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쿤디나마르카 지진

2025년 쿤디나마르카 지진
2025년 쿤디나마르카 지진은(는) 콜롬비아 안에 위치해 있다
2025년 쿤디나마르카 지진
2025년 쿤디나마르카 지진은(는) 남아메리카 안에 위치해 있다
2025년 쿤디나마르카 지진
본진
UTC 시각2025-06-08 13:08:05
ISC 지진번호
USGS-ANSSComCat
현지일2025년 6월 8일
현지시간08:08:05 COT (UTC-5)
규모   모멘트 규모 6.3
최대 진도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진도 VIII
진앙콜롬비아 쿤디나마르카주 지역
북위 4° 30′ 43″ 서경 73° 09′ 18″ / 북위 4.512° 서경 73.155°  / 4.512; -73.155
여진
횟수총 4회, 이 중 M4 이상 4회
최대여진규모 M4.9 지진
피해
피해 지역콜롬비아 중부
사상자부상자 31명

2025년 쿤디나마르카 지진은 2025년 6월 8일 08:08:05 COT (13:08 UTC), 콜롬비아 쿤디나마르카주파라테부에노 마을 근처에서 발생한 규모 Mw 6.3의 지진이다.[1] 이 지진으로 최소 31명이 부상을 입었다.

지질학적 환경

나스카판북안데스판 (남아메리카판의 일부) 아래로 섭입하면서 콜롬비아 해안선을 따라 중간에서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다. 페루-칠레 해구의 북부에 거대한 메가스러스트 단층이 있으며, 이 해구는 규모 Mw  8.8의 1906년 에콰도르-콜롬비아 지진을 포함하여 매우 큰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은 콜롬비아 지역에서 가장 큰 지진이며 계측 기록된 지진 중 6번째로 큰 규모의 지진이다.

북안데스판은 남아메리카판에 대해 연간 8.6 mm의 속도로 북동쪽으로 이동한다. 이 움직임은 판 경계에 평행한 움직임(우수향 주향이동)이 연간 8.1 mm이고, 경계에 수직인 수축 형태의 움직임이 연간 4.3 mm이다. 이 경계는 충상단층과 사교 이동 단층으로 구성된 동부 전면 단층계에서 형성되며, 이들이 이 변위를 흡수한다.[2] 이 경계는 1967년 네이바, 2008년 엘칼바리오, 2023년 메타-쿤디나마르카 지진과 같은 여러 큰 지진이 일어났다.[3][4]

지진

USGS 진도 지도.

이 지진의 진앙메타주와의 경계 근처 쿤디나마르카주파라테부에노 지방자치단체이다. 지하 9 km에서 발생했으며, 파라테부에노, 메디나, 바랑카데우피아카부야로에서 최대 수정 메르칼리 진도 VIII를 기록했고, 보고타비야비센시오에서는 V를 기록했다.[1]

영향

파라테부에노와 메디나에서 3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5] 진앙에 가장 가까운 파라테부에노에서는 134채의 가옥이 붕괴되고, 250채의 다른 가옥과 6개의 학교, 교회, 고속도로가 손상되었으며 산사태가 발생했다.[6][7][8][9] 산타세실리아 마을에서는 최대 90%의 구조물이 손상되거나 파괴되었고, 학교 건물이 완전히 붕괴되었다.[10] 메디나에서는 최소 45채의 가옥이 붕괴되고,[11] 110채의 다른 가옥, 15개의 학교, 3개의 교회가 손상되었다.[12][7] 토카이마산후안데리오세코에서는 8개의 구조물이 손상되고 전력선이 손상되었다. 비야비센시오요팔 사이의 도로도 균열이 발생했다.[13][14] 모스케라에서는 한 채의 가옥이 붕괴되고, 교회가 손상되었으며, 케이블선이 끊어졌다. 가체타과스카에서도 일부 보건 시설과 학교가 영향을 받았다.[14] 파코라에서는 여러 채의 가옥이 손상되었다.[15] 포메케, 우네, 시바테에서는 두 교회가 손상되고 보건소 한 곳이 손상되었다.[16] 산페드로데하과에서는 묘지 입구가 붕괴되고 교회가 손상되었다. 쿠마랄에서는 두 건물이 손상되고 도로가 균열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공황 발작으로 입원했다. 비야비센시오에서는 물탱크가 붕괴되고 두 쇼핑센터가 손상되었다.[5] 보고타에서는 한 명이 공황 발작으로 치료를 받았고, 여러 명이 엘리베이터에 갇혔으며, 178개 이상의 구조물이 경미한 손상을 입었고, 광범위한 정전이 발생했다.[17][18]

같이 보기

각주

  1. ANSS. 〈M 6.3 - 16 km NNE of Paratebueno, Colombia 2025〉. 《Comprehensive Catalog》. U.S. Geological Survey. 
  2. Mora-Páez, H.; Kellogg, J.N.; Freymueller, J.T.; Mencin, D.; Fernandes, R.M.S.; Diederix, H.; LaFemina, P.; Cardona-Piedrahita, L.; LIzarazo, S.; Peláez-Gaviria, J.-R.; Díaz-Mila, F.; Bohórquez-Orozco, O.; Giraldo-Londoño, L.; Corchuelo-Cuervo, Y. (2019). 《Crustal deformation in the northern Andes – A new GPS velocity field》. 《Journal of South American Earth Sciences》 89. 76–91쪽. Bibcode:2019JSAES..89...76M. doi:10.1016/j.jsames.2018.11.002. S2CID 135152742. 
  3. Dimaté, C.; Rivera, L.; Cisternas, A. (2005). 《Re-visiting large historical earthquakes in the Colombian Eastern Cordillera》. 《Journal of Seismology》 9. 1–22쪽. Bibcode:2005JSeis...9....1D. doi:10.1007/s10950-005-1413-2. hdl:20.500.11850/33443. S2CID 128620783. 
  4. Dicelis, G.; Assumpção, M.; Kellogg, J.; Pedraza, P.; Dias, F. (2016). 《Estimating the 2008 Quetame (Colombia) earthquake source parameters from seismic data and InSAR measurements》. 《Journal of South American Earth Sciences》 72. 250–265쪽. Bibcode:2016JSAES..72..250D. doi:10.1016/j.jsames.2016.09.011. 
  5. “Temblor en Colombia | Meta y Cundinamarca tienen graves afectaciones: daños en el 90% de viviendas de Santa Cecilia” (스페인어). El Tiempo. 2025년 6월 9일. 2025년 6월 9일에 확인함. 
  6. “Santa Cecilia, en Paratebueno, lugar más afectado por terremoto en Colombia” (스페인어). Periódico del Meta. 2025년 6월 8일. 2025년 6월 8일에 확인함. 
  7. “Nueva alerta sísmica por fuerte temblor en Cundinamarca: estos son los riesgos” (스페인어). Alerta Bogota. 2025년 6월 8일. 2025년 6월 8일에 확인함. 
  8. “Dónde queda Paratebueno, Cundinamarca, epicentro del fuerte temblor de hoy en Colombia” (스페인어). Noticias Caracol. 2025년 6월 8일. 2025년 6월 8일에 확인함. 
  9. “Sismo de magnitud 6,5 causó graves daños en zona del epicentro en límites de Cundinamarca y el Meta” (스페인어). Radio Santa Fe. 2025년 6월 8일. 2025년 6월 9일에 확인함. 
  10. “Video | Periodista de Noticias Caracol reportó temblor en directo: "Malú, está temblando" (스페인어). Noticias Caracol. 2025년 6월 8일. 2025년 6월 8일에 확인함. 
  11. “Más de 350 viviendas afectadas por sismo en Cundinamarca; se reportan daños en obras públicas” (스페인어). LA FM. 2025년 6월 9일. 2025년 6월 9일에 확인함. 
  12. “Temblor en Cundinamarca deja heridos y daños en templos, viviendas y vías” (스페인어). Extrategia Medios. 2025년 6월 8일. 2025년 6월 8일에 확인함. 
  13. “Se reportan múltiples afectaciones tras fuerte temblor que sacudió a Bogotá y Cundinamarca” (스페인어). El Tiempo. 2025년 6월 8일. 2025년 6월 8일에 확인함. 
  14. “Autoridades entregan balance de daños tras fuerte sismo en Paratebueno” (스페인어). La Voz De Yopal. 2025년 6월 9일. 2025년 6월 9일에 확인함. 
  15. “Temblor en Colombia: Caldas, entre los departamentos con más afectaciones por el fuerte sismo, según la UNGRD” (스페인어). La Patria. 2025년 6월 8일. 2025년 6월 8일에 확인함. 
  16. “Daños en viviendas, iglesias y hasta heridos es el saldo del fuerte sismo registrado este domingo” (스페인어). Medios Hoy Noticias. 2025년 6월 8일. 2025년 6월 9일에 확인함. 
  17. “Temblor de 6,5 en Bogotá, Colombia, hoy en vivo: zonas afectadas, réplicas, consecuencias y últimas noticias”. 《colombia.as.com》 (스페인어). 2025년 6월 8일. 2025년 6월 8일에 확인함. 
  18. “Sismo de alta magnitud en Colombia deja daños estructurales en varias ciudades” (스페인어). ElDiario. 2025년 6월 8일. 2025년 6월 8일에 확인함. 

틀:콜롬비아의 지진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