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형 리프트 발사체

중형 리프트 발사체(中型Lift發射體, 영어: Medium-lift launch vehicle, MLV) 또는 중형 발사체(中型發射體)는 2,000kg에서 20,000kg의 탑재체를 LEO에 올릴 수 있는 발사체를 말한다. 2024년 기준, 중형 발사체는 궤도 발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러시아소유스미국팰컨 9은 모두 수백 차례 발사되었다.

역사

소련의 R-7 계열은 세계 최초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스푸트니크는 최초의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킨 소형 리프트 발사체의 파생 모델이었으며, R-7의 설계는 1958년 루나 발사와 함께 빠르게 용량을 확장되었다. 1960년대에는 R-7 계열이 계속해서 개발되어, 최초의 인간 우주 비행을 담당한 보스토크 1호, 여러 명의 승무원을 태운 보스코트(Voskhod), 그리고 최초의 소유스가 발사되었다.[1]

미국 최초의 중형 발사체는 특수 제작되어 1961년 첫 발사된 궤도 발사체인 새턴 I이다. 미국의 ICBM 기반 발사체로는 아틀라스, 타이탄, 델타 계열이 있다. 민간 우주 기업인 스페이스X사(社)는 2010년에 부분 재사용 가능한 발사체로 설계된 팰컨 9를 출시하였다.[2]

중국의 창정(長征) 시리즈와 유럽아리안 시리즈의 역사는 197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일본은 1986년에 H-I을 발사한 후 H-IIH-3을 개발하였다. 인도는 1993년에 PSLV를, 대한민국은 2021년에 누리호를 개발하였다.

구분

목록

현역

발사체 제조국 제조 기관 LEO 발사 중량
(kg)
對기타궤도 발사 중량
(kg)
발사 횟수 최초 비행일
팰컨 9 블록 5 미국 미국 스페이스X 18,500 (재사용)
22,800 (소모성)
GTO 7,350 (재사용)
GTO 8,300 (소모성)
화성 4,020
440 2018년
소유스-2 러시아 러시아 프로그레스 8,200 GTO 3,250
SSO 4,400
175 2006년
창정 4A·4C 중국 중국 상하이 항천기술연구원 4,200 GTO 1,500
SSO 2,800
101 1999년
아틀라스 V 미국 미국 ULA 18,850 GTO 8,900
99 2002년
창정 2D 중국 중국 상하이 항천기술연구원 3,500 SSO 1,300 89 1992년
제니트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유즈마쉬 7,000 GTO 6,160 84 1999년
창정 3B·3E 중국 중국 중국발사체기술연구원 11,150 GTO 5,500
SSO 6,900
82 2007년
창정 2C 중국 중국 중국발사체기술연구원 3,850 SSO 1,900 77 1982년
PSLV 인도 인도 인도우주연구기구 3,800 GTO 1,200
SSO 1,750
60 1993년
H-IIA 일본 일본 미쓰비시 중공업 15,000 GTO 6,000 18 2001년
창정 3A 중국 중국 중국발사체기술연구원 6,000 GTO 2,600
SSO 5,000
27 1994년
창정 2F 중국 중국 중국발사체기술연구원 8,400 GTO 3,500 23 1999년
창정 3C 중국 중국 중국발사체기술연구원 9,100 GTO 3,800
SSO 6,500
18 2008년
GSLV 인도 인도 인도우주연구기구 4,200 GTO 1,500
SSO 2,800
16 1999년
창정 7호·7A 중국 중국 중국발사체기술연구원 13,500 GTO 7,000
SSO 5,500
14 2008년
소유스-2.1v 러시아 러시아 프로그레스 2,800 SSO 1,400 9 2013년
LVM3 인도 인도 인도우주연구기구 10,000 GTO 4,000 7 2017년
누리호 대한민국 대한민국 한국항공우주연구원 3,300 SSO 1,900 3 2022년
주췌 2호 중국 중국 랜드스페이스 6,000 SSO 4,000 3 2022년
창정 8호 중국 중국 중국발사체기술연구원 8,100 SSO 4,500 3 2020년
안가라 1.2 러시아 러시아 흐루니체프 3,500[3] 2 2022년
베가 C 이탈리아 이탈리아
유럽 유럽
아비오 SSO 2,300[4] 2 2022년
H3 일본 일본 미쓰비시 중공업 GTO 7,900
SSO 4,000
2 2023년
벌컨 미국 미국 ULA 10,800 (VC0)
19,000 (VC2)
GTO 3,500 (VCO)
GTO 8,400 (VC2)
2 2024년
그래비티-1 중국 중국 오리엔스페이스 6,500 SSO 4,000 1 2024년
창정 6C 중국 중국 중국발사체기술연구원 4,500 SSO 2,400 1 2024년
아리안 6 프랑스 프랑스
유럽 유럽
아리안 그룹 10,350 GTO 5,000 1 2024년
창정 12호 중국 중국 중국발사체기술연구원 10,000 SSO 6,000 1 2024년

퇴역

발사체 제조국 제조사 발사 중량 (LEO)
(kg)
발사 중량 (기타 궤도)
(kg)
발사 횟수 최초 비행일 최후 비행일
보스토크 소련 소련 RSC 에네르기아 4,730 163 1958년 1991년
새턴 I 미국 미국 크라이슬러
더글러스 에어크래프트
9,000 10 1961년 1965년
아틀라스-센타우르 미국 미국 록히드 5,100 61 1962년 1983년
타이탄 II GLV 미국 미국 마틴 3,580 12 1964년 1966년
타이탄 IIIC 미국 미국 마틴 13,100 對TMI 1,200 36 1965년 1982년
몰니야-M 소련 소련
러시아 러시아
프로그레스 2,400 280 1965년 2010년
프로톤-K 소련 소련
러시아 러시아
흐루니체프 19,760 311 1965년 2012년
소유스 소련 소련 OKB-1 6,450 32 1966년 1975년
차클론 소련 소련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유즈마쉬 2,820~5,250 GTO 500~910 236 1967년 2009년
소유스-L 소련 소련 OKB-1 5,500 3 1970년 1971년
타이탄 IIID 미국 미국 마틴 12,300 22 1971년 1982년
소유스-M 소련 소련 OKB-1 6,600 8 1971년 1979년
소유스-U 소련 소련 프로그레스 6,900 786 1973년 2017년
펑바오 1호 중국 중국 상하이 항천기술연구원 2,500 8 1973년 1981년
창정 2A 중국 중국 중국발사체기술연구원 2,000 4 1974년 1976년
타이탄 IIIE 미국 미국 마틴 마리에타 15,400 對TMI 3,700 7 1974년 1977년
델타 3920~5920 미국 미국 맥도널 더글러스 3,452~3,848 30 1980년 1990년
N-II 일본 일본 미쓰비시 중공업 2,000 8 1981년 1987년
소유스-U2 소련 소련 프로그레스 7,050 72 1982년 1995년
아틀라스 G 미국 미국 록히드 5,900 7 1984년 1989년
창정 3호 중국 중국 중국발사체기술연구원 5,000 GTO 1,340 14 1984년 2000년
제니트-2 소련 소련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유즈노예 13,470 36 1985년 2004년
H-I 일본 일본 미쓰비시 중공업 3,200 GTO 1,100 9 1986년 1992년
창정 4A 중국 중국 상하이 항천기술연구원 4,000 2 1988년 1990년
아리안 4 프랑스 프랑스
유럽 유럽
에어로스파시알 7,600 GTO 4,800 116 1988년 2003년
델타 II 미국 미국 ULA 6,100 GTO 2,170
對HCO 1,000
156 1989년 2018년
아틀라스 I·II·III 미국 미국 록히드 5,900~8,686 GTO 2,340~4,609 80 1990년 2005년
창정 2E 중국 중국 중국발사체기술연구원 9,200 7 1986년 1995년
H-II·IIS 일본 일본 미쓰비시 중공업 10,060 GTO 4,000 7 1994년 1999년
아리안 5 프랑스 프랑스
유럽 유럽
아리안 그룹 16,000 GTO 6,950 117 1996년 2023년
창정 3B 중국 중국 중국발사체기술연구원 11,200 GTO 5,100
SSO 5,700
12 1996년 2012년
델타 III 미국 미국 보잉 8,290 GTO 3,810 3 1998년 2000년
드네프르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유즈마쉬 4,500 GTO 2,300
對TLI 550
22 1999년 2015년
소유스-FG 러시아 러시아 프로그레스 6,900 70 2001년 2019년
소유스-2.1v 러시아 러시아 프로그레스 2,800 SSO 1,400 9 2013년 2025년
GSLV Mk.I 인도 인도 인도우주연구기구 4,000 GTO 2,150 6 2001년 2010년
H-IIB 일본의 기 일본 미쓰비시 중공업 19,000 GTO 8,000 9 2009년 2020년
팰컨 9 v1.0 미국 미국 스페이스X 10,450 GTO 4,540 5 2010년 2013년
안타레스 110·120·130 미국 미국 오비털 5,100 SSO 1,500 5 2013년 2014년
팰컨 9 v1.1 미국 미국 스페이스X 13,150 GTO 4,850 15 2013년 2016년
팰컨 9 풀 스러스트 블록 3·4 미국 미국 스페이스X 15,600+[5] GTO 7,075+[6] 36 2015년 2018년
안타레스 230·230+ 미국 미국 노스롭그루먼 8,000[7] SSO 3,000 13 2016년 2023년

같이 보기

각주

  1. Siddiqi, Asif. “Soviet/Russian Launch Vehicles”. 《U.S. Centennial of Flight Commission》. 2024년 12월 21일에 확인함. 
  2. Chang, Kenneth (2015년 12월 21일). “Spacex Successfully Lands Rocket after Launch of Satellites into Orbit”. 《The New York Times》. 2015년 12월 22일에 확인함. 
  3. “Angara launchers family on manufacturer website”. Khrunichev.ru. 2014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Jan 2014에 확인함. 
  4. “Archived copy”. 17 September 2015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5 September 2015에 확인함. 
  5. Burghardt, Thomas (2019년 11월 11일). “SpaceX and Cape Canaveral Return to Action with First Operational Starlink Mission”. 《NASASpaceFlight.com》. 2019년 11월 11일에 확인함. 
  6. Krebs, Gunter. “Telstar 19V (Telstar 19 Vantage)”. 《Gunter's Space Page》. Gunter. 2018년 8월 7일에 확인함. 
  7. Krebs, Gunter. “Antares (Taurus-2)”. 《Gunter's Space Page》. 2018년 9월 22일에 확인함.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