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나트륨
소듐이 학회공식명칭이고 또한 국제사회에서 많이 쓰는 용어이기 때문에 소듐을 주 항목으로 하고 나트륨은 소듐으로 redirection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ezgoin 2007년 1월 21일 (일) 09:46 (KST) 국제 사회가 영어만 쓰는 게 아니고 언어마다 부르는 방식이 다 따로 있습니다. 한국어에서 잘 써 오던 나트륨이라는 말을 왜 대한화학회가 멋대로 바꾼 소듐으로 써야 합니까?
나트륨 및 칼륨 문서이제 슬슬 소듐하고 포타슘으로 옮겨야 되지 않을까요? [1] 개정한지도 오래되었는데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옮겨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66 Quotation Marks. 99 2008년 1월 7일 (월) 14:38 (KST) -- 66 Quotation Marks. 99 2008년 1월 7일 (월) 14:38 (KST)
나트륨으로 재이동대한화학회의 화학편수자료[2]를 봐도 "널리 사용되어서 이미 굳어져버린 ‘나트륨’, ‘칼륨’, ‘에테르’ 등은 기존의 이름을 그대로 수용하기로 하였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타 기관의 표기법을 봐도 나트륨/칼륨으로 적고 있고요. -- ChongDae (토론) 2010년 2월 22일 (월) 12:30 (KST)
소듐/포타슘을 우선한 자료는 1998년 발표된 "화합물 명명법" 중 "무기화합물 명명법"이며, 그후에 작성된 2002년 작성된 "교육과정·교과용도서 편찬 용어 정리 및 지침"을 위한 "화학편수자료"에는 "나트륨"/"칼륨"/"에테르"를 수용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0년 12월 16일 (목) 11:31 (KST) 소듐으로의 이동원소의 국제명은 IUPAC에서, 우리나라 명칭은 대한화학회에서 정합니다. 그리고 2007년도부터 독일식 명칭을 IUPAC 명칭으로 바꾸기로 합니다.[1]
『화합물명명법』편수자료 II. 우리 말 명명법의 일반 원칙 2. 독일어 이름이나 독일어식 표기로 나타내던 원소의 이름은 모두 IUPAC 이름으로 바꾼다. 그러나 나트륨(sodium)과 칼륨(potassium)의 경우는 지금까지 사용해오던 이름을 당분간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되, IUPAC 이름인 '소듐'과 '포타슘'으로 부를 수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2]
--Pcbsder (토론) 2012년 3월 8일 (목) 13:48 (KST) 편수 자료를 보면 나트륨/칼륨을 기본으로 하고, 소듐/포타슘을 병용하는 것 아닌가요? 화합물 이름을 보면 '염화 소듐'이 아닌, '염화 나트륨'으로 되어 있는것처럼요. -- ChongDae (토론) 2012년 3월 12일 (월) 13:48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11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나트륨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11월 13일 (화) 15:36 (KST) 소듐으로의 이동 (2)외부 링크 수정됨 (2022년 1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나트륨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2년 1월 17일 (월) 02:54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2년 12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나트륨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2년 12월 16일 (금) 11:55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