14:01 (KST)
프로젝트 활동현재 외국어 표기에 대해 분쟁이 있어 문의 할 것이 있는데, 활동하고 있는 프로젝트입니까? (제가 이런 토론을 남기는 이유는 의견을 낸다면 답변해주실 사용자가 있을까 해서 이러한 말을 남깁니다) -- J13 (토론) 2014년 2월 11일 (화) 18:14 (KST)
만주국의 지명을 중국어 독음으로 적어야 하는가외래어표기법에선 역사적 지명을 한자로 적는다고 규정합니다. 인물과 달리 신해혁명을 기준으로한다는 내용은 없습니다. 이는 만주국의 지명은 역사적 지명으로 볼 수 있음을 반영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대한민 (토론) 2016년 1월 15일 (금) 16:14 (KST)
중국어 및 기타 방언 표기에 있어서의 문제점중화 타이베이 문서를 보시면, 중화 타이베이를 중화권에서 어떻게 부르느냐에 따라 정체, 간체, 병음, 주음부호 이 4가지로 설명하고 있는데요, 특히 이 주음부호의 표기 때문에 단어 표기를 후술하는 과정에서 벌써 3줄이 넘어갑니다. 또 간혹 가다 주음부호 문자가 서로 겹쳐서 깨지는 경우도 있어서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입니다. 이렇게 불필요하게 길게 늘여 쓰는 것보다, 영어 위키백과의 en:Template:Infobox Chinese를 들여오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추가로 영위백에서 저걸 도입하게 되면, 중국어뿐만 아니라 한자가 들어가는 모든 문서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Tebula (토론) 2018년 4월 25일 (수) 17:32 (KST)
통용표기를 가리고 있는데, 의견을 내는 참여자가 적네요. 토론:샌디에이고에 의견을 부탁합니다. --케골(토론) 2018년 5월 11일 (금) 09:29 (KST) 외국 스님의 이름 번역을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en:Bhikkhu Analayo라는 분입니다. Bhikkhu는 '비구', Analayo는 '무착, 무집착'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대로 읽어서 비쿠 아날라요가 나을까요? 아니면 비쿠 부분을 번역해서 아날라요스님? 아니면 아날라요도 번역해서 무착스님? --Gaepakchinae (토론) 2018년 9월 12일 (수) 18:38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