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119구조본부 (中央119救助本部, National 119 Rescue Headquarters )는 대한민국 소방청 의 소속기관이다. 2013년 9월 17일 발족하였으며,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구지서로 1에 위치하고 있다. 본부장은 소방감 으로 보한다.[ 1]
직무
인명구조견 '백두'
각종 대형·특수재난사고의 구조·현장지휘 및 지원
재난유형별 구조기술의 연구·보급 및 구조대원의 교육훈련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도지사 및 특별자치도지사의 요청 시 중앙119구조본부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재난사고의 구조 및 지원
위성중계차량 운영에 관한 사항
그 밖에 중앙긴급구조통제단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재난 사고의 구조 및 지원
역사
2005년 중앙119구조단 전경
1995년 4월 28일 대구시 달서구 지하철공사장 폭발사고, 1995년 6월 29일 서울 삼풍백화점 붕괴사고등 각종 인위적재난의 발생으로 재난을 자연재해와 인위재난으로 나누어 자연재해를 제외한 인위적 재난을 관리할 수 있는 전담부서를 두어야 한다는 민방위본부 일반직공무원들의 여론에 따라 1995년 10월 19일 대통령령 제14791호로 「민방위본부」를 「민방위재난통제본부」로 개칭하고 재난관리국을 신설하였고, 대형 및 특수재난사고 발생시 현장에서의 긴급구조구난 활동능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소방국에 구조구급과와 장비통신과를, 중앙소방학교에는 중앙119구조대를 신설하였다.
연혁
1995년 10월 19일: 중앙소방학교 소속으로 중앙119구조대 설치.[ 2] [ 3]
1995년 12월 27일: 중앙119구조대 발대.
1997년 5월 27일: 내무부 소속으로 변경.[ 4]
1997년 8월 22일: 119국제구조대 발대.
1998년 2월 28일: 행정자치부 소속으로 변경.[ 5]
2000년 11월 1일: UN INSARAG 의장국 피선 및 UN OCHA 서울회의 개최.
2001년 3월 2일: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구조구급대 발대.
2004년 6월 1일: 소방방재청 소속으로 변경.[ 6]
2011년 1월 28일: 중앙119구조단으로 승격.[ 7]
2013년 9월 17일: 중앙119구조본부로 승격.[ 8] [ 9]
2013년 12월 9일: 중앙119구조본부 특수사고대응단 창단 및 구미 화학사고 합동방재센터 개소.
2014년 1월 24일: 시흥, 익산, 서산 화학재난 합동방재센터 개소.
2014년 1월 27일: 울산 화학재난 합동방재센터 개소.
2014년 1월 28일: 여수 화학재난 합동방재센터 개소.
2014년 11월 19일: 국민안전처 소속으로 변경.[ 10]
2014년 11월 19일 : 수도권 및 영남119특수구조대 신설
2014년 12월 17일 : 대구광역시 청사로 이전
2015년 11월 30일 : 호남 및 충청‧강원119특수구조대 신설(발대 12.11.)
2017년 7월 26일: 소방청 소속으로 변경.[ 11]
2018년 3월 30일 : 충주119화학구조센터 신설(개소 11.30.)
업무
국제출동
연 도
파 견 국
재해내용(피 해)
인 원
기 간
실 적
‘97년
캄보디아
여객기추락(全탑승자사망)
7명
9.4~9.8(5일)
희생자 수습(21명)
‘99년
터키 이즈밋
지진(14,695명사망)
17명
8.20~8.30(11일)
희생자 수습(154명)
‘99년
대만 난토후
지진(2,321명사망)
16명
9.22~9.27(6일)
1명구조, 희생자 수습(21명)
‘03년
알제리 부메르데스
지진(2,268명사망)
21명
5.23~5.31(8일)
희생자 수습(22명)
‘03년
이란 케르만밤
지진(26,171명사망)
24명
12.27~1.3(8일)
희생자 수습(57명)
‘04년
태국 푸켓
쓰나미(160,000명사망)
15명
12.29~1.7(10일)
희생자 수습(14명)
‘05년
파키스탄 북동부
지진(50,000명사망)
2명
10.14~10.21(8일)
의료팀지원
‘06년
인도네시아 반툴
지진(5,500명사망)
1명
5.28~6.4(8일)
의료팀지원
‘08년
중국 스촨성
지진(80,000명사망)
41명
5.16~5.23(8일)
희생자 수습(27명)
‘08년
미얀마 양곤주
태풍(77,738명사망)
5명
6.5~6.15(11일)
방역활동
‘09년
인도네시아
지진(608명사망)
41명
10.1~10.7(7일)
희생자 수습(3명)
‘10년
아이티
지진 (75,000명사망)
25명
1.15~1.25(11일)
희생자 수습(33명)
‘11년
일본 센다이
9.0강진 지진(20,990여명)
107명
3.12~3.23(12일)
희생자 수습(18명)
‘13년
필리핀 타클로반
태풍(6,138명사망)
29명
11.15~12.1(17일)
희생자 수습(145명)
‘15년
네팔 카트만두
규모7.9 지진(7,675명사망)
27명
4.27~5.8(12일)
희생자 수습(8명)
‘18년
라오스 세남노이
댐 붕괴 (70명사망,200명실종)
1명
7.29~8.24(27일) 선발대 7.26~8.2(8일)
해외긴급구호선발대(의료팀지원)
‘19년
헝가리 부다페스트
유람선 침몰 (25명 사망, 1명 실종)
24명
5.30~7.30(62일)
희생자수습‧지원(18명)
역대 기관장
중앙119구조대장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초대
정정기
1995년 12월 4일 ~ 1997년 7월 28일
제2대
정거성
1997년 7월 29일 ~ 1998년 5월 14일
제3대
최현규
1998년 5월 15일 ~ 1999년 5월 17일
제4대
최진종
1999년 5월 18일 ~ 2000년 8월 8일
제5대
변상호
2000년 8월 9일 ~ 2002년 1월 21일
제6대
이철호
2002년 1월 22일 ~ 2002년 6월 26일
제7대
최철영
2002년 10월 11일 ~ 2004년 5월 31일
제8대
류해운
2004년 6월 1일 ~ 2005년 1월 23일
제9대
배철수
2005년 1월 24일 ~ 2007년 2월 15일
제10대
김영석
2007년 3월 5일 ~ 2009년 2월 5일
제11대
강철수
2009년 2월 6일 ~ 2010년 2월 8일
제12대
박청웅
2010년 2월 9일 ~ 2011년 3월 10일
중앙119구조단장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초대
이동성
2011년 3월 11일 ~ 2011년 8월 9일
제2대
김준규
2011년 9월 26일 ~ 2012년 8월 23일
제3대
강철수
2012년 8월 24일 ~ 2012년 11월 15일
제4대
이형철
2012년 11월 16일 ~ 2013년 6월 4일
중앙119구조본부장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초대
김일수
2013년 6월 5일 ~ 2015년 2월 1일
소방준감
제2대
우재봉
2015년 2월 2일 ~ 2015년 7월 5일
소방감
제3대
이형철
2015년 7월 6일 ~ 2015년 12월 31일
제4대
조종묵
2016년 1월 1일 ~ 2016년 6월 8일
제5대
김성연
2016년 6월 9일 ~ 2018년 10월 4일
제6대
김홍필
2018년 10월 5일[ 12] ~ 2019년 9월 22일[ 13]
제7대
손정호
2019년 9월 23일[ 13] ~ 2020년 1월 5일
제8대
이상규
2020년 1월 6일 ~ 2020년 12월 31일
제9대
최병일
2021년 1월 1일~ 2021년 7월 1일
제10대
조인재
2021년 7월 2일 ~ 2023년 2월 21일
제11대
김종근
2023년 2월 22일 ~ 2024년 6월 30일
제12대
성호선
2024년 7월 1일 ~ 2025년 3월 16일
제13대
김수환
2025년 3월 17일 ~
조직
본부장
소속기관
항공장비
중앙119구조본부 소속 AS365
자체 식별번호는 NR(National Rescue)을 사용한다.[ 16]
운용중
AS365 2기: 1997년(HL9451, NR101)[ 17] 1999년(HL9452, NR201)[ 17] 배치
EC225 2기: 2008년(HL9472, NR102)[ 17] 2016년(HL9619, NR202)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