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도 제820호선

전라남도 지방도
820
지방도 제820호선
삼향 ~ 장평선
지방도 제820호선
총연장 70.5km
기점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임성리
주요
경유지
전라남도 무안군
전라남도 영암군
전라남도 나주시
전라남도 장흥군
종점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늑용리
주요
교차도로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지방도 제801호선
지방도 제815호선
지방도 제817호선
지방도 제821호선
지방도 제825호선
지방도 제839호선

지방도 제820호선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임성리와 장흥군 장평면 봉림리 장평 교차로를 잇는 전라남도지방도이다.

1995년 12월 8일 무안군 일로읍에서 시작해 나주, 영암을 거쳐 장흥군 장평면까지 이어지는 노선인 '일로 ~ 장평선'으로 최초 지정되었으며, 2003년 3월 27일 삼향면 ~ 일로읍 구간과 장흥군 장평면 ~ 유치면 구간을 연장해 지금의 '삼향 ~ 장평선'이 되었다.

본래 기점은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임성리로 되어 있으나 2014년 7월 1일 임성 ~ 일로간 도로가 개통되면서 실질적인 기점은 전라남도 목포시 석현동으로 변경되었다.

연혁

  • 1995년 12월 8일 : 기점을 '무안군 일로읍 월암리', 종점을 '장흥군 장평면 봉림리'로 하여 57.5km 구간을 지방도 제820호선 '일로 ~ 장평선'을 새로 지정[1]
  • 1996년 12월 9일 : 1997년 12월까지 반남 ~ 덕산간 도로(나주시 반남면 흥덕리 ~ 영암군 신북면 학동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3.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97년 12월까지 보림사 ~ 세지간 도로(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1.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
  • 1997년 8월 20일 : 1999년 5월까지 동산교(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개수공사를 위해 6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3]
  • 1999년 1월 20일 : 2002년까지 세지 ~ 유치간 도로(나주시 봉황면 덕림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5.4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002년까지 유치 ~ 대천간 도로(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 대천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3.5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
  • 1999년 10월 20일 : 탐진댐 건설로 인한 도로 수몰 구간 이설을 진행해 종점을 기존 장흥군 장평면 봉림리에서 '장흥군 유치면 늑용리'로 변경함. 이에 따라 노선명을 '일로 ~ 장평선'에서 '일로 ~ 유치선'으로 변경하고 총 연장 57.56km가 됨.[5] 2003년 1월까지 탐진댐 수몰지구 이설공사로 인해 무안군 일로읍 월암리 ~ 장흥군 장평면 봉림리 59.0km 구간을 무안군 일로면 월암리 ~ 장흥군 유치면 늑용리 57.56km 구간으로 도로구역 변경[6]
  • 2000년 6월 20일 : 2004년 12월까지 신북 ~ 왕곡간 도로(영암군 신북면 학동리 ~ 나주시 왕곡면 행전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2.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7]
  • 2002년 2월 27일 : 2005년 12월까지 보림사 우회도로(장흥군 유치면 늑용리 ~ 봉덕리) 개설공사를 위해 2.9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8]
  • 2003년 3월 27일 : 기점을 무안군 일로읍 월암리에서 '무안군 삼향면 임성리'로, 종점을 장흥군 장평면 봉림리에서 '장흥군 유치면 늑용리'로 연장함. 이에 따라 노선명을 '일로 ~ 장평선'에서 '삼향 ~ 장평선'으로 변경하고 총 연장 70.5km가 됨.[9]
  • 2005년 5월 20일 : 2010년 12월까지 유치 ~ 이양간 도로(장흥군 유치면 용문리 ~ 장흥군 장평면 봉림리) 개량공사를 위해 2.55km 구간을 2.3km로 변경[10]
  • 2005년 7월 5일 : 2008년 12월까지 청룡 ~ 세류간 도로(영암군 금정면 세류리 ~ 청룡리) 개량공사를 위해 1.25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1]
  • 2008년 11월 5일 : 신북 ~ 왕곡간 도로 확포장공사 기간을 2009년 12월까지로 연기[12]
  • 2010년 7월 13일 : 2011년 4월까지 장흥 용문지구(장흥군 유치면 용문리) 개량공사를 위해 3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3]
  • 2010년 11월 26일 : 2013년 12월까지 덕곡 ~ 세류간 도로(나주시 봉황면 덕곡리, 영암군 금정면 세류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총 2.9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4]
  • 2012년 6월 27일 : 금정 ~ 유치간 도로(영암군 금정면 청용리 ~ 장흥군 유치면 대천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5.7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5]
  • 2012년 11월 27일 : 일로 ~ 임성간 도로 공사기간을 2013년 12월까지로 연기[16]
  • 2013년 6월 5일 : 2015년까지 보림교(장흥군 유치면 봉덕리 ~ 용문리) 개축공사를 위해 4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7]
  • 2013년 8월 27일 : 2024년 12월까지 일로 ~ 시종간 도로(무안군 일로읍 복룡리 ~ 영암군 시종면 구산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4.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8]
  • 2014년 1월 16일 : 2014년 12월까지 내동 ~ 구산간 도로(영암군 시종면 내동리) 개량공사를 위해 5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9]
  • 2014년 4월 17일 : 덕곡 ~ 세류간 도로 공사기간을 2015년 12월까지로 연기[20]
  • 2014년 7월 1일 : 임성 ~ 일로간 도로(목포시 석현동 ~ 무안군 일로읍 월암리) 7.23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무안군 삼향읍 임성리 ~ 일로읍 월암리 4.6km 구간 폐지[21]
  • 2014년 8월 7일 : 2019년까지 시종 ~ 나주간 도로(나주시 왕곡면 행전리 ~ 양산리) 확포장공사를 위해 3.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2]
  • 2015년 12월 17일 : 봉황 ~ 금정간 도로(나주시 봉황면 덕곡리 ~ 영암군 금정면 세류리) 2.94km 구간 신설 개통[23]
  • 2020년 2월 6일 : 나주시 왕곡면 행전리 ~ 양산리 3.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나주시 왕곡면 행전리 ~ 덕산리 총 1.6 km 구간 폐지[24]

주요 경유지

전라남도
  • 목포시
    • 삼향동 목포미래병원 - 선곡 교차로 - 신지 교차로
  • 무안군
    • 삼향읍 임성리역 - 삼향읍사무소앞 교차로 - 삼향 교차로 - 상용 교차로 - 대안 교차로 - 용포리 - 용포 교차로 - 계두교 - 맥포리 - (작은강교) - (큰강교)
    • 일로읍 (큰강교) - 월암 교차로 - 일로읍사무소앞 교차로 - 일로성당(구 일로역 앞) - 일로우체국 - 일로초등학교 - (일로재래시장) - 연화교 - 용산리 - 산정리 - 무안회산백련지 - 복룡리 - (미개통 구간)
  • 영암군
    • 시종면 (미개통 구간) - 구산리 - 시종면구산리 교차로 - 내동리 - 시종면내동리 교차로 - 시종터미널앞 교차로 - 시종교 - 시종파출소 - 시종면만수리 교차로 - 금지리 - 종남교
  • 나주시
    • 반남면 흥덕리 - 반남면흥덕리 교차로 - (부흥.흥덕) - 반남우체국 - 반남면 행정복지센터 앞 교차로 - 마한농협 - 반남치안센터 - 신촌리 - 반남초등학교 - 국립나주박물관 - 덕산리
  • 영암군
  • 나주시
    • 왕곡면 행전리 - 화정리 - 덕산리 - 양산리 - 양산초등학교 - 양산삼거리 - 왕곡 교차로 - 상사마을앞 - 신원리
    • 세지면 죽동리 - 죽동삼거리 - 나주캠프(구 세지서초등학교) - 송제리 - 교산리 - 발산교 - 벽산리 - 동창사거리 - 동창교 - 동창터미널 - 세지삼거리 - 세지 교차로
    • 봉황면 덕림 교차로 - 봉황면덕림리 교차로(연봉 교차로) - 전라남도도로관리사업소 - 만봉리 - 덕곡리 - 덕용 교차로 - (교량) - (생태통로)
  • 영암군
    • 금정면 (생태통로) - 세류 교차로 - 금정초등학교 청용분교(폐교) - 동산교 - 내산교 - (시재)
  • 장흥군
    • 유치면 (시재) - 운월리 - 대천교 - 대천리 - 오목교 - 봉덕리 - 동산교 - 봉덕교 - 보림터널(480m) - 용문3교 - 용문교 - 용문1교 - 유치 교차로 - 피재생태통로(200m)
    • 장평면 피재생태통로(200m) - 경림 교차로 - 장평 교차로

중복 구간

도로명

각주

  1. 전라남도공고 제1995-220호, 1995년 12월 8일. 전라남도 도보 제2212호.
  2. 전라남도고시 제1996-336호, 전라남도공고 제1996-275호, 전라남도공고 제1996-276호, 1996년 12월 9일. 전라남도 도보 제2271호.
  3. 전라남도고시 제1997-229호, 전라남도공고 제1997-147호, 전라남도공고 제1997-148호, 1997년 8월 20일.
  4. 전라남도고시 제1999-4호, 전라남도공고 제1999-6호, 전라남도공고 제1999-7호, 1999년 1월 20일.
  5. 전라남도공고 제1999-385호, 1999년 10월 20일.
  6. 전라남도고시 제1999-227호, 1999년 10월 20일.
  7. 전라남도공고 제2000-184호, 전라남도공고 제2000-185호, 전라남도고시 제2000-120호, 2000년 6월 20일.
  8. 전라남도공고 제2002-55호, 2002년 2월 27일.
  9. 전라남도공고 제2003-111호, 2003년 3월 27일.
  10. 전라남도공고 제2005-267호, 전라남도공고 제2005-268호, 전라남도고시 제2005-70호, 2005년 5월 20일.
  11. 전라남도공고 제2005-352호, 전라남도고시 제2005-103호, 2005년 7월 5일.
  12. 전라남도공고 제2008-689호, 전라남도고시 제2008-260호, 2008년 11월 5일.
  13. 전라남도공고 제2010-468호, 전라남도고시 제2010-216호, 2010년 7월 13일.
  14. 전라남도공고 제2010-787호, 전라남도고시 제2010-352호, 2010년 11월 26일.
  15. 전라남도고시 제2012-211호, 2012년 6월 27일.
  16. 전라남도고시 제2012-415호, 2012년 11월 27일.
  17. 전라남도고시 제2013-138호, 2013년 6월 5일.
  18. 전라남도고시 제2013-255호, 2013년 8월 27일.
  19. 전라남도고시 제2014-10호, 전라남도공고 제2014-34호, 2014년 1월 16일.
  20. 전라남도고시 제2014-95호, 2014년 4월 17일.
  21. 전라남도공고 제2014-522호, 2014년 6월 12일.
  22. 전라남도고시 제2014-243호, 2014년 8월 7일.
  23. 전라남도공고 제2015-1075호, 2015년 12월 17일.
  24. 전라남도공고 제2020-137호, 2020년 2월 6일.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