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플로그룹 M 은 인류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 의 일종으로, 하플로그룹 N 과 함께 하플로그룹 L3 에서 분기된 양대 하위그룹의 하나이다.
최근 공통 조상 추적 결과로 보아 하플로그룹 N이나 그 하위분기인 하플로그룹 R 보다도 나중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유라시아 서부에서 하플로그룹 M이나 그 하위분기가 거의 보이지 않는 이유를 잘 설명해준다.
대략 L3 최초 발생 이래 1-2만 년 후인 55,000-65,000년 전쯤에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 정확한 발생 지점에 대해서는 제설이 있는데 아시아에서 발생하였다고 추정하는 다양한 이론과 함께 아프리카에서 발생하였다고 보는 소수설이 있다. 기원 지역을 추측하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분포상 발생 초기에 M1 보유자들이 아프리카로 역이주(back-migration)한 경우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분포
하플로그룹 M의 확산 과정
M 유래의 하플로그룹은 아시아에서 가장 흔하게 보이며 모계의 60% 가량을 점한다.[ 1]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은 안다만 제도 의 원주민들과 말레이시아의 네그리토 민족인데, 특히 안다만 원주민은 모든 인구가 하플로그룹 M을 가진다는 점에서 특기할 만 하다.[ 2]
또 높은 지역으로는 모계의 70% 가량이 하플로그룹 M에 속하는 일본 과 티베트 , 60% 가량이 속하는 인도 와 한국 을 꼽을 수 있다.[ 3] [ 4]
중국인(한족)에게서는 평균적으로 50%로 검출되나 남부에서는 비교적 적고 북동부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4]
동남아시아에서도 상당히 높게 나타나 필리핀인 에게서 M7c3c과 E 를 중심으로 약 42%[ 5] , 베트남인 에게서 37~48%, 빈투언 성 의 참족 에게서 32%[ 4] , 라오스인 에게서 M7을 중심으로 43% 정도로 조사된다.
오세아니아에서는 파푸아 뉴기니 의 제도에서 28~42% 정도로 찾아진다.
이외에 북동아프리카 에서도 비교적 높은 수치를 보이는데, 특히 소말리아인 , 리비아인 , 오로모인 에게서 높게 나타난다.[ 6]
투아레그 지역에서는 말리와 부르키나파소에서 M1a2을 중심으로 상당한 비율로 나타난다.[ 7] 유럽에서는 이베리아 반도나 이탈리아 등 지중해에 접한 지역에서 비교적 많이 발견된다.
하위분기와 분포
M1'20'51 (14110) - 태국 (몬족 )
M1 - 나일강 유역, 아프리카의 뿔 , 마그레브 , 사하라 , 지중해 연안, 중동
M20 - 미얀마, 태국 (샨족 ), 중국, 부랑족 , 사우디아라비아
M51 -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M2 - 남아시아 , 특히 인도 동남부와 방글라데시에서 고빈도. 중국 남서부에 낮게 분포.
M2a - 인도, 문다족 . 방글라데시에서 고빈도
M2b - 인도. 인도 동남부에서 고빈도
M2c - 미얀마, 태국, 라오스
M3 - 위구르 , 미얀마, 인도. 남아시아, 특히 인도 서북부에서 고빈도.
M4'30
M4 - 남아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M65 - 인도, 발루치인, 사리콜인, 타지키스탄
M30 - 인도
M37
M5 - 남아시아
M6 - 남아시아
M7 - 동아시아 , 동남아시아. 특히 일본, 남중국, 베트남, 라오스, 태국에서 고빈도. 중앙아시아, 시베리아에 낮게 분포.
M8 - 중국, 태국 (리수족 ), 인도
M8a - 동아시아, 북아시아
M8a1 - 일본, 우데게족
M8a2'3
M8a2 - 코랴크인 , 이텔멘족 , 축치인 , 투바인 , 하카스인 , 알타이인 , 몽골, 중국, 위구르, 한국, 일본, 태국/라오스
M8a3 - 중국, 키르기스인 , 시베리아
CZ - 태국 (흐몽족 )
C - 특히 시베리아에서 고빈도
Z - 유럽 동북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동아시아
M9 - 동아시아, 중앙아시아. 특히 티베트 에서 고빈도.
M10 -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시베리아, 유럽 동북부에 드물게 분포
M11 - 동아시아. 중국에서 비교적 고빈도
M11* - 미얀마
M11a'b'd
M11a'b
M11a - 터키, 묘족, 티베트, 중앙아시아
M11b - 타이완, 일본, 중국
M11d - 중국, 키르기스, 이란
M11c - 일본, 한국
M12'G
M12 - 중국 하이난(리족 )에서 고빈도. 다른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지역에도 분포
G - 아시아 여러 지역에 산발적 분포. 일본, 몽골, 티베트, 캄차카반도 원주민에서 특히 고빈도.
M13'46'61
M14 - 오스트레일리아
M15 - 오스트레일리아
M17 - 루손섬 , 참족 , 몬족, 태국, 라오스
M21 - 동남아시아에 드물게 분포
M23'75
M23 - 마다가스카르, 남아프리카
M75 - 중국
M24 - 태국, 캄보디아, 중국
M29'Q
M29 - 멜라네시아
Q - 멜라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M31 - 옹게인
M35 - 네팔, 인도
M71 - 인도, 동남아시아
M74 -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중국, 타이완
M80'D
M80 - 팔라완섬
D - 아시아, 아메리카 원주민. 유럽에 드물게 분포.
각주
↑ Michael D. Petraglia; Bridget Allchin (2007), 《The evolution and history of human populations in South Asia》 , Springer, ISBN 978-1-4020-5561-4
↑ Endicott, Phillip; Metspalu, Mait; Stringer, Chris; Macaulay, Vincent; Cooper, Alan; Sanchez, Juan J. (2006년 12월 20일). “Multiplexed SNP Typing of Ancient DNA Clarifies the Origin of Andaman mtDNA Haplogroups amongst South Asian Tribal Populations” . 《PLOS ONE》 1 (1): e81. Bibcode :2006PLoSO...1...81E . doi :10.1371/journal.pone.0000081 . PMC 1766372 . PMID 17218991 .
↑ Rajkumar; 외. (2005). “Phylogeny and antiquity of M macrohaplogroup inferred from complete mt DNA sequence of Indian specific lineages” . 《BMC Evolutionary Biology》 5 : 26. doi :10.1186/1471-2148-5-26 . PMC 1079809 . PMID 15804362 .
↑ 가 나 다 Jin, H-J; Tyler-Smith, C; Kim, W (2009). “The Peopling of Korea Revealed by Analyses of Mitochondrial DNA and Y-Chromosomal Markers” . 《PLOS ONE》 4 (1): e4210. Bibcode :2009PLoSO...4.4210J . doi :10.1371/journal.pone.0004210 . PMC 2615218 . PMID 19148289 .
↑ Tabbada, Kristina A.; Trejaut, Jean; Loo, Jun-Hun; 외. (Jan 2010). “Philippine Mitochondrial DNA Diversity: A Populated Viaduct between Taiwan and Indonesia?”. 《Mol. Biol. Evol.》 27 (1): 21–31. doi :10.1093/molbev/msp215 . PMID 19755666 .
↑ Holden. “MtDNA variation in North, East, and Central African populations gives clues to a possible back-migration from the Middle East” .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al Anthropologists. 2016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4월 13일에 확인함 .
↑ Luísa Pereira; Viktor Černý; María Cerezo; Nuno M Silva; Martin Hájek; Alžběta Vašíková; Martina Kujanová; Radim Brdička; Antonio Salas (2010년 3월 17일). “Linking the sub-Saharan and West Eurasian gene pools: maternal and paternal heritage of the Tuareg nomads from the African Sahel” . 《European Journal of Human Genetics》 18 (8): 915–923. doi :10.1038/ejhg.2010.21 . PMC 2987384 . PMID 20234393 .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