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수인선}}은 제가 만든 틀입니다만, 가만히 생각해 보니까 {{수인선}}에 합쳐놔도 전혀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경춘선}}에서처럼 잘 정리하면 수도권 전철 수인선 운행 범위와 안산선 병행 구간, 그리고 현재 폐역 상태인 곳을 충분히 잘 설명할 수 있으리라 봅니다. 그래서 병합을 제안합니다. --Yes0song (토론) 2012년 6월 12일 (화) 14:29 (KST)답변
전자는 6월 30일 개통 시점부터 적용될 영업 거리표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알고 있고, 후자는 6월 30일 개통될 오이도~송도 셔틀을 기준으로 한 것입니다. 어차피 후자는 전자의 부분 집합이기 때문에 {{경춘선}}의 사례에 따라 합치는 게 나을 것 같습니다. 훗날 수도권 전철 수인선의 운행 범위가 영업거리표상의 수인선의 범위와 크게 달라질 경우 그 때 가서 조치를 취하도록 하구요. --Yes0song (토론) 2012년 6월 13일 (수) 15:54 (KST)답변
저한테는 영업 거리표가 없네요(원래 {{수인선}}은 제가 만든 게 아니라서...). 인터넷에서 볼 수 있는 2010년경 한국철도공사 영업거리표(구글 등에서 찾을 수 있음)에 따른 지도 그림에서는 수인선이 안 보입니다. 따로 수인선까지 표시한 영업거리표 문서가 따로 있는 건지 여부는 모르겠습니다. --Yes0song (토론) 2012년 6월 13일 (수) 17:31 (KST)답변
국토해양부 고시 철도거리표에 보면 수인선이 등재되어 있습니다. 경부선의 지선인 2015호선 수인선. 구간은 수원-한대앞, 오이도-송도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수원-한대앞 구간은 협궤열차가 폐지된 이후에도 삭제된 적이 한 번도 없습니다. 서류상으로나마 남아있던 철도라는거죠. --김해시민™·우체통·한 일들2012년 6월 16일 (토) 22:43 (KST)답변
2012년6월 30일 재개통(수도권 전철 1차 개통) 시점 기준. 과거 수인선에 있었던 역은 전부 추가하였으나 향후 추가될 역은 제외함. 폐선 구간의 대부분은 향후 재개통될 예정. 안산선 병행 구간은 1차 개통 시 수도권 전철 수인선 열차 취급 않음. 현재 수도권 전철 노선도에서는 셔틀 전동 열차 운행 구간만 수인선으로 안내됨. †수원역은 폐지된 역은 아니나 현재는 수인선 열차를 취급하지 않음. 향후 재개통 예정.
다른 노선의 폐역과 수인선은 좀 상황이 다른듯 싶습니다. 다른 노선은 대개 기존 노선을 개량하는 과정, 혹은 운영상의 이유로 폐역되는 경우지만, 수인선은 실질적으로는 같은 자리에 "새로" 건설된 노선이니깐요. 구 수인선(협궤 열차 시절)의 노선도와 새 수인선(수도권 전철)의 틀을 따로 유지하는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틀 이름을 지금처럼 수인선/수도권 수인선으로 할지, 아님 "협궤 수인선/구 수인선"과 "수인선"으로 할지는 모르겠지만요.) 토론:수인선에 전에 적은 바 있지만 수인선 문서에도 구 수인선 정보를 별도의 문단, 혹은 필요하다면 별도의 문서로 만들고요. -- ChongDae (토론) 2012년 7월 11일 (수) 12:18 (KST)답변
2012년 6월 30일 개통 이후에도 있을 미개통역 중 수원역 고색역 어천역 야목역 사리역 남인천역은 가리면 안 됩니다. 이는 이전에 폐역되었던 역이기 때문이죠. 또한 빈정역오목역원곡역신길역과 같이 수인선 영업 중지 이전에 폐역된 역도 존재합니다. 그런데 현재의 틀은 폐역 상태를 고려하지 않았군요. -義王 - 五峯 - 恩德五道주행거리계(토론)2012년 6월 13일 (수) 16:15 (KST)답변
아마 위쪽에 이미 토론 중인 문단에 쓰는 게 옳을 것 같습니다만, 다 {{수도권 수인선}}만 달려 있더군요. 저는 무엇을 써도 좋은데, 제발 폐역/영업 중지를 없는 듯 하지 않았으면 하는 것이 제 바람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저는 옛 모습의 {{수인선}}에 노란색만 칠해서 일단 썼으면 합니다.) 그럼 위쪽 병합 토론에 수인선으로 병합 의견 남기죠. -義王 - 五峯 - 恩德五道주행거리계(토론)2012년 6월 30일 (토) 15:48 (KST)답변
실제로는 수인선의 위를 지나가지만 영업거리표상으로는 역사적으로 수인선의 역이었던 적이 없었던 역은 틀에 적으면 안 되는 것 아닙니까?(중앙역, 정왕역) 그리고 고잔역과 안산역은 다른 폐역이랑 동일하게 폐역 표시를 해 주고 †으로 따로 “안산역으로는 영업중”을 적어주기만 하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인 것 같습니다.--안우석 (토론) 2013년 10월 12일 (토) 08:03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