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크로비아 (Hacrobia)는 SAR 상군 에 포함되지 않는 크로말베올라타 의 단계통군의 하나이다.[ 1]
다음 생물군을 포함하고 있다.
과거에는, 부등편모조류 와 착편모조류 그리고 은편모조류 는 유색조식물 (chromista)로 알려진 그룹으로 함께 분류된 적이 있었다.[ 2] 그러나 부등편모조류는 이제 분리되었으며, 은편모조류와 착편모조류는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3] (그래서 "은편모-착편모조류 군"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기도 한다.)[ 4] 2009년의 한 논문은 텔로네미아 (Telonemia)와 육질태양충류 (centrohelids)도 은편모조류 및 착편모조류와 함께 같은 생물군을 형성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5] 피코빌리조류 (picobiliphytes) 또한 이 분류군으로 제안되고 있다.[ 6]
"하크로비아"(Hacrobia)라는 명칭은 이 그룹 이름으로 제안되었다.[ 6] "하"(Ha-)는 착편모조류(haptophyta)를, "크로"(-cr-)는 은편모조류(cryptomonads)를 "비아"(-bia)는 생명을 뜻하는 그리스어 접미사를 가리킨다.
계통 분류
다음에 제안된 계통발생에는 엑스카바타 생물군 중 단 하나의 그룹(디스코바 )만 포함되어 있으며[ 7] 피코조아 가 홍조식물 의 가까운 친척이라는 2021년 제안이 포함되어 있다.[ 8] 프로보라 는 2022년에 발견된 미생물 포식자 집단이다.[ 9] 메타모나다 는 아마도 디스코바 , 아마도 말라이모나스문 의 자매일 가능성이 있어 배치하기 어렵다.[ 10] [ 11] [ 12]
2016년 실라(Silar)에 의한 하크로비아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13] [ 14]
각주
↑ Sakaguchi M, Takishita K, Matsumoto T, Hashimoto T, Inagaki Y (2009년 7월). “Tracing back EFL gene evolution in the cryptomonads-haptophytes assemblage: separate origins of EFL genes in haptophytes, photosynthetic cryptomonads, and goniomonads” . 《Gene》 441 (1-2): 126–31. doi :10.1016/j.gene.2008.05.010 . PMID 18585873 .
↑ Csurös M, Rogozin IB, Koonin EV (2008년 5월). “Extremely intron-rich genes in the alveolate ancestors inferred with a flexible maximum-likelihood approach” . 《Mol. Biol. Evol.》 25 (5): 903–11. doi :10.1093/molbev/msn039 . PMID 18296415 .
↑ Rice DW, Palmer JD (2006). “An exceptional horizontal gene transfer in plastids: gene replacement by a distant bacterial paralog and evidence that haptophyte and cryptophyte plastids are sisters” . 《BMC Biol.》 4 : 31. doi :10.1186/1741-7007-4-31 . PMC 1570145 . PMID 16956407 .
↑ Reeb VC, Peglar MT, 윤환수(Hwan Su Yoon); 외. (2009년 5월). “Interrelationships of chromalveolates within a broadly sampled tree of photosynthetic protists” . 《Mol. Phylogenet. Evol.》. doi :10.1016/j.ympev.2009.04.012 . PMID 19398025 .
↑ Burki, F; Inagaki, Y; Bråte, J; Archibald, J.; Keeling, P.; Cavalier-Smith, T; Sakaguchi, M; Hashimoto, T; Horak, A; Kumar, S; Klaveness, D; Jakobsen, K.S; Pawlowski, J; Shalchian-Tabrizi, K (2009년). “Large-scale phylogenomic analyses reveal that two enigmatic protist lineages, Telonemia and Centroheliozoa, are related to photosynthetic chromalveolates.” . 《Genome Biology and Evolution》. 2012년 7월 10일에 원본 문서 (Free full text) 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Okamoto, N.; Chantangsi, C.; Horák, A.; Leander, B.; Keeling, P. (2009). “Molecular Phylogeny and Description of the Novel Katablepharid Roombia truncata gen. Et sp. Nov., and Establishment of the Hacrobia Taxon nov”. 《PloS one》 4 (9): e7080. doi :10.1371/journal.pone.0007080 . PMID 19759916 .
↑ Brown, Matthew W.; Heiss, Aaron A.; Kamikawa, Ryoma; Inagaki, Yuji; Yabuki, Akinori; Tice, Alexander K; Shiratori, Takashi; Ishida, Ken-Ichiro; Hashimoto, Tetsuo; Simpson, Alastair; Roger, Andrew (2018년 1월 19일). “Phylogenomics Places Orphan Protistan Lineages in a Novel Eukaryotic Super-Group” . 《Genome Biology and Evolution》 10 (2): 427–433. doi :10.1093/gbe/evy014 . PMC 5793813 . PMID 29360967 .
↑ Schön ME; Zlatogursky VV; Singh RP; 외. (2021). “Picozoa are archaeplastids without plastid” . 《Nature Communications》 12 (1): 6651. doi :10.1038/s41467-021-26918-0 . PMC 8599508 . PMID 34789758 .
↑ Tikhonenkov DV; Mikhailov KV; Gawryluk RM; Belyaev AO; Mathur V; Karpov SA; Zagumyonnyi DG; Borodina AS; Prokina KI; Mylnikov AP; Aleoshin VV; Keeling PJ (2022년 12월). “Microbial predators form a new supergroup of eukaryotes”. 《네이쳐》 612 (7941): 714–719. Bibcode :2022Natur.612..714T . doi :10.1038/s41586-022-05511-5 . PMID 36477531 . S2CID 254436650 .
↑ Burki F (2014년 5월). “전 지구적인 계통발생학적 관점에서 본 진핵생물의 생명나무” . 《Cold Spring Harbor Perspectives in Biology》 6 (5): a016147. doi :10.1101/cshperspect.a016147 . PMC 3996474 . PMID 24789819 .
↑ Burki, Fabien; Kaplan, Maia; Tikhonenkov, Denis V.; Zlatogursky, Vasily; Minh, Bui Quang; Radaykina, Liudmila V.; Smirnov, Alexey; Mylnikov, Alexander P.; Keeling, Patrick J. (2016년 1월 27일). “Untangling the early diversification of eukaryotes: a phylogenomic study of the evolutionary origins of Centrohelida, Haptophyta and Cryptista” . 《Proc. R. Soc. B》 283 (1823): 20152802. doi :10.1098/rspb.2015.2802 . PMC 4795036 . PMID 26817772 .
↑ Karnkowska, Anna; Vacek, Vojtěch; Zubáčová, Zuzana; Treitli, Sebastian C.; Petrželková, Romana; Eme, Laura; Novák, Lukáš; Žárský, Vojtěch; Barlow, Lael D. (2016). “A Eukaryote without a Mitochondrial Organelle” . 《Current Biology》 26 (10): 1274–1284. doi :10.1016/j.cub.2016.03.053 .
↑ Silar, Philippe (2016),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 《HAL archives-ouvertes》: 1–462
↑ Ruggiero; 외. (2015),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 《PLoS ONE》 10 (4): e0119248, doi :10.1371/journal.pone.0119248 , PMC 4418965 , PMID 2592352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