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프라테스 방어 작전 |
---|
시리아 내전, 튀르키예의 시리아 내전 개입, 대 IS 군사 개입의 일부 |
 알바브 인근에서 자유 시리아군이 ACV-15를 몰고 있다. |
날짜 | 2016년 8월 24일 – 2017년 3월 29일 |
---|
장소 | |
---|
결과 |
튀르키예 및 자유 시리아군의 승리
- 시리아 국민군과 시리아 민주군 사이에서 충돌이 발생하고, 인민수호부대가 유프라테스강 동부로 철수함.[1] 튀르키예는 이를 부인함.[2]
- 2017년 2월 25일, 5만 명의 튀르키예 거주 시리아 난민이 개입 시작 이후 통제에 들어간 지역으로 돌아옴.[3]
|
---|
영토 변화 |
시리아 국민군의 영토 확장
- 2017년 2월 25일 기준으로 시리아 국민군이 총 2,000 제곱킬로미터 (770 mi2)의 영토를 확보하였으며,[7] 230개의 정착지가 포함됨.[8]
- 자유 시리아군 통제 영토가 2,225 제곱킬로미터 (859 mi2)로 증가[9]
- 튀르키예-시리아 국경에 존재하던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의 영토가 완전히 반군에 의해 점령됨.[10]
- 튀르키예 지원 반군이 시리아 민주군으로부터 자라블루스에 위치한 모든 정착지를 점령함.[11]
- 튀르키예 지원 반군이 알바브를 탈환함.[12]
- 시리아 민주군의 주 연결 시도가 실패함.[13]
- 시리아 민주군이 일부 영토를 시리아 육군에 양도[14][15]
|
---|
|
교전국 |
---|
튀르키예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시리아 국민군[16]
지원국:
미국[17][18][19]
러시아[20][21][22] |
이슬람 국가 |
시리아 민주군[4]
[[파일:|22x20px|border |alt=]] 국제자유여단[5]
지원국:
미국[6]
시리아 (소규모 충돌)
지원국:
러시아 |
지휘관 |
---|
제카이 악사칼르[25]
이스마일 메틴 테멜[26][27]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모하마드 아부 이브라힘[28]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무스타파 세자리[28]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아부 카파르 지타[6]
마흐무트 함자[29]
압둘 살람 라자크[29]
아부 자페르[30]
마히르 바샤[31]
무사타파 카히트[31]
모하메트 아부 무스타파[32]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아부 바흐자트[33]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유수프 시빌리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압둘 라자크 아슬란[34]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타하 아트라흐[35]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압델 카림 알야토[36] †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아흐마트 케이리예 †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칼레트 야햐 라주크[38] †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아흐메트 오스만[39]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페힘 이사[40]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알라딘 하누라[41] †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쉴레이만 레지트[42] †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케말 틸키[43] †
|
아부 안사리[44] †
아부 후세인 투누시[45] †
아부 칼리트 우르두니[46] †
아부 이브라힘 파란시 (POW)[47]
|
무하마드 아흐메트[48]
 아드난 아부 암자드[49]
 안와르 카바트[50]
탈랄 실로 |
군대 |
---|
튀르키예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하와 킬리스 작전실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자유 이들리브군[63]
정복여단[67]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시리아 혁명주의전선 잔병[68]
시리아 투르크멘 여단
레반트 자유이슬람운동[69]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진위와 발전 전선[70] |
ISIL의 군사
|
만비즈 군사평의회
인민수호부대
여성수호부대
반테러 부대[74]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북부민주여단[75]
[[파일:|22x20px|border |alt=]] 국제자유여단
시리아 아랍군 |
병력 |
---|
튀르키예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10,000명–12,000명[80][53][81][82] |
5,000–7,000명[78][83][84][85] |
불명 |
피해 규모 |
---|
71명 사망[86]
[[파일:{{{국기그림-자유}}}|22x20px|border |시리아|링크=시리아]] 600명 이하 사망[87] |
2,647명 사망, 417명 포로(터키 주장)[88] |
131명 이상 사망 SOHR 및 SDF 주장
30명 이상 사망, 22명 포로[89][90][91] |
민간인 540명 이상사망(SOHR 주장)[23][24] |
 2016년 8월 당시 북부 시리아에서의 작전 상황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