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6년 하계 올림픽 축구

1976년 하계 올림픽 축구
개최국캐나다
개최기간1976년 7월 18일 ~ 7월 31일
참가팀13개국 (4개 대륙)
경기장4개개 (4개 도시)
결과
우승 동독(1번째 우승)
준우승 폴란드
3위 소련
4위 브라질
통계
최다 득점폴란드 안제이 샤르마흐
(6골)
« 1972
1980 »

축구1976년 하계 올림픽의 세부 종목 중 하나로, 1976년 7월 18일에 시작하여 7월 31일에 종료되었다. 이 연도에는 남자부 대회만 진행되었다. 3개국이 기권하면서 총 13개국이 참가했다.[1]

경기장

몬트리올 오타와 셰르브로크 토론토
올림픽 경기장 랜스던 파크 시립 경기장 바시티 경기장
수용 인원: 70,000 수용 인원: 30,000 수용 인원: 10,000 수용 인원: 21,739

예선

다음 13개국이 1976년 하계 올림픽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심판진

선수 명단

조별 리그

A조

나이지리아가 기권했다.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브라질 2 1 1 0 2 1 +1 3 토너먼트전 진출
2 동독 2 1 1 0 1 0 +1 3
3 스페인 2 0 0 2 1 3 −2 0
출처: FIFA
브라질 0–0 동독
리포트
관중: 21,643
심판: 존 패터슨 (영국)

브라질 2–1 스페인
호제미루 7분에 득점 7′
시쿠 프라가 47분에 득점 47′ (페널티)
리포트 이디고라스 14분에 득점 14′
관중: 38,123
심판: 폴 실러 (오스트리아)

동독 1–0 스페인
되르너 46분에 득점 46′ 리포트
관중: 36,198
심판: 워너 윈스먼 (캐나다)

B조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프랑스 3 2 1 0 9 3 +6 5 토너먼트전 진출
2 이스라엘 3 0 3 0 3 3 0 3
3 멕시코 3 0 2 1 4 7 −3 2
4 과테말라 3 0 2 1 2 5 −3 2
출처: FIFA
이스라엘 0–0 과테말라
리포트

프랑스 4–1 멕시코
샤에르 14분에 득점 14′
바론셰이 33분에 득점 33′
루비오 78분에 득점 78′
아미스 90분에 득점 90′
리포트 산체스 81분에 득점 81′
관중: 14,286
심판: 앙헬 코에레사 (아르헨티나)

프랑스 4–1 과테말라
플라티니 7분, 86분에 득점 7′86′
아미스 41분에 득점 41′
샤에르 82분에 득점 82′
리포트 피온 58분에 득점 58′

멕시코 2–2 이스라엘
랑헬 19분, 44분에 득점 19′44′ 리포트 오즈 51분에 득점 51′
55분에 득점 55′ (페널티)
관중: 36,569
심판: 알베르토 미켈로티 (이탈리아)

멕시코 1–1 과테말라
랑헬 36분에 득점 36′ 리포트 레르히스 18분에 득점 18′ (자책골)
관중: 4,118
심판: 마리안 쿠스톤 (폴란드)

프랑스 1–1 이스라엘
플라티니 80분에 득점 80′ (페널티) 리포트 페레츠 75분에 득점 75′
관중: 33,639
심판: 라몬 바레토 (우루과이)

C조

가나가 기권했다.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폴란드 폴란드 2 1 1 0 3 2 +1 3 토너먼트전 진출
2 이란 이란 2 1 0 1 3 3 0 2
3 쿠바 2 0 1 1 0 1 −1 1
출처: FIFA
폴란드 0–0 쿠바
리포트
관중: 29,417
심판: 아브라함 클레인 (이스라엘)}

이란 1–0 쿠바
마즐루미 28분에 득점 28′ 리포트
관중: 11,324
심판: 아돌프 프로코프 (동독)

폴란드 3–2 이란
샤르마흐 48분, 75분에 득점 48′75′
데이나 51분에 득점 51′
리포트 파르빈 6분에 득점 6′
로샨 79분에 득점 79′

D조

잠비아가 기권했다.

순위 경기 승점 통과
1 소련 2 2 0 0 5 1 +4 4 토너먼트전 진출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1 0 1 3 4 −1 2
3 캐나다 2 0 0 2 2 5 −3 0
출처: FIFA
캐나다 1–2 소련
더글러스 88분에 득점 88′ 리포트 오니셴코 8분, 11분에 득점 8′11′
관중: 34,320
심판: 로베르 엘리에 (프랑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1 캐나다
안세욱 18분에 득점 18′
홍성남 66분, 80분에 득점 66′80′
리포트 더글러스 51분에 득점 51′

소련 3–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콜로토프 16분에 득점 16′ (페널티)
베레메예우 81분에 득점 81′
블로힌 89분에 득점 89′
리포트
관중: 15,233
심판: 에밀리오 구루세타 (스페인)

결선 토너먼트

대진표

 
8강전준결승전결승전
 
          
 
7월 25일 – 오타와
 
 
동독4
 
7월 27일 – 몬트리올
 
프랑스0
 
동독2
 
7월 25일 – 셰르브로크
 
소련1
 
소련2
 
7월 31일 – 몬트리올
 
이란 이란1
 
동독3
 
7월 25일 – 토론토
 
폴란드 폴란드1
 
브라질 브라질4
 
7월 27일 – 토론토
 
이스라엘1
 
브라질 브라질0
 
7월 25일 – 몬트리올
 
폴란드 폴란드2 동메달 결정전
 
폴란드 폴란드5
 
7월 29일 – 몬트리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0
 
소련2
 
 
브라질 브라질0
 

8강전

동독 4–0 프랑스
뢰베 27분에 득점 27′
되르너 60분, 68분에 득점 60′ (페널티)68′ (페널티)
리디거 77분에 득점 77′
리포트
관중: 20,083
심판: 알베르토 미켈로티 (이탈리아)

소련 2–1 이란
미나예프 40분에 득점 40′
즈뱌힌체우 67분에 득점 67′
리포트 겔리카니 82분에 득점 82′ (페널티)

브라질 4–1 이스라엘
자르바스 56분, 74분에 득점 56′74′
에리베우투 72분에 득점 72′
주니오르 88분에 득점 88′
리포트 페레츠 80분에 득점 80′
관중: 18,601
심판: 펄로터이 카로이 (헝가리)

폴란드 5–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샤르마흐 13분, 49분에 득점 13′49′
라토 59분, 79분에 득점 59′79′
시마노프스키 64분에 득점 64′
리포트
관중: 46,885
심판: 폴 실러 (오스트리아)

준결승전

소련 1–2 동독
콜로토프 84분에 득점 84′ (페널티) 리포트 되르너 59분에 득점 59′ (페널티)
쿠어뷰바이트 66분에 득점 66′

폴란드 2–0 브라질
샤르마흐 51분, 82분에 득점 51′82′ 리포트
관중: 21,743
심판: 존 패터슨 (영국)

동메달 결정전

소련 2–0 브라질
오니셴코 5분에 득점 5′
나자렌코 49분에 득점 49′
리포트
관중: 55,647
심판: 아브라함 클레인 (이스라엘)

금메달 결정전

동독 3–1 폴란드
샤데 7분에 득점 7′
호프만 14분에 득점 14′
헤프너 84분에 득점 84′
리포트 라토 59분에 득점 59′
관중: 71,617
심판: 라몬 바레토 (우루과이)

메달리스트

득점

6골을 기록한 폴란드의 안제이 샤르마흐가 이 대회 최다 득점자이다. 총 44명의 선수가 도합 66골을 기록했는데, 이 중 딱 1골은 자책골이었다.

6골
4골
3골
2골
1골
자책골

최종 순위

순위 경기 승점 결과
1 동독 5 4 1 0 10 2 +8 9
2 폴란드 폴란드 5 3 1 1 11 5 +6 7
3 소련 5 4 0 1 10 4 +6 8
4 브라질 브라질 5 2 1 2 6 6 0 5
5 프랑스 4 2 1 1 9 7 +2 5
6 이스라엘 4 0 3 1 4 7 −3 3
7 이란 이란 3 1 0 2 4 5 −1 2
8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3 1 0 2 3 9 −6 2
9 멕시코 3 0 2 1 4 7 −3 2
10 과테말라 3 0 2 1 2 5 −3 2
11 쿠바 2 0 1 1 0 1 −1 1
12 스페인 스페인 2 0 0 2 1 3 −2 0
13 캐나다 2 0 0 2 2 5 −3 0
출처: rsssf.com

각주

  1. “Football at the 1976 Montreal Summer Games”. 《Sports Reference》. 2020년 4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25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