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약칭 논의 모음
--김정정민(JM) (토론) 2010년 6월 3일 (목) 10:49 (KST) 북한이 국가입니까?우리나라 헌법 3조 영토조항으로서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 라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즉 북한은 불법정부 아닌가요? 뭐 여러 시각에서는 북한을 정부로 인정한다고 하지만, 우리나라 대법원과 헌재는 북한을 정부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을 국가로 봐야하는지, 불법점유집단으로 봐야할지 고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112.146.74.21 (토론) 2010년 7월 5일 (월) 00:31 (KST)
참고, 조선~어쩌고라고 해서 이상하게 생각하실 수도 있으나 이곳은 '한국어' 위키백과이므로 중립성을 지키기 위해 '북한'보다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는 단어를 주로 씁니다.진실과 환상 (聞きたい) (Contribuciones) 2010년 7월 5일 (월) 00:47 (KST) 북한, 북조선이라는 표현이 제목으로 부적당한 이유! 우리나라 대한민국(남한)의 관점에서 흔히쓰는 표현이므로! 행복한 하루 되세요..♡ --Porori (토론) 2010년 7월 5일 (월) 00:50 (KST)
위키백과는 대한민국의 관할을 받지 아니하므로 대한민국 헌법에 따를 의무가 없습니다. 또 위키백과는 편중된 시각을 서술하지 아니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편중된 시각도 첨가가 되어야 한다면 논리상 남한의 관점만 관철되는 것이 아니라 북한의 관점도 첨가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모두 국가가 아니라 불법점유집단이 됩니다. 위키백과는 중립성의 정책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런 의논 자체가 불성립됩니다. 위의 진실과 환상 사용자의 말대로 이 곳은 한국 위키백과가 아니라 한국어 위키백과입니다.(한국어 버전의 위키백과이며, 한국을 위한 위키백과가 아님) Irafox (토론) 2010년 8월 11일 (수) 17:06 (KST) 참조항목에 간도, 간도 협약, 녹둔도를 첨부하였던 이유는, 통일 후 중국과 러시아와의 국경확정과 관련있기 때문입니다.참조항목에 간도, 간도 협약, 녹둔도를 첨부하였던 이유는, 통일 후 중국과 러시아와의 국경확정과 관련있기 때문입니다. 조선족관련 링크도 비슷한 맥락입니다. 링크를 들어가보면 구로구청, 영등포구청, 한국산업인력공단, 삼성전자 등 국내 유관기관의 배너도 있어서 넣었습니다. 현재는 별 관련 없어보이지만요--218.232.218.69 (토론) 2010년 8월 11일 (수) 17:01 (KST)
국가 틀이 어디갔나요?왜 북한 국가 틀만 없어졌나요?Jonghyun0411 (토론 / 메일) 2010년 8월 25일 (수) 18:55 (KST)
'한국어(Korean)판 위키백과' 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화어' 표기가 허용되지 않는 이유?제목 그대로입니다. 아래 토론 내용을 보니, 한반도에는 두 개의 합법적인 국가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가 있다 (UN 국제법) 고 합의가 된듯 합니다. 한국어(Korean)을 쓰는 국가는 국제적으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고, 대한민국에선 서울표준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선 평양문화어를 공식적으로 채택하고 있는데, 어째서 표준어만 허용이 되고 문화어는 허용이 되지 않는지요? Antirat (토론) 2011년 5월 14일 (토) 03:39 (KST)
중립적 표현에 대해서는 이미 다수의 편집자와 열람자에 의해 이해관계가 성립되어있는 내용이기 때문에, 그 이해관계 설득이 불가능하다면 당연히 수정되어져선 안됩니다. Insers (토론) 2011년 5월 15일 (일) 21:09 (KST)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련 문서는 문화어를 쓰는 게 원칙 아닌가요?그런데 왜 표준어로 되어있나요? --211.179.112.45 (토론) 2011년 7월 8일 (금) 01:51 (KST)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명칭 관련 항목에서누군가가 네티즌들은 부카니스탄이라고도 부른다. 라는 항목을 추가했는데 이것을 넣어야하는 것인가요?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Astronauthang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보호 관련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표도 편집회손에 대비해 준보호 해야하지 않을까요?--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분당선M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주석에 통치자을 편집해야 되는데 준보호 좀 풀어주시죠??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61.97.208.253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북한이 전제군주국?황당한 주장이군요. 사실상 전제군주제도로 운영된다 하더라도, 국가의 형태는 그 형식적인 제도에 의해 정의됩니다. 제가 틀렸을수도 있으므로, 일단 출처 태그를 붙여놓고, 합당한 출처가 없다면, 문헌을 찾아서 올바로 고치도록 하겠습니다. --10k (토론) 2014년 2월 6일 (목) 03:05 (KST) 약칭 문제: 북한 vs 조선 vs 북조선 vs 공화국, 남한 vs 한국 vs 대한민국, 중국 vs 중화인민공화국?약칭을 통일해서 문서의 일관성을 만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북한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약칭이 혼용되고 있는데, 특별한 문맥상 필요가 아니라면 하나로 통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갖가지 문제점이 있는데, 뭘로든 합의를 도출하도록 합시다.
'재수없는 김정은 정권'?개인적으로 김정은을 좋아하지는 않고, 실제로도 김정은이 독재자라는 건 부인할 순 없지만, '재수없는'이라고 표현해도 괜찮은 건가요? 보니깐 누가 그렇게 써놓아갔고...--SouthSudan (토론) 2015년 2월 26일 (목) 20:55 (KST)
북한김정은집권후 공산주의 용어를 다시사용했습니다. 이건 써도 되죠 현성민 (토론) 2017년 7월 2일 (일) 16:53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9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5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9월 5일 (수) 09:05 (KST) '많은 나라의 규탄을 받고 있다'는 표현이 위키에 적절한가요백과사전에 특정 세력의 규탄을, 출처 없이 기재하는 것은 오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11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8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11월 18일 (일) 09:38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4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9년 4월 16일 (화) 16:59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7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9년 7월 4일 (목) 04:57 (KST) 2019년 10월 13일의 편집 요청
119.110.192.10 (토론) 2019년 10월 13일 (일) 09:58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0년 1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0년 1월 31일 (금) 14:12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0년 2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0년 2월 15일 (토) 23:35 (KST) 2020년 2월 25일의 편집 요청
2특별시를 3특별시로 바꿔주시기 바랍니다. 121.161.13.173 (토론) 2020년 2월 25일 (화) 13:06 (KST)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체제는 공산주의 체제라 하기에는 너무 중국식 시장경제로 갔습니다. 일단은 변경을 하여야 하지 않을꺼요???문재인 대통령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시장 경제의 도입이 이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고 보도가 나왔음을 알수가 있고 특히 김정은이 단행한 각종 경제개혁조치가 더해진 결과라는 게 많은 탈북자와 전문가의 분석이 더해졌다고 나왔음을 알수가 있습니다.[1] 그리고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임수호 책임연구위원은 이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생산수단 사유화를 제한적으로나마 인정하고 있으며 특히 기업들의 의무 달성 목표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가격을 결정할 수 있는 기업소 지표도 확대했으며 특히 농지의 돈을 주고 1년 임대도 가능하다고 밝혔음을 알수가 있습니다.[2] 그래서 공산주의를 제외하고 경제체제를 자본주의로 바꾸는 대신 정치체제를 사회주의로 바꾸는게 어떨지 건의드리고자 합니다. 그것이 맞는것이 되니 토론을 좀 요구하고자 합니다. 민주집중제도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 왜냐면 김정은 시대에 들어 정치국 상무위원들을 중심으로한 정치국 중심의 집단지도체제를 완성을 하게 되었고 그러하게 돌아가고 있음을 알수가 있다는 것이라는 내용이 있음을 알수가 있습니다.[3][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체제는 민주 집중제로 바꾸고 경제체제는 자본주의로 바꾸는 것이 알맞다고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러하게 협의를 해주신다면 감사의 말씀을 미리 드리게됩니다. 부탁드립니다. --Dlwnsgh963 (토론) 2020년 3월 10일 (화) 15:29 (KST)
조선왕조와의 구분1392년의 조선은 둄션 이라고 하고 현대의 조선을 그냥 조선 이라고 하면 혼동을 피할 수 있습니다. Kokospice2 (토론) 2020년 8월 19일 (수) 12:42 (KST) 글의 대한 생각이 글은 이해하기도 읽지도 못할정도로 길게 쓰여있습니다. 수정을 했으면 합니다. 노준성 (토론) 2021년 1월 8일 (금) 11:12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1년 4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1년 4월 3일 (토) 15:00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2년 1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2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2년 1월 4일 (화) 07:31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2년 2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2년 2월 1일 (화) 10:40 (KST) 북한이라는 용어 사용북한이라는 용어를 첫 문장에서 사용할지 여부에 대한 분쟁이 일어났습니다. 토론:한국#남북한 및 한국사 용어 사용과 이 안건에서 제 의견은 거의 같습니다. 이 건에서의 구체적인 제 의견은 특수:차이/33867109에서의 제 편집요약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Yahoogoogle1: 지금부터라도 아무런 설명 없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서에서 제 편집을 되돌리지 않고 토론란에서 의견을 남겨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데니스3 (토론) 2022년 12월 28일 (수) 18:35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3년 1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3년 1월 3일 (화) 13:06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3년 2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3년 2월 18일 (토) 17:29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4년 2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4년 2월 23일 (금) 16:52 (KST)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명칭에 대해...우리나라에서는 현재까지도 각종 TV 프로그램이나 뉴스에서 보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 하지 않고 북한이라는 국호를 사용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차라리 국호를 북한으로 바꿨으면 좋겠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Lhw101212 (토론) 2024년 5월 16일 (목) 01:34 (KST)
북한 관련한 문서는 문화어를 사용할까요?위키백과 사용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북한 관련한 문서는 문화어를 사용할까요? Piggy Studio (토론) 2024년 7월 14일 (일) 19:17 (KST) 외부 링크 수정됨 (2024년 11월)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4년 11월 30일 (토) 18:10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