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도 제811호선

전라남도 지방도
811
지방도 제811호선
몽탄 ~ 손불선
지방도 제811호선
총연장 38.5km
기점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사창리
주요
경유지
전라남도 무안군
전라남도 함평군
종점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월천리
주요
교차도로
서해안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지방도 제808호선
지방도 제815호선
지방도 제825호선

지방도 제811호선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사창리에서 함평군 손불면 월천리삼거리를 잇는 전라남도지방도이다.

무안군 무안읍 ~ 함평군 엄다면 구간에서 국도 제1호선과 중복되며, 중복되는 구간에 무안 나들목이 있어 서해안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1983년에는 노선명이 '목포 ~ 현경선'이었다가 1995년 12월 8일 '몽탄 ~ 무안선'으로 단축되었고 1996년 11월 25일 다시 '목포 ~ 무안선'으로 연장되었다.

연혁

  • 1983년 12월 14일 : 도로 확포장공사를 위해 무안군 몽탄면 다산리 ~ 약곡리 4.84km 구간과 목포시 석현동 ~ 무안군 일로읍 월암리 7.0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
  • 1984년 12월 10일 : 도로 확포장공사를 위해 무안군 몽탄면 약곡리 ~ 일로읍 월암리 9.16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
  • 1985년 12월 23일 : 기점을 '목포시 석현동', 종점을 '무안군 현경면 평산리'로 명시하고 도로개량이 완료된 목포시 석현동 910m 구간과 무안군 삼향면 임성리 ~ 일로읍 월암리 4.408km 구간, 무안군 몽탄면 약곡리 ~ 무안읍 성동리 9.938km 구간, 무안군 무안읍 교촌리 ~ 현경면 평산리 7.41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3]
  • 1987년 1월 22일 : 목포시 석현동 ~ 무안군 현경면 평산리 38.34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4]
  • 1988년 1월 4일 : 목포시 석현동 ~ 무안군 현경면 평산리 37.43km 구간 도로예정지 해제[5]
  • 1994년 10월 10일 : 1996년까지 무안 ~ 현경간 도로(무안군 무안읍 성동리 ~ 현경면 외반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6.6km 도로구역 변경[6]
  • 1995년 12월 8일 : 기점을 기존 목포시 석현동에서 '무안군 몽탄면 청용리'로 단축하고 종점을 무안군 현경면 평산리에서 '무안군 무안읍 성동리'로 단축함. 이에 따라 노선명을 '목포 ~ 현경선'에서 '몽탄 ~ 무안선'으로 변경하고 총 연장 16.1km가 됨.[7]
  • 1996년 4월 1일 : 1996년 12월까지 선형개량공사를 위해 무안군 몽탄면 다산리 8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8]
  • 1996년 11월 25일 : 국가지원지방도 지정으로 인해 기점을 기존 무안군 몽탄면 청용리에서 '무안군 삼향면 임성리'로 연장함. 이에 따라 노선명을 '몽탄 ~ 무안선'에서 '목포 ~ 무안선'으로 변경하고 총 연장 31.4km가 됨.[9]
  • 2002년 2월 27일 : 2006년 12월까지 일로 ~ 임성간 도로(목포시 석현동 ~ 무안군 일로읍 월암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7.2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0]
  • 2003년 3월 27일 : 기점을 무안군 몽탄면 청용리에서 '무안군 몽탄면 사창리'로 단축하고, 종점을 무안군 무안읍 성동리에서 '함평군 손불면 월천리'로 연장함. 이에 따라 노선명을 '몽탄 ~ 무안선'에서 '몽탄 ~ 손불선'으로 변경하고 총 연장 38.5km가 됨.[11]
  • 2005년 7월 5일 : 2006년 12월까지 용산지구(무안군 일로읍 상신리 ~ 몽탄면 청룡리) 개량공사를 위해 1.18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2]
  • 2008년 2월 5일 : 일로 ~ 임성간 도로 공사기간을 2009년 12월까지로 연기[13]
  • 2009년 1월 13일 : 2012년 12월까지 석성 ~ 가동간 도로(함평군 함평읍 석성리 ~ 가동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3.93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4]
  • 2010년 11월 26일 : 2013년 12월까지 엄다 ~ 자풍간 도로(함평군 엄다면 엄다리 ~ 함평읍 자풍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5.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5]
  • 2012년 3월 5일 : 석성 ~ 가동간 도로(함평군 함평읍 석성리 ~ 가동리) 3.9km 구간 확장 개통[16]
  • 2014년 6월 26일 : 엄다 ~ 자풍간 도로 공사기간을 2016년 12월까지로 연기[17]
  • 2014년 7월 17일 : 2019년까지 무안 ~ 몽탄간 도로(무안군 무안읍 성동리 ~ 몽탄면 사창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6.21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8]
  • 2016년 6월 30일 : 엄다 ~ 자풍간 도로(함평군 엄다면 엄다리 ~ 함평읍 자풍리) 5.2km 구간 확장 개통[19]

주요 경유지

  • 무안군
    • 몽탄면 (미개통 구간 : 사창리) - 무안과선교 - 무안역 - 몽탄면사창리 교차로 - 다산리
    • 무안읍 성암리 - 무안종합병원 - 성동삼거리 - 성동리 - 송촌교
  • 함평군
    • 엄다면 무안 나들목 - 엄다리 - (1차선 구간 : 엄다중학교 (폐교) - 송로리)
    • 함평읍 (1차선 구간 : 신계리 - 성남리 - 자풍리) - 자풍삼거리 - 만흥리 - 장교리 - 장교사거리 - 옥산리 - 가동삼거리 - 가동리 - 석성3리 교차로 - 돌머리1 교차로 (돌머리해변) - 석성리 - 주포삼거리 - 주포교
    • 손불면 주포교 - 신흥삼거리 - 궁산리 - 석창리 (해석마을) - (미개통 구간 : 석창리 - 산남리 - 백옥리) - 백옥교 - 손불면월천리 교차로 - 월천리삼거리

중복 구간

도로명

각주

  1. 전라남도고시 제169호, 1983년 12월 14일.
  2. 전라남도고시 제167호, 1984년 12월 10일. 전라남도 도보 제1637호.
  3. 전라남도공고 제343호, 1985년 12월 23일. 전라남도 도보 제1690호.
  4. 전라남도공고 제7호, 1987년 1월 22일. 전라남도 도보 제1747호.
  5. 전라남도공고 제4호, 1988년 1월 4일. 전라남도 도보 제1797호.
  6. 전라남도고시 제1994-197호, 전라남도공고 제1994-165호, 전라남도공고 제1994-166호, 1994년 10월 10일.
  7. 전라남도공고 제1995-220호, 1995년 12월 8일. 전라남도 도보 제2212호.
  8. 전라남도고시 제1996-44호, 전라남도공고 제1996-46호, 전라남도공고 제1996-47호, 1996년 4월 1일. 전라남도 도보 제2229호.
  9. 전라남도공고 제1996-257호, 1996년 11월 25일. 전라남도 도보 제2268호.
  10. 전라남도고시 제2002-22호, 전라남도공고 제2002-58호, 전라남도공고 제2002-59호, 2002년 2월 27일.
  11. 전라남도공고 제2003-111호, 2003년 3월 27일.
  12. 전라남도공고 제2005-352호, 전라남도고시 제2005-103호, 2005년 7월 5일.
  13. 전라남도공고 제2008-85호, 전라남도고시 제2008-21호, 2008년 2월 5일.
  14. 전라남도공고 제2009-7호, 전라남도고시 제2009-3호, 2009년 1월 13일.
  15. 전라남도공고 제2010-787호, 전라남도고시 제2010-352호, 2010년 11월 26일.
  16. 전라남도 공고 제2012-158호, 2012년 3월 13일.
  17. 전라남도고시 제2014-170호, 전라남도공고 제2014-550호, 2014년 6월 26일.
  18. 전라남도고시 제2014-219호, 2014년 7월 17일.
  19. 전라남도공고 제2016-602호, 2016년 6월 30일.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