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캄차카반도 지진 은 2025년 7월 30일 11시 24분 50초(PETT 기준, 2025년 7월 29일 23:24:50 UTC )에 러시아 극동 캄차카반도 동쪽 해안에서 발생한 해구형 지진 이다. 지진 규모 는 M8.8이며 캄차카반도 해안 도시인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에서 동남쪽으로 119 km 떨어진 해역에서 발생했다.[ 3] [ 4] 이번 지진은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이후 기록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며,[ 5] 1906년 에콰도르-콜롬비아 지진 과 2010년 칠레 지진 과 함께 20세기 이후 발생한 지진계 로 기록된 역대 6번째로 큰 규모의 지진 이다.[ 6] 이 지진과 뒤이은 태평양 전역의 쓰나미 는 캄차카 변경주 와 사할린주 에 중간 정도의 피해와 다수의 부상자를 일으켰다.
지질학적 환경
이 지진은 쿠릴-캄차카 해구 섭입대에서 발생했다. 쿠릴-캄차카 해구는 쿠릴 열도 동쪽 해안에서 캄차카반도까지 뻗어 있는 북아메리카판 과 태평양판 사이의 거대한 충상 단층 이자 수렴 경계이다. 백악기 이래로 태평양판이 북아메리카판 아래로 계속해서 섭입 하고 있다.[ 7] 두 판 사이의 수렴 속도는 연간 76~90 mm 사이로 추정된다.[ 8]
섭입대에서는 이전에도 대규모 지진이 기록된 바 있다. 이전까지 발생했던 가장 큰 지진은 1952년 세베로쿠릴스크 지진 으로, 규모 Mw 8.8-9.0이었고 2025년 지진에서 동남쪽으로 45 km 떨어진 곳을 진앙으로 일어났다.[ 3] 이 지진은 캄차카 해안을 따라 크고 파괴적인 쓰나미를 일으켰다. 이 지진은 북쪽의 시푸스키곶부터 남쪽의 오네코탄섬 까지 섭입대의 700 km × 150~200 km 구간을 파열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대부분의 큰 섭입대 지진과는 달리, 1952년 지진의 가장 큰 단층 운동은 해구에 더 가까운 곳이 아닌 더 깊은 깊이에서 발생했다. 단층 운동은 깊이가 40 km에 달했으며, 아마도 60~80 km 깊이까지 내려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해구에서는 미끄러짐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잠겨 있었고 방출되지 않은 탄성 에너지가 축적되었다.[ 9] 이보다 더 큰 지진은 1737년 에 발생했으며, 규모는 M9.3으로 추정된다. 이 지진은 당시 탐험가의 기록과 쓰나미 퇴적물 관찰에 따르면 높이 63 m의 쓰나미를 일으켰다.[ 10]
지진
본진, 전진(회색) 및 여진 분포 지도 (
지도 데이터 )
미국 지질조사국 (USGS)에 따르면 7월 29일 23:24:50 UTC에 모멘트 규모 Mww 8.8의 대규모 해저 지진이 발생했다.[ 11] 진앙은 캄차카반도 태평양 연안,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에서 동남쪽으로 약 136 km 떨어진 해역이며, 진원 깊이는 20.7 km로 얕았다.[ 3] 국립 지구물리화산학 연구소 와 지오사이언스 오스트레일리아 는 모두 규모를 Mw 8.6으로 발표했다.[ 12] [ 13]
7월 20일에는 규모 Mww 7.4의 전진이 7월 29일 본진에서 서남쪽으로 약 60 km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다.[ 14] 7월 30일 00:09 UTC에는 규모 Mww 6.9의 지진을 포함하여 50회 이상의 여진이 이어졌다.[ 15] [ 16]
USGS는 이번 지진이 섭입대 경계면의 얕은 역단층 운동으로 발생했다고 밝혔다. 단층 경계면에서 움직임이 발생한 영역이 390 km × 140 km일 것으로 추정했다. 파열은 1923년 2월 캄차카 지진 과 1952년 세베로쿠릴스크 지진 의 파열 사이의 지진공백역 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USGS가 발표한 유한 단층 모델은 섭입대 약 600 km × 200 km 구간에서 미끄러짐이 발생했음을 보여주었다. 대부분의 파열은 진앙에서 쿠릴 열도까지 섭입대를 따라 서남쪽으로 500 km 길이로 뻗어 있다. 대부분의 미끄러짐은 해구 근처와 진앙 서남쪽의 타원형 지역에서 7~10 m의 미끄러짐이 발생했으며, 최대 10.533 m에 달했다.[ 3] GEOSCOPE 천문대 는 이번 지진이 180초 이상 섭입대를 파열시켰을 것으로 추정했다.[ 17] USGS는 이번 지진의 지속 시간을 약 230초로 추정했다.[ 3]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에서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기준 최대진도 2의 흔들림이 감지되었다.[ 18]
지진해일
경보
아시아
태평양 지진해일 경보 센터 (PTWC)는 러시아와 일본 해안을 따라 "위험한 쓰나미"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9] 러시아 정부도 캄차카반도와 쿠릴 열도 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으며, 이는 7월 30일 저녁에 최종적으로 해제되었다.[ 20]
일본 에서 쓰나미경보 ·주의보 가 발표된 지역
2024년 화롄 지진 이후 일본에서 처음으로 쓰나미경보 가 발표되었다.[ 18] 일본 기상청 은 혼슈 의 홋카이도 연안부터 와카야마현 까지 쓰나미경보를 발표했다.[ 21] 한편 시코쿠 부터 오키나와 제도 까지 쓰나미주의보 가 발표되었으며,[ 22] [ 23] 그 외 지역에서도 주의보가 발표되었다. 133개 지자체에서 90만 명이 대피 권고를 받았다.[ 24] 일본 기상청은 최대 3 m의 파도가 해안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며,[ 25]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의 대피를 촉구했다.[ 26] 센다이 공항 의 활주로가 폐쇄되었고 JR 히가시니혼 , JR 도카이 , JR 홋카이도 는 철도 운행을 중단했다.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의 작업자에게는 대피 명령이 내려졌고, 처리된 방사성 처리수를 태평양으로 방류할 예정이었던 작업은 중단되었다. 일본 방위성 은 정보 수집을 위해 태평양 연안에 항공 자산을 배치했다.[ 18] 일본 전역의 약 200만 명에게 대피 권고가 내려졌다.[ 27] 일본 기상청은 7월 30일 밤에 경보를 주의보로 하향 조정했다.[ 21]
인도네시아의 기상기후지구물리청 은 파푸아주 , 북말루쿠주 , 북술라웨시주 , 고론탈로주 일부 지역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28] 인도네시아 정부는 언급된 지역의 해안 지역에 높이 50 cm 미만의 작은 쓰나미가 예상된다며, 주민들에게 해변과 저지대 해안에서 멀리 떨어지라고 권고했다.[ 29]
중국에서는 자연자원부 가 타이완, 저장성 및 상하이시 지역에 4단계 쓰나미 경보 체계 중 두 번째로 낮은 황색 경보를 발령했다.[ 30] 타이완의 중앙기상서 는 "쓰나미경보"를 발표하며 높이 1 m의 파도가 타이완 동남쪽 및 서남쪽 해안에 도달할 수 있다고 밝혔다.[ 31]
필리핀 화산지진학 연구소 는 필리핀 태평양 연안에 최대 1 m의 파도가 예상되는 쓰나미 주의보를 발령했다. 이 주의보는 바타네스주 부터 서다바오주 까지 22개 주에 발령되었다. 이 주의보는 지진학 기관이 유의미한 해수면 교란이나 파괴적인 쓰나미 파도를 기록하지 않아 결국 해제되었다.[ 32] [ 33]
PTWC는 또한 대한민국 에도 30 cm 미만의 파도가 도달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34] 대한민국 기상청 은 "울릉도 인근에 5시간 이내로 수위가 올라갈 수는 있으나 한반도에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한반도에 영향은 없을 것이라 관측했다.[ 35]
아메리카 대륙
칠레 카르데날카로현 에 쓰나미 경보가 발표된 긴급문자 모습
PTWC, Emergency Info BC 및 기타 쓰나미 유관기관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와 태평양 연안에 대해 잠재적으로 강한 해류와 파고,30 cm 미만의 해일에 대한 주의보를 발령했다.[ 36] [ 37] 미국 알래스카와 하와이 일부 지역에 쓰나미 경보가 발령되었다.[ 38] [ 39]
미국 서해안(캘리포니아, 오리건, 워싱턴 주) 전체가 경보 상태에 놓였으며,[ 40] 알래스카 알류샨 열도 일부도 경보가 발표되었고 하와이 전역의 해안 지역에 즉각적인 대피 명령이 내려졌다.[ 26] [ 41] 미국 해안경비대 의 항만장은 섬 전역의 모든 선박에 항구를 떠나도록 명령했다.[ 24] [ 42] 첫 해일은 HST (UTC–10 ) 19시에 하와이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24] 미국 해양대기청 은 캘리포니아주 중부 해안 과 샌프란시스코만 지역 해안에 주의보를 발령했다.[ 43] 또한 캘리포니아 멘도시노곶 부터 오리건주 경계까지 경보가 발령되었다.[ 44]
멕시코 해군 은 바하칼리포르니아주 부터 치아파스주 까지 태평양 연안 항구의 강한 해일에 대해 경고했다. 또한 정부는 주민에게 해변에서 멀리 떨어지라고 촉구했다.[ 45]
칠레 , 콜롬비아 , 코스타리카 , 페루 , 에콰도르 의 갈라파고스 제도 에서도 경보가 발령되었다.[ 46] [ 20] [ 27]
오세아니아 및 태평양 섬 지역
뉴질랜드에서 발령된 긴급 모바일 경보 문자 모습
PTWC는 하와이와 솔로몬 제도 에서 높이 1~3 m의 쓰나미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PTWC는 아메리칸사모아 , 추크 , 키리바시 , 나우루 , 누벨칼레도니 , 니우에 , 파푸아뉴기니 , 핏케언 제도 , 토켈라우 , 투발루 , 바누아투 , 왈리스 푸투나 에는 30 cm 이하의 파도가 도달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47]
하와이 주지사 조시 그린 은 미드웨이 환초 에서 측정된 파도가 봉우리에서 골까지 1.8 m였으며, 이 크기의 파도는 나무를 쓰러뜨리고 자동차를 움직일 수 있다고 언급했다. 주에 도달할 파도의 크기는 여전히 불확실했다.[ 24] 하와이는 이후 경보를 주의보로 하향 조정했다.[ 48]
뉴질랜드 비상관리청 은 뉴질랜드 전체 해안을 따라 "강한 해류와 예측할 수 없는 수위 급상승"에 대한 주의보를 발령했다.[ 49] 괌과 호주도 주의보가 발령되었다.[ 38] [ 39]
통가 기상청은 쓰나미 위협 지역 주민에게 대피하라고 조언하며 경보를 발령했다. 피지 의 광물 자원부는 저지대 해안 지역에 대해 유사하게 쓰나미 관측을 발표했다. 쿡 제도 기상청은 섬에 즉각적인 위협은 없지만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발표하며 주의보를 발령했다. 사모아 기상청은 해안 지역 주민에게 주의를 당부하는 주의보를 발령했으며, PTWC는 아메리칸사모아에 대한 위협이 여전히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47]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에서는 정부가 우아후카 , 누쿠히바 , 히바오아 섬에 최대 2.2 m의 파도가 도달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50] 또한 마르키즈 제도 에 1.1~2.2 m의 파도가 도달할 수 있다는 경고를 발령했다.[ 24]
팔라우 와 북마리아나 제도 에서도 경보가 발령되었다.[ 46] [ 20] [ 27]
영향
캄차카 및 인근 섬 일부 지역에서 높이 5~6 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18] 캄차카 옐리조보군 에서는 3~4 m 높이의 파도가 관측되었으며,[ 51] 인근 쿠릴 열도 의 세베로쿠릴스크 에서는 5 m 파도가 덮쳤다.[ 52] 시르쇼프 해양학 연구소 는 캄차카반도 해안 일부 지역에 10~15 m의 파도가 닥쳤을 수 있다고 밝혔다.[ 53] 러시아 니콜스코예 에서는 파도 높이가 6.1 cm였다.[ 54]
일본에서는 전국 47개 현 중 22개 현에서 쓰나미가 관측되었다.[ 18] 이와테현 구지시 에는 1.3 m의 파도가 덮쳤다.[ 55] 홋카이도 네무로시 와 하치조섬 에서는 80 cm의 쓰나미가 보고되었으며,[ 18]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 항구에서는 50 cm의 파도가 관측되었다. 이바라키현 오아라이정 에서는 최대 40 cm의 파도가 보고되었고, 요코하마항 , 홋카이도 구시로시 , 이와테현 오후나토시 및 가마이시시 에서는 30 cm의 파도가 보고되었다.[ 18] [ 21] 홋카이도 하마나카정 과 같은 지역에서는 파도 높이가 최대 60 cm에 달했다.[ 56] 도쿄도 하미루 에서는 20 cm 파도가 관측되었다.[ 18]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외딴 마르키즈 제도 에서는 파도 높이가 1.5 m로 보고되었고, 다른 지역에서는 30 cm 높이의 파도가 보고되었다.[ 57]
미드웨이 환초 에는 SST 17시에 1 m의 쓰나미가 덮쳤다.[ 58] 하와이 카훌루이 는 1.74 m의 파도를 맞았고, 힐로 에서는 쓰나미 높이가 1.49 m였다.[ 59] 하와이 할레이와 는 HST 19:48에 1.21 m의 해일을 맞았다.[ 60] 이 지역에서 쓰나미의 첫 충격 당시 해수면 대비 1.2 m의 진폭이 측정되었다.[ 24] 알류샨 열도 에서는 조수면 대비 0.43 m 높은 수위가 관측되었다.[ 61] 캘리포니아주 여러 지역에서 60 cm 이상의 파도가 관측되었으며,[ 24] 크레센트시티 에서 최대 확인 높이는 1.1 m,[ 61] 샌프란시스코 에서는 0.6~1.5 m였다.[ 62]
피해 및 사상자
캄차카에서 최소 4명이 부상을 입었지만, 심각한 부상은 없었다.[ 63] 병원 환자 중 한 명이 창문에서 뛰어내리는 등 건물에서 빠져나오는 사람들 사이에서 부상자가 보고되었다.[ 61]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에서는 기반 시설 손상, 정전, 휴대폰 서비스 장애가 보고되었다.[ 64] [ 65] 유치원 건물의 외벽 일부가 붕괴되었고, 시내 여러 의료 및 인프라 건물 벽에 균열이 생겼다.[ 66]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공항 터미널 지붕이 무너져 여성 한 명이 다쳤다.[ 67] 사할린주 에서는 일부 건물의 환풍기와 굴뚝이 부분적으로 파괴되었다.[ 68] 크렘린궁 대변인 드미트리 페스코프 는 이 지역에서 인명 피해나 주요 피해가 없었던 것은 견고한 건물 건축과 현지 주민의 대비 덕분이라고 밝혔다.[ 69]
쿠릴 열도 에 있는 세베로쿠릴스크 마을에서는 지진으로 굴뚝의 90% 이상이 무너졌다.[ 70] 이 마을의 항구는 이후 쓰나미로 침수되었으며, 육지 쪽으로 200 m 안쪽까지 도달한 파도로 수산물 가공 공장을 포함한 건물들이 휩쓸려갔다.[ 71] [ 72] 러시아 정부는 쓰나미 피해를 입은 섬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고 밝혔다.[ 73] 이 마을 자체는 원래 항구 옆에 있었으나, 1952년 쓰나미 로 인해 크게 파괴되어 정부가 더 높은 내륙 지역에 재건하여 항구만이 바다에 노출된 상태로 남았다.[ 74] [ 75] 쓰나미 피해 이후 세베로쿠릴스키군 과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에 비상사태가 선포되었다.[ 76] [ 15] 약 2,700명이 대피했다. 사할린섬 의 전력망이 지진으로 손상되어 정전이 발생했다.[ 77]
일본에서는 15명이 대피 중 부상을 입거나 온열질환을 입었으며, 홋카이도에서 14명, 미야자키현 에서 1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78] 미에현 구마노시 에서는 58세 여성이 쓰나미를 피해 대피하던 중 실수로 절벽 아래로 차가 떨어져 사망했다. 이 사망자는 쓰나미 관련 연관사(간접사망자)로 기록되었다.[ 77] [ 79]
여파
캄차카반도에 있는 클류쳅스카야산 화산 이 지진 직후인 7월 30일 분출하기 시작했다.[ 80]
같이 보기
각주
↑ “USGS earthquake catalog”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
↑ “USGS earthquake catalog” .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
↑ 가 나 다 라 마 ANSS . 〈M 8.8 - 126 km ESE of Petropavlovsk-Kamchatsky, Russia 2025〉 . 《Comprehensive Catalog》. U.S. Geological Survey.
↑ Pietromarchi, Virginia. “Hawaii, parts of Japan downgrade tsunami threat after massive quake” . 《Al Jazeera》 (영어).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Massive earthquake of magnitude 8.7 strikes Russia's far east, biggest since 2011” . 《The Economic Times 》.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Evacuations in Japan and US as major earthquake off Russia triggers widespread tsunami warnings” . 《BBC News》.
↑ Gorbatov, Alexei; Kostoglodov, Vladimir; Suárez, Gerardo; Gordeev, Evgeni (1997). 《Seismicity and structure of the Kamchatka Subduction Zone》 .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102 . 17883–17898쪽. Bibcode :1997JGR...10217883G . doi :10.1029/96JB03491 .
↑ Cui, Q., Zhou, Y., Liu, L., Gao, Y., Li, G., & Zhang, S. (2023). The topography of the 660-km discontinuity beneath the Kuril-Kamchatka: Implication for morphology and dynamics of the northwestern Pacific slab.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602, Article 117967. doi :10.1016/j.epsl.2022.117967
↑ Macinnes, Breanyn; Weiss, Robert; Bourgeois, Joanne; Pinegina, T. K. (2010). 《Slip Distribution of the 1952 Kamchatka Great Earthquake Based on Near-Field Tsunami Deposits and Historical Records》 .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100 . 1695–1709쪽. Bibcode :2010BuSSA.100.1695M . doi :10.1785/0120090376 .
↑ Gusiakov, V.K. 《Two Great Kamchatka Tsunamis, 1737 and 1952》 . 《Russian Academy of Sciences: IUGG Tsunami Commission》 (Institute of Computational Mathematics and Mathematical Geophysics, Siberian Division).
↑ “Powerful 8.7 earthquake off Kamchatka triggers tsunami alerts across Pacific coastlines” . 《The Economic Times 》.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Earthquake Details” . Geoscience Australia .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Earthquake with magnitude of Mwpd 8.6 on date 30-07-2025 and time 01:24:50 (Italy) in region Off east coast of Kamchatka Peninsula, Russia [Sea: Russia]” . National Institute of Geophysics and Volcanology .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ANSS . 〈M 7.4 – 2025 Eastern Kamchatka, Russia Earthquake 2025〉 . 《Comprehensive Catalog》. U.S. Geological Survey.
↑ 가 나 “Kamchatka Capital Declares State of Emergency as Earthquake Aftershock Threat Looms” . The Moscow Times.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ANSS . 〈M 6.9 - 147 km SE of Petropavlovsk-Kamchatsky, Russia 2025〉 . 《Comprehensive Catalog》. U.S. Geological Survey.
↑ “Off East coast of Kamchatka 2025/07/29 23:24:50 UTC, Mw=8.7” . GEOSCOPE Observatory.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Japan hit by tsunami as high as 1 meter after M8.8 quake off Russia” . 《Kyodo News》.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Shah, Anusha; Maler, Sandra (2025년 7월 30일). “Magnitude 8 earthquake strikes off Russia's Kamchatka, sparks tsunamis warnings, USGS says” . 《Reuters》.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Tsunami alerts lifted in several nations after waves hit Russia, US, Japan” . 《Al Jazeera 》. 2025년 7월 30일.
↑ 가 나 다 “Tsunami warning issued for Japan's Pacific coast, high waves observed” . 《NHK》.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Tsunami Information” . 《NHK World Japan》.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Strong earthquake strikes off Russia's Kamchatka; tsunami advisories issued in Japan” . 《The Japan Times》.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Clinton, Jane; Lamb, Kate; Visser, Nick; Livingstone, Helen (2025년 7월 30일). “Tsunami warning live updates: reports of four metre waves in Russian region; US widens alerts after earthquake off Kamchatka” . 《The Guardian 》.
↑ “JMA Issued a Tsunami Warning for the Pacific Coast, with Estimated Maximum Wave Height 3 Meters (Update2 )” . 《Yomiuri Shimbun》.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Widespread tsunami warnings after magnitude 8.8 quake off Russia east coast” . 《BBC News》. 2025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가 나 다 “Huge quake off Russia sparks Pacific tsunami warnings” . 《프랑스 24 》 (영어).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Indonesia issues tsunami warning after Russian quake” . 《The Star Malaysia》.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Pacific tsunami alerts: what we know so far about the warnings stretching from Japan to the US” . 《The Guardian》 (영국 영어). 2025년 7월 30일. ISSN 0261-3077 .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China issues yellow alert for tsunami” . 《신화통신 》 (영어).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Hsiung-feng, Chang; Chen, Christie (2025년 7월 30일). “Taiwan issues tsunami alert after magnitude 8.7 quake strikes off Russia's coast” . 《포커스 타이완 》 (영어). 2025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Phivolcs Tsunami Advisory and Warning” (PDF) . 《Phivolcs》.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Phivolcs issues tsunami warning after megaquake off Russia” . 《ABS-CBN》.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Chae, Yun-hwan (2025년 7월 30일). “S. Korea unlikely to be affected by powerful quake off Russia's Far East: weather agency” . 《연합뉴스 》 (영어).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조문규 (2025년 7월 30일). “러 캄차카반도 8.7 '초강진'…日 대피령 "3m 쓰나미 경보" ” . 중앙일보. 2025년 7월 31일에 확인함 .
↑ Brougham, Laura (2025년 7월 29일). “B.C. under tsunami evaluation after 8.7M earthquake off coast of Russia” . 《CHEK》 (캐나다 영어).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Tsunami Hazards” . 《Tsunami.gov》 (미국 영어). National Weather Service.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Sarnoff, Leah (2025년 7월 30일). “8.7 magnitude earthquake near Russia prompts tsunami alerts in California, Alaska and Hawaii” . ABC News.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Feiam, Alexandra (2025년 7월 30일). “Australia added to tsunami advisory list after 8.8 magnitude earthquake strikes Russian coast” . 《news.com.au 》.
↑ “Public Tsunami Message Number 2” . 《National Tsunami Warning Center》.
↑ “LIVE: Tsunami warning issued for Hawaii after M8.8 earthquake off Russia” . 《Hawaii News Now》 (영어). 2025년 7월 29일. 2025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DOTHawaii. “State Transportation Facilities Kamchatka Tsunami Warning Update” (트윗).
↑ NWSBayArea. “⚠️Tsunami Advisory in effect for the California coast. Stay away from the water! Stay away from beaches and waterways! Remain away from shore until local officials say that it is OK to return.” (트윗).
↑ “Public Tsunami Message Number” . Pacific Tsunami Warning Center.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Mexico Warns Population To Avoid Pacific Beaches After Tsunami Alert” . 《Agence France-Presse》.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Sixth-Largest Earthquake on Record Triggers Global Tsunami Warnings” . 《타임 》.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Pacific on tsunami watch following powerful 8.8 quake off Russia” . 《RNZ 태평양 》 (영어).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AP. “Gov. Josh Green said so far no damage has been recorded as tsunami waves reached Oahu, Hawaii's most populous island, but it will take hours of observation before authorities can determine whether the event has passed. Hawaii has downgraded their tsunami warnings to advisories.” (트윗).
↑ “Tsunami activity expected in NZ after Russia quake upgraded to 8.8” . 《RNZ 》.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Yeung, Jessie; Powell, Tori B.; Harvey, Lex; Romine, Taylor; Tsui, Karina; Park, Hanna; Magramo, Kathleen; Edwards, Christian; Kemp, Olivia (2025년 7월 30일). “Tsunami waves hit US shores after 8.8 magnitude quake strikes Russia's far east” . 《CNN》 (영어).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Huge Earthquake Off Far East Russia Sparks Pacific Tsunami Warnings” . 《The Moscow Times》.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В Северо-Курильске высота волн цунами доходила до 5 метров” [세베로쿠릴스크에서는 쓰나미 파도의 높이가 5미터에 달했습니다] . 《베스티 》.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Цунами в 15 метров, паника у людей и тюленей. Что известно о камчатском землетрясении, докатившемся до США и Чили” [15미터 쓰나미, 사람들과 바다표범들의 공포. 미국과 칠레에 도달한 캄차카 지진에 대해 알려진 것] . 《Fontanka》.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Public Tsunami Message Number 4” . 태평양 지진해일 경보 센터 .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岩手県久慈港で1.3mの津波観測...カムチャツカ半島付近震源の地震で” . 요미우리 신문 .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Graham, Ben; Blair, Alex (2025년 7월 30일). “Russian coast battered by 3-5m tsunami waves as Pacific nations brace for overnight battering” . 《news.com.au 》.
↑ Campbell, Lucy; Lawther, Fran; Clinton, Jane; Coughlan, Joe; Lamb, Kate; Visser, Nick; Livingstone, Helen; Lawther, Lucy Campbell (now); Fran; Livingstone (earlier), Helen (2025년 7월 30일). “Tsunami updates: Easter and Galápagos Islands evacuate coastal areas as tsunami warnings rattle Pacific – as it happened” . 《the Guardian》 (영국 영어). ISSN 0261-3077 .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Tsunami Message Number 6” . 태평양 지진해일 경보 센터 .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First waves hit Hawaii and US west coast after massive 8.8-Richter earthquake strikes Russia” . 《인디펜던트 》.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Tsunami Message Number 7” . 태평양 지진해일 경보 센터 .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Tsunami evacuations ordered in South America, but worst risk appears to pass for US after huge quake” . AP News.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Tsunami warnings fading after one of the largest earthquakes ever recorded. Here's what to know” . 《AP 뉴스 》.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Sumin, Roman (2025년 7월 30일). “112: взрослые и ребенок пострадали во время землетрясения на Камчатке” [112: 캄차카 지진으로 성인과 어린이가 다쳤습니다] . 《URA》.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Tsunami hits Russia's Far East after powerful earthquake” . 《로이터 》.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8.7-magnitude earthquake in Russia's Far East sets off tsunami warnings in Japan, Alaska and Hawaii” . 《마닐라 불레틴 》. Associated Press.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Powerful 8.7 quake off Russia's Kamchatka sparks tsunami alerts across Pacific” . 《Caliber》.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Новый аэропорт на Камчатке пострадал из-за землетрясения” [캄차카의 새 공항이 지진으로 피해를 입었습니다] . Gismeteo.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Землетрясение затронуло десятки населенных пунктов на Дальнем Востоке” [지진이 극동 지역의 수십 개 정착촌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Gazeta.ru.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Huge quake in Russia triggers tsunami warnings around Pacific” . 《로이터 》.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В Северо-Курильске после землетрясения разрушено 90 процентов печных труб” [세베로쿠릴스크에서는 지진 후 굴뚝의 90%가 파괴되었습니다] . 《Vesti.ru》.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BNONews (2025년 7월 30일). “Tsunami hits Severo-Kurilsk in Russia's Kuril Islands” (트윗).
↑ “Kamchatka resident describes earthquake” . 《NHK 》.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AFP (2025년 7월 29일). “State of emergency declared on tsunami-hit islands, say Russian authorities” (트윗).
↑ )Shevchenko, G. V.; В, Шевченко Г.; Ivelskaya, T. N.; Н, Ивельская Т.; Kaistrenko, V. M.; М, Кайстренко В. (2022년 12월 15일). 《The Tsunami on November 5, 1952 in Severo-Kurilsk and Its Echo in the Next 70 Years》 . 《Priroda》 (러시아어) 0 . 12–26쪽. doi :10.7868/S0032874X22040020 . ISSN 0032-874X .
↑ 《The Tsunami of 4-5 November 1952》 (영어). Hawaii Institute of Geophysics, University of Hawaii. 1961.
↑ “Russia declares state of emergency on tsunami-hit islands after quake” . Al Arabiya.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가 나 “Tsunami waves reach Hawaii after huge quake rattles Russia's Far East” . 《로이터 》.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被害まとめ】死亡は1人, ケガ・搬送は15人” . 《닛폰 TV 방송망 》.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津波警報受け避難中の車が崖下に転落 運転していた58歳女性が死亡 三重・熊野市” [쓰나미 경보를 받고 피난 중이던 차가 절벽 아래로 추락, 운전하던 58세 여성 사망 미에현 구마노시] . 《Abema Times》 (Livedoor). 2025년 7월 30일.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 Coughlan, Joe; Clinton, Jane; Lamb, Kate; Visser, Nick; Livingstone, Helen; Clinton (2025년 7월 30일). “Tsunami updates live: Central and South American authorities order evacuations; volcano in Russia starts erupting after earthquake off Russian coast” . 《The Guardian》 (영국 영어). ISSN 0261-3077 . 2025년 7월 30일에 확인함 .
1월 2월 3월 4월 6월 7월 † 30명 이상 사망한 지진
· ‡ 이 해 사망자가 가장 많은 지진
· 지진 규모는
모멘트 규모 · 지진 발생일시는
U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