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민군 전략군 (朝鮮人民軍 戰略軍, 영어 : Korean People's Army Strategic Force )은 옛 명칭인 조선인민군 전략로케트군 (朝鮮人民軍 戰略-軍, 영어 : Korean People's Army Strategic Rocket Force ) 혹은 미싸일지도국 ( - 指導局, 영어 : Missile Guidance Bureau )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 전략 미사일 운용에 특화된 조선인민군 의 부대이다. 규모는 알려져 있지 않고 군단 정도로 추정하고 있으며, 4개의 미사일 생산 공장과 12개의 발사 기지를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본래 직전 명칭은 전략로케트군이었으나, 2014년 전략군으로 바뀌었다.
앞서 러시아 연방 의 전략 로켓군 과 중국 인민해방군 제2포병부대 처럼 육군 , 해군 , 공군 기본 3개 군종과는 달리 특화된 군종으로 편제되어 있다.
1993년 5월 로동 1호 미사일, 1998년 8월 31일 대포동 1호(백두산 1호) 미사일, 2006년 7월 5일 대포동 2호(백두산 2호 혹은 목성 2호) 미사일을 시험 발사한 바 있으며, 2009년 4월 5일 은하 2호 위성발사 로켓을 발사한 바 있다.
초대 사령관은 김략겸 상장이였으며, 후임은 김정길 상장이다.
역사
본래 미사일지도국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2012년 3월 3일 김정은 이 전략로케트군 사령부를 시찰하면서 존재가 북한 외부에 알려졌다. 김정은은 2012년 4월 15일에 열병식 때부터 참여하였다.[ 2] [ 3]
2010년 3월 9일, 사정거리를 3,000km나 넘기는 중거리 탄도 미사일 (IRBM)을 도입한지 얼마 되지 않아, IRBM을 운용하는 사단을 창설하였다.[ 4]
2014년 10월 12일, 정보통이 대한민국 정부 측에 소식을 전달한 2013년 3월 5일에 있었던 조선인민군 전략군 대변인 담화에 따르면, 스커드, 노동, 무수단 미사일 여단을 자동화 체계를 위해 통합하고 전략로켓군을 전략군으로 확대 및 개편한 것으로 전해졌다.[ 5]
조직
한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사령부 산하에 스커드 미사일 사단, 노동 미사일 사단, 무수단 미사일 사단 등 3개 사단이 편성되어 있다고 한다.[ 6]
사 령 부 : 평남 성천군 백원리 주둔, 평양 만경대구역에서 이전
제 1미사일사단(제 1벨트) : 6개 대대(스커드 미사일 ), 64개 발사대(36개이동식 14개 기지)
제 2미사일사단(제 2벨트) : 3개 대대(노동 1호 이상), 37개 발사대(10개이동식 8개 기지)
제 3미사일사단(제 3벨트) : 무수단 미사일 이상, KN-08 사단
전략기지 : 4개소 ICBM 운용, 고정발사대 운용(KN-08 운용)
제51기지 : 평남 은산군 대흥군
제52기지 : 자강 전천군 갈골동(96분소동일주둔)
제53기지 : 자강 화평군 무명산 회정리 미사일 기지
제54기지 : 평북 삭주군
분소 9개 : 연대 대대 중간급 -> 이동발사대 운용여단
제 1제대 사단급 : 노동급 운용( 9훈련소) 27기
제 2제대 사단급 : 노동급 운용(10훈련소) 27기
제92분소 : 함남 신흥군 용오동 (동해안담당,요격체계) 용오동 미사일 기지
제93분소 : 평남 양덕군 (서해안평양담당)사령부
제94분소 : 함남 허천군 상남리 (일본담당) 상남리 미사일 기지
제 3제대 사단급 : 대포동 운용( 8훈련소) 27기
제95분소 : 양강 김형직 청강읍 영저리(구:후창군) 영저리 미사일 기지
제96분소 : 자강 희천시 전천군 김형직군 갈골(52기지동시)
제97분소 : 평북 운전군 신오리 신오리 미사일 기지
여단예하 : 5개 대대 편성(2,000명) 9기
제 1대대 : 미사일 발사대대
제 2대대 : 미사일 발사대대
제 3대대 : 미사일 발사대대
제 4대대 : 미사일 연료주입
제 5대대 : 경계임무
대대예하 : 6개 중대 편성(450명) 3기
제 1중대 : 미사일 1기 배치
제 2중대 : 미사일 1기 배치
제 3중대 : 미사일 1기 배치
제 4중대 : 보장차량중대
제 5중대 : 측지수 정찰 통신병
제 6중대 : 경비중대
발사대편성 : 군 관 : 2명(발사대장, 유도조종사) 하 전 사 : 9명, 운전수 1명
미사일공장 : 5개소
제 26호공장 : 자강 강계시 별하리 -> 부품
제 118호공장 : 평남 개천군 가감리 -> 엔진
제 125호공장 : 평양 형제산구역 중계동 ->조립
약전기계공장 : 평양 만경대리 -> 탄두, 폭약
잠진군수공장 : 남포 -> 몸체, 추진장치 대포동2호 년간 100~120기
미사일기지 : 25개소, 지하기지
함북 화대군 곰덕산 무수단리 대포동
함남 허천군 상남리 94분소 무수단
함남 신흥군 용오동 92분소 무수단
평양 상원군 상원리 공군1사단예하 지대공미사일
평양 만경대 오류리 공군1사단예하 지대공미사일
평양 중화군 공군1사단예하 지대공미사일
평양 평원군 화진리 공군1사단예하 지대공미사일
황북 곡산군 삭갓몰 80분소 스커드C TEL 9대 40기
황북 황주군 연탄군 사리원 79분소 36개 발사대 여단
황북 평산군 터골 스커트C 배치
황북 신계군 강원도 이천군 지하리 화성미사일여단
평북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평북 구성시 백운리(방현비행장) 노동급미사일여단
평북 운전군 신오리 97분소 TEL 9대 미사일 40기
함북 길주군 풍계리 여단급
함남 신포시 마양도
함남 덕성군 상남리 지하기지
양강 후창군 김형직 청강읍 영저리 95분소
자강 용림군 용림읍 이동식미사일차량조립
자강 희천시 전천군 갈골동 운포리 96분소
평남 양덕군 성천군 백운리 93분소 사령부 무수단
평남 은산군 대흥군
평남 증산군 금천리 강감찬산 IRBM배치
강원 문천시 옥평동 문천지구 옥대령지하기지
강원 고산군 안변읍 금천리 깃대령 81분소 851군부대
강원 원산시 갈마반도
예하부대 : 9개 여단 병 력 : 2 ~ 3천명
제851스커트미사일여단 : 강원 안변군 깃대령
제 80중화로켓트여단
제 81함흥로켓트여단
제 82숙천로켓트여단 외
보유 중인 미사일 종류
역대 전략사령관
같이 보기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