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토론:E스포츠
아이디 넘겨주기백:넘겨주기에 따르면 아이디 넘겨주기는 문제 될 것이 없다고 봅니다만, 역시 총의를 구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해서 의견을 남겨봅니다. 영어판 같은 경우 허용하고 있는 것 같네요. (en:Slayers Boxer)--Leedors (토론) 2011년 12월 12일 (월) 12:53 (KST)
부연 설명을 좀 하자면 언론 기사에 뜨는 것만으로 따져서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같은 경우 본명의 저명성과 아이디의 저명성은 서로 같거나 본명 쪽이 약간 더 높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e스포츠 관련 기사에서 선수를 소개해줄때 보통 옆에 가로 하고 아이디를 적어주거든요. 그렇다고 해서 한국 사람들이 검색할때 임요환으로만 검색하고 Slayers_boxer로는 검색하지 않는가에 대해서라면 NO라고 대답할 수 있을 껍니다. 당장 네이버 검색창에 'slayers'까지만 쳐도 Slayers_boxer 자동완성검색어가 뜨기도 하고 이것도 근거가 될진 모르겠습니다만, 그렉 필즈 선수 같은 경우 playxp 같은 커뮤니티를 보다 보면 이 선수에 대해 그렉 필즈, idra, 이드라, 아이드라 등등등.... 섞어서 쓰기도 합니다. GSL 홈페이지 기록실을 보면 이름 뿐만이 아니라 아이디도 같이 검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것도 한 근거가 될 수 있겠네요.--Leedors (토론) 2011년 12월 14일 (수) 22:12 (KST)
오랜만에 이 토론이 눈에 띄어 와서 다시 글 납깁니다. 하여튼, 적당히 비추어 보았을 때 굉장히 아이디의 지명도가 이름과 비슷할 지경이거나 높다 싶으면 아이디 넘겨주기는 어느정도는 허용해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만 현재의 메인 종목(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Ⅱ, 워크래프트Ⅲ 등등)의 대한민국 선수는 이름의 지명도가 훨씬 높기에 철권같은 환경(95%의 경우 아이디로 부름)의 게이머이거나 몇몇 외국인 선수를 제외하고는 케이스가 많지 않을 것 같네요. - 나이키 NIKE787 2011년 12월 26일 (월) 21:56 (KST)
e스포츠 관련 문서들을 주도적으로 정비하는 사용자가 저 혼자 밖에 없는 것 같아서 그냥 저 혼자 마음대로(..) 정하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프로젝트 문서를 참조해주세요. 이의 있으시면 의견 남겨주세요.--Leedors (토론) 2013년 1월 13일 (일) 06:33 (KST) 스1 게임단 문서들에서프로리그 성적표에 뭐 색깔 같은 걸 집어넣고 해져있던데, 혹시 이와 관련해서 총의가 형성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Leedors (토론) 2012년 7월 23일 (월) 23:19 (KST) 심각한 독자연구 문서들정명훈 (프로게이머)에서 이만큼의 독자 연구성 내용을 드러냈습니다만, 김명운이나 허영무등 비슷한 문서가 상당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모든 프로게이머 문서에 대한 점검이 필요합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12년 9월 2일 (일) 00:26 (KST)
관심 있으신 분은 토론 참여 부탁드립니다.--Leedors (토론) 2012년 9월 3일 (월) 11:34 (KST) 분류:이스포츠와 하위 분류들분류에는 이스포츠라고 한글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스포츠의 개요가 되는 문서인 e스포츠는 e라고 영문 표기 되어 있습니다. 어느 한 쪽으로 일관성 있게 변경할려고 하는데 인터넷에 검색을 해보면 이스포츠보다 e스포츠가 훨씬 많네요. 뉴스들도 검색해보면 전부 ('거의'도 아닙니다. '전부') 이스포츠라고 안하고 e스포츠라고 하고 있고요. 주요 웹진, 단체의 공식 명칭이 한국이스포츠협회가 아닌 한국e스포츠협회, e스포츠 게임조선, 데일리e스포츠, 디스이즈 e스포츠인 것도 참조해주세요. 총의 없이 봇으로 분류들을 전부 e스포츠로 바꿔 볼려고 생각해봤습니다만, 역시 안전하게 동의를 구할 필요가 있어서 의견을 남겨봅니다.--Leedors (토론) 2012년 9월 10일 (월) 14:49 (KST) 별 다른 의견이 없다면 가까운 시일 내에 분류들을 전부 손보도록 하겠습니다.--Leedors (토론) 2012년 9월 20일 (목) 23:04 (KST) 옮기고 있는 중입니다.--Leedors (토론) 2012년 9월 22일 (토) 12:34 (KST) 선수들간 전적 및 관계에 대한 서술선수들 문서를 보면 어떤 선수의 다른 선수들간 전적을 다룬 서술이 많이 보이는데, 이게 전부 (대부분이 아닙니다. 전부) 독자연구라는 건 둘째치고 이걸 다 적으려고 한다면 당장 분류: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에 있는 문서들만 해도 80개 정도가 되는데 한 문서에서 선수 간 전적에 대해 대략 최대 79명간의 전적을 다뤄야 한다는 겁니다. 어쩌면 이영호와 다른 선수와의 전적 같은 문서도 만들어 질 수 있겠네요. 임진록 뭐 이런 정도의 라이벌 관계가 아니라면 전부 지웠으면 합니다.--Leedors (토론) 2012년 11월 16일 (금) 14:50 (KST) 틀 이름 변경
위와 같이 e스포츠 관련 중요한 틀들의 이름을 바꿔두었습니다. 해당 틀 내용이 종목별로 세계적으로 포괄한 내용을 담지 않고 대한민국에만 한정시켜 작성되었기 때문입니다.--Leedors (토론) 2013년 1월 13일 (일) 06:30 (KST) 삭제 토론 알림e스포츠 관련해서 삭제 토론이 몇개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Leedors (토론) 2013년 1월 27일 (일) 00:58 (KST) 리그 시즌 별 맨 하단에 있는 전작후작 틀전부 지우도록 하겠습니다. 리그 시즌은 작품이 아님으로 쓰임새도 맞지 않고, 제가 생성한 틀:E스포츠 리그 시즌 정보, 틀: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정보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Leedors (토론) 2013년 3월 21일 (목) 01:18 (KST) 풀리그 전용 틀프로리그나 GSTL 방식이 풀리그 인데 이 리그들의 경기 기록을 적어놓을 얼개가 필요해 관련 얼개를 만들었습니다. 위키프로젝트:E스포츠/풀리그 경기 기록. 위키프로젝트:E스포츠/풀리그 경기 기록2에 만들어 뒀으니 복사에서 써가세요.--Leedors (토론) 2013년 4월 15일 (월) 01:47 (KST) 소닉 스타리그의 지위기존 BJ소닉이 단독으로 주관했을 때는, 소닉 스타리그가 단순한 소규모 스타리그로 존재했었죠. 그런데 이제는 온게임넷에서 관여를 많이 하는 듯 합니다. 심지어 소닉 스타리그에 듀얼 토너먼트가 도입된 것에 이어 방송 시간이 일요일 오후 7시로 정말 황금 시간대입니다. 적어도 온게임넷에서는 소닉 스타리그에게 높은 지위를 부여했다고 볼 수 있겠죠.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