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수인선
현재 수인선에 대해서...안산 신도시 개발로 인해서 변형이 된 수인성에 대한 언급이 없군요. 더불어서 신안산선과의 교차에 대한 언급도 올려주셨으면 합니다. 질문첫 문단을 보면, 분당선과 직결되는건지, 안산선과 직결되는건지 알 수 없게 서술해 놨습니다. 명확한 표기가 필요합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메일 2009년 11월 12일 (목) 18:17 (KST)
신설역이 아닌 폐역명을 포함한 것도 모두 가칭이다?혹시나 제가 여쭐 게 하나 있어서 여길 찾아왔습니다. 신설될 6개 역들(봉담, 고색, 월곷, 국제여객선터미널, 논현택지, 연수)는 가역명으로 즉시 판단할 수 있지만, 미개통구간의 역명은 모두 가칭이다 라는 말이 폐선구간도 포함하나요, 아니면 폐선되었으며 그때 전부 폐선되었고, 아직 부활하지 아니한 구간은 제외하나요? 논현역은 또 어떻구요.... 논현역은 서울 7호선에 논현역이 있으니 군자/정왕역의 상황처럼 다른 역명이 될 수도 있구요. 제 생각으론 송도역은 연수구내에서 사람들이 계속 그렇게 부르고 있으니 당시이름 그대로 부활해야 할것 같고... 제 생각으로는 7개역(뉴 6개역들/논현역)은 이름이 바뀌어야 할거 같고 나머지는 그대로 부활할것 같은데... 가능한한 수인선#복선 전철화시에서도 그것을 구체적으로 '-어떻게?-'라고 표현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경춘선의 경우도 새로 건설될 세 역들만 가역명이라고 했으니, 수인선도 좀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셨으면 합니다. 그럼 감사하겠습니다. Have a nice day ♦♥-해리포터 (토론) 2010년 7월 17일 (토) 16:12 (KST)
이 문서는 폐역과 영업중지역이 모두 사라졌네요굳이 현재 영업하는 구간만 남길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경부선과 같이 현재 수도권 전철 운행 구간과 나머지 구간을 따로 하면 되지 않을까요. -義王 - 五峯 - 恩德 五道 주행거리계 (토론) 2012년 7월 1일 (일) 13:27 (KST)
한대앞-오이도저는 수인선의 노선도(BS map)를 편집했던 사람인데, 처음에는 수원역 부근 철도접속상태(경부선, 수려선 등), 한대앞-오이도 구간, 송도-인천항 구간을 표시했습니다. 그 이유는 이런 구간들이 과거에 수인선의 구간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부분이 필요없다고 생각하시는 분도 있는 것 같습니다. 본문에 한대앞-오이도 구간은 4호선과 선로를 공유한다고 되어 있는데, 이 부분을 자세히 나타내는 것에 대하여 다른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참고로 영어판 위키백과에는 이 구간이 표시되어 있습니다.Bh116k (토론) 2012년 7월 27일 (금) 07:40 (KST)
수도권 전철 수인선타는 사람도 없으면서 왜 표준궤 복선전철화했는지 의문이네요. 걍 그때 그 선형 살려 재개통할 수도 있는데, 그리고 수려선도 그대로 복원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타는 사람도 없는데 수려선 대체재를 만들지 말고 그때 그대로 복원하는 게 효율적입니다. 그리고 차량도 복원해서 다시쓰고요. 그래야 효율적입니다. 저는 철도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입니다.--2018년 올림픽이 좋아요.축구고농구고 다 좋아 2017년 12월 28일 (목) 19:44 (KST)
수인선 문서 삭제 신청에 이의 남깁니다.위키백과에는 운행 계통에 따른 노선 문서(예시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 등등)뿐만 아닌 본래 노선(예시 - 경인선, 경부선, 일산선, 용산선 등등)의 문서도 존재합니다.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