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아입구탈아입구(일본어: 脱亜入欧, だつあにゅうおう 다쓰아뉴오[*], 영어: Leaving Asia and Entering Europe, Leaving Asia for Europe, Japan’s policy of embracing Westernization by distancing itself from Asia)는 일본 개화기에 일본의 나아갈 길로 제시된 사상이며, 유럽화를 추구하는 국가들에게서도 사용된다. 글자 그대로 '아시아를 벗어나 유럽으로 들어간다'는 뜻이다. 탈아입구는 아시아나 유교 문화를 벗어나자는 탈아사상이 한층 발전된 사상이다. 탈아입구론의 시초로 흔히 알려진 것은 1885년 3월 16일, 일본 메이지 시대 일간 신문 가운데 하나였던 지지신포(時事新報)는 〈탈아론〉(일본어: 脱亜論, だつあろん 다쓰아론[*])이라는 제목의 사설이다. 보수적인 청나라, 조선 정부에서 벗어나 서구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으며, 저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일본의 사상가 후쿠자와 유키치가 집필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이 사설에는 유럽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대한 내용은 포함되어있지 않으며, 1933년에 후쿠자와 전집에 포함된 것을 제외하면 1950년대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사설이 되었다. 이후 1887년 스즈키 겐타로에 의해 탈아입구라는 말이 쓰이기 시작했다. 요약〈탈아론〉 기사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같이 보기외부 링크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