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울러 백과사전에서 '~~입니다'등의 경어체는 인용문이 아닌이상 사용하지 말아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학교 홈페이지에서 그대로 가져다가 붙이는 문서도 저작권 분쟁 소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출처와 함께 2차 편집을 가한후 기입해 주세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Modamoda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사용자 공간의 하위 문서라면 몰라도, 문서 공간이나 토론 공간의 하위 문서를 따로 만들어서 보관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그냥 현 토론에다가 긁어 붙여놓거나, 바뀐 내용을 보여주는 링크를 걸어놓는 것으로도 충분할 것 같네요. :) --정안영민 (토론) 2009년 9월 29일 (화) 06:31 (KST)답변
의견 감사합니다. 단순 URL로 표기된 출처를 모두 수정하였습니다. 일단 이경숙 총잔 전까지는 학교에서 직접적으로 역사에 대해 언급하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일단 자세히 서술하지 않았습니다.[1] 추후 보완하겠습니다. 숙명여대 내부 출처를 이용한 것은 그것이 더욱 자세하기 때문입니다만 외부 출처는 최대한 보강하겠습니다.--미네랄삽빠 (토론) 2010년 9월 22일 (수) 02:45 (KST)답변
목록정리
정비가 점점 되고있고 발전해 가고 있습니다. 목록을 전반적으로 좀 정리를 해야 할 거 같은데, 의견을 묻고 싶습니다.
현재 상단에 목록이 너무 깁니다. 몇가지 부분은 소주제 태그(==== 제목 ====)를 쓰는 대신에 ;를 이용해 그냥 굵은 글씨로 표시했으면 합니다.
정규학사과정의 교양과 전공
사회교육 아래의 국제언어교육원과 아카데미
이 부분은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데 혹시 이 두 기관이 학교의 정체성을 대표할 만한 기관이라면 유지하셔도 무리는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캠퍼스 아래의 1, 2, 창학캠퍼스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고, 목록식 나열과 내용 자체의 양이 많지 않아서 굳이 소주제를 넣지 않아도 괜찮으리라 생각합니다
`주요부속기관` 문단을 만들고 이 아래 박물관/도서관/교내언론을 아래로 편입
`학생활동` 문단을 만들고 총학생회와 재학생 모델을 아래로 편입
이 정도를 제안 드립니다. 타당성을 검토하시고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들 중에.. 내부출판물 외에 외부출처를 가능한 많이 찾아주시고, 학교의 위상이라거나 동문활동과 관련된 내용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모다 /토론/2010년 10월 9일 (토) 20:51 (KST)답변
몇몇 목록은 통합하여 정리할 예정입니다.
국제 언어 교육원과 르 꼬르동 블루 아카데미는 전혀 별개의 기관이고 운영 주체도 다릅니다. 또한 르 꼬르동 블루 아카데미는 코르동 블뢰 문서와 연관을 가지기 때문에 목록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총학생회은 학생 자치 기구이지만 재학생 모델은 학교 홍보실에서 운영하는 것으로서 전혀 연관이 없고, 재학생 모델은 숙명여대가 국내에서 처음 시행하였기 때문에 그 의의가 있어 따로 때어둔 것입니다.
박물관과 도서관, 교내 언론은 독자적인 내용을 갖추었다고 판단되어 따로 서술한 것입니다. 교내 언론의 하위 목록은 통합하겠습니다.
사실 저는 위상이나 동문 활동에 대하여 서술하는 것에 별로 찬성하지 않습니다. 위상이라는 항목이 주관에 매우 강한 영향을 받으며 "자랑"으로 비춰질 수도 있고 이것이 과도하면 중립성에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학교가 잘한 점이든 못한 점이든 역사나 다른 항목에 충분히 반영할 수 있다고 봅니다. 소속 학생과 달리 동문들의 활동은 이미 학교를 벗어난 영역이므로 개별 문서에서 서술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미네랄삽빠 (토론) 2010년 12월 27일 (월) 23:15 (KST)답변
모다 님의 말씀처럼 "참고가 될 정도로"라면 반대하지 않겠습니다. 여담이지만 한양대학교 문서의 역사 부분은 대부분 한양대학교 내부 출처이고 외부 출처는 거의 없군요. 학교에서 쓰는 "도약기"라든지 "비상기" 등의 역사 구분을 그대로 적용한 것도 중립성의 위반 소지가 있고요.(연도만으로 구분하고 본문에만 학교에서 비상기라고 한다라고 서술하면 충분하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한양대학교 문서에 대한 자세한 검토는 해당 문서에서 진행해야겠습니만.--미네랄삽빠 (토론) 2010년 12월 29일 (수) 23:54 (KST)답변
숙대 문서에서 조금 이야기가 새는 감이 있습니다만, 말씀하신대로 역사 부분은 대부분 학교 연혁표를 참고해서 만들었습니다. 학교 연혁표와 conflict 되는 외부출처자료가 나온다면 그때가서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인듯 하고요... 도약기나 비상기 역시 대학기록실에서 사용하는 공식 분류 명칭이 되겠습니다. 다만 말씀하신대로 부연설명에 대한 필요는 있을 것 같네요. -- 모다 /토론/2010년 12월 30일 (목) 00:06 (KST)답변
숙명여대 역사 부분도 기본 골격은 요람에 나온 연혁입니다만 나머지는 그와 연관된 신문 기사를 참고하고 있습니다. 과거 신문 기사 등의 자료를 찾아보면 충분히 보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나머지는 한양대 문서에서 토론하지요. --미네랄삽빠 (토론) 2010년 12월 30일 (목) 00:28 (KST)답변
총학생회 활동 추가
드디어 총학생회 활동이 추가되었습니다. 이로써 역사 부분에서 다루지 않았던 학생회 관련 이슈가 보강되었습니다.
매우 좋은 문서입니다만, 대문단이 너무 많다고 생각됩니다. 교육과 군사교육을 제가 일단 임의적으로 묶어보았습니다만, 교육과 사회교육도 한 문단으로 묶고 총학생회, 교내언론, 주요행사, 재학생 모델과 같은 문단을 하나로 '학교 생활' 혹은 '학생 활동'이라는 대문단으로 묶는 건 어떤지 주기여자님의 의견을 듣고싶습니다.:)--라떼처럼토론2012년 1월 25일 (수) 11:08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