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게임의 역사 에서 4세대 비디오 게임기 (fourth generation of video game consoles )는 1987년 10월 30일 일본서 출시된 닛폰 전기 의 PC 엔진 (NEC)을 시작으로 분류되는 비디오 게임기들을 가리킨다. 연산비트를 따서 16비트 시대 (16-bit era )라 칭하기도 한다. NEC가 당시 처음 게임기를 출시했으나, 실질적으로 4세대를 주름잡은 게임기들은 세가 의 메가 드라이브 (1988)와 닌텐도 의 슈퍼 패미컴 (1990)으로 세가와 닌텐도 간의 치열한 경쟁관계가 당대 화두였다. 또한 이 시대부터 닌텐도 게임보이 (1989), 아타리 링크스 (1989), 세가 게임기어 (1990), PC 엔진 GT (1990) 등 카트리지방식 휴대용 게임기 들이 속속히 등장하기 시작했다.
닌텐도는 3세대에서의 성공을 발판으로 차세대 기기를 출시해 4세대 시대동안 전세계 비디오 게임기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었다. 허나 당시 가장 눈부신 성과를 낸 회사는 세가로, 4세대에서 게임기 시장 점유율이 대폭 상승했고 닌텐도의 《슈퍼 마리오 》에 대항해 제작한 신규 프랜차이즈 《소닉 더 헤지혹 》가 시장 진출에 성공했다. 그 외 다른 회사들도 이 세대에 게임기들을 생산했으며, 이들은 세가나 닌텐도에 비해 판매가 저조했으나 당시 기업들이 성숙하는 비디오 게임 산업 의 대세를 읽고 관련 제품을 제조하는 현상을 일으켰다. 이전 세대들처럼 저장매체는 롬 카트리지 에 의존했으나, 필립스 CD-i , 메가 CD , PC 엔진 CD 처럼 광 디스크 를 사용하는 게임기 및 주변기기들이 서서히 등장하기 시작했다. 비디오 게임이 더욱 복잡해지면서 《모탈 컴뱃 》과 《나이트 트랩 》 등의 비디오 게임 내 폭력에 대한 우려가 사회적 물의를 빚었고, 이는 북미에서 게임물 등급 심의단체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 가 설립되는 기념비적인 사건으로 이어졌다.
1994년 경부터 5세대 비디오 게임기 가 등장했음에도 4세대 게임기들은 한두 해동안 추가로 우세를 유지했다. 1996년부터 해당 세대 게임기들의 판매량이 상당량 하락했으며 게임기를 지원하는 배급사 및 소프트웨어 개발사 또한 같이 감소했다. 2004년 네오지오 가 생산중단되면서 세대가 종료했다.
가정용 게임기
비교
4세대 가정용 비디오 게임기 비교
이름
PC 엔진
메가 드라이브
슈퍼 패미컴
네오지오
제조사
닛폰 전기
세가
닌텐도
SNK
사진
출시 가격
US$199.99
US$189.99
US$199.99
US$649.99 (골드)
US$399.99 (실버)
출시일
일본 : 1987년 10월 30일북미 : 1989년 8월 28일유럽 : 1990
일본 : 1988년 10월 29일북미 : 1989년 8월 14일유럽 : 1990년 11월 30일
일본 : 1990년 11월 21일북미 : 1991년 8월 23일유럽 : 1992년 4월 11일
일본 : 1991년 6월 18일북미 : 1991년 6월 18일유럽 : 1991
매체
카트리지
CD-ROM (메가 CD 애드온)
데이터 카드 (파워 베이스 컨버터 애드온)
최다판매 게임 (장)
"PC 원시인 "[ 2]
"소닉 더 헤지혹 ", 1500만[ 3]
"슈퍼 마리오 월드 ", 2000만 (2007년 6월 25일 기준) [ 4]
사무라이 쇼다운
하위호환
N/A
마스터 시스템 (파워 베이스 컨버터 필요)
게임보이 (슈퍼 게임보이 필요)
N/A
주변기기 (소매)
PC 엔진 CD (1988)
시스템 카드 (1988)
슈퍼 시스템 카드 (1991)
아케이드 카드 (1994)
터보탭 (1987)
터보스틱
터보부스터
터보부스터 플러스
CPU
32X 애드온:
닌텐도 커스텀 리코 5A22 (16비트 65C816 기반) 3.58 MHz (3.55 MHz PAL) (1.5 MIPS)
SA-1 강화칩:
닌텐도 커스텀 65C816 10.74 MHz (4.5 MIPS)
GPU
슈퍼그래픽스 :
HuC6260
2× HuC6270A
HuC6202 비디오 프라이어리티 컨트롤러
강화:
SVP 칩: 삼성 SSP1601 DSP @ 23 MHz (25 MIPS) (1994)[ 9] [ 10]
32X 애드온: 세가 32x VDP (세가 커스텀 LSI) @ 23 MHz[ 11]
리코 PPU1 (픽처 프로세싱 유닛 1)
리코 PPU2 (픽처 프로세싱 유닛 2)[ 12]
강화 칩:
SNK LSPC2-A2 (라인 스프라이트 제너레이터 & VRAM 인터페이스)[ 16]
SNK PRO-B0 (팔레트 아비터)[ 17] [ 18]
사운드 칩
허드슨 소프트 HuC6280A PSG
32X 애드온:
소니 APU
S-SMP (8비트 소니 SPC700)
S-DSP (16비트 DSP)
야마하 YM2610
RAM
강화:
슈퍼 시스템 카드: 64 KB DRAM, 192 KB SRAM
슈퍼그래픽스 : 32 KB 메인, 128 KB 비디오 RAM
강화:
SVP 칩: 128 KB DRAM, 2 KB 캐시 , 1 KB DSP RAM[ 22]
32X 애드온: 256 KB 메인 RAM, 256 KB 비디오 RAM
128 KB 메인 DRAM
64 KB 비디오 SRAM
64 KB 오디오 PSRAM
강화 칩:
SA-1: 2 KB RAM
슈퍼 FX: 32~128 KB SRAM[ 15]
슈퍼 FX 2: 64~128 KB SRAM[ 15]
64 KB 메인 SRAM
74 KB 비디오 SRAM
2 KB 오디오 SRAM[ 16]
비디오
해상도 : 256×224 ~ 565×242 (순차 ), 256×448 to 565×484 (비월 )
스프라이트 : 화면상 64개, 스캔라인 당 16개, 크기 16×16 ~ 32×64, 스프라이트당 16색, 스프라이트 반전[ 23]
타일맵 : 1개 배경 스크롤링 , 시차 스크롤링 효과[ 23] [ 24]
화면발색수: 482색 (배경 241색, 스프라이트 241색)
컬러 팔레트: 512색 (9비트 컬러)
강화:
해상도: 320×224, 256×224 (NTSC), 320×240, 256×240 (PAL) (순차주사), 320×448 to 320×480 (비월주사)[ 26]
스프라이트: 화면상 80개, 스캔라인당 20개, 크기 8×8 ~ 32×32, 스프라이트당 16색, 정수 배 스프라이트 확대, 스프라이트 반전[ 27] [ 28] [ 29]
타일맵: 시차 스크롤링 평면 2개, 타일 반전[ 30] [ 29]
화면발색수: 64~75색 (표준), 192색 (명암), 512색 (160×224 해상도)[ 8] [ 30] [ 8] [ 30]
컬러 팔레트: 512 (표준), 1536색 (명암)[ 8]
강화:
SVP 강화 칩: 초당 3,000 텍스처 매핑 폴리곤, 초당 20,000 플랫 셰이딩 폴리곤[ 31]
CD 애드온: 스프라이트/타일맵 확대&회전, 화면 동시발색 128–256색 FMV[ 32] [ 33] [ 34]
32X 애드온: 컬러 팔레트: 32,768색 (15비트 하이컬러), 화면상 256–32,768색, 초당 40,000 텍스처 고러드 셰이딩 폴리곤, 초당 50,000 텍스처 매핑 폴리곤, 초당 100,000 고러드 셰이딩 폴리곤, 초당 160,000 플랫 셰이딩 폴리곤[ 31]
해상도: 256×224 ~ 256×239 (순차주사), 512×448 ~ 512×478 (비월주사)
스프라이트: 화면상 128개, 스캔라인당 32색, 크기 8×8 ~ 64×64, 스프라이트당 16색, 스프라이트 반전[ 12]
타일맵: 시차 스크롤링 평면 2–4개 (저해상도), 스크롤링 평면 1–2개 (고해상도), 확대/회전 평면 1개 (모드 7 )[ 12]
화면발색수: 256색 (1–3개 저해상도 평면), 128색 (4개 평면), 128 ~ 160 (고해상도)[ 12]
컬러 팔레트: 32,768색 (15비트 하이컬러)
강화칩:
슈퍼 FX: 초당 2,000 플랫 셰이딩 폴리곤, 초당 1,000 텍스처 매핑 폴리곤[ 35]
슈퍼 FX 2: 초당 4,000 플랫 셰이딩 폴리곤, 초당 2,000 텍스처 매핑 폴리곤
캡콤 Cx4: 스프라이트 회전, 와이드프레임 효과 계산
DSP-1: 고급 확대 및 회전 모드 7
DSP-2: 동적 확대 기능 및 투명효과
DSP-3: 비트스트림 압축해제, 그래픽 비트평면 전환
DSP-4: Draw Distance
해상도: 320×224 ~ 384×264 (순차주사)[ 16]
스프라이트: 화면상 380개, 스캔라인당 96개, 더블 버퍼링 프레임버퍼 , 크기 16×16 ~ 16×512, 스프라이트당 16색, 스프라이트 확대, 스프라이트 반전[ 16]
타일맵: 정적 평면 1개, 부가 시차 스크롤링 평면 1–3개 + 확대 및 스크롤 효과[ 16] [ 36]
화면발색수: 4096색
컬러 팔레트: 65,536색 (16비트 하이컬러 )
오디오
스테레오 사운드:
스테레오 사운드:
강화:
스테레오 사운드:
8 ADPCM 채널
16비트 오디오, 32 kHz 샘플링 레이트
부가 돌비 서라운드 지원
스테레오 사운드:
FM 음원 채널/보이스 4개
방형파 채널/보이스 3개
노이즈 생성 1개
ADPCM 채널 6개 (12비트) @ 18.5 kHz 샘플링 레이트[ 39]
ADPCM 채널 1개 (16비트) @ 1.8 ~ 55.5 kHz 샘플링 레이트[ 39]
CD 지원 게임기
이름
PC 엔진 CD
CD-i
메가 CD
PC 엔진 듀오
제조사
닛폰 전기
필립스
세가
닛폰 전기
사진
출시가격
US$399.99 (2022년 기준 $792에 해당)
US$799 (2022년 기준 $1,518에 해당)
US$299 (2022년 기준 $568에 해당)
US$299.99 (2022년 기준 $553에 해당)
출시일
일본 : 1988년 12월 4일북미 : 1989년 11월
북미 : 1991년 12월 3일일본 : 1992년 4월 25일유럽 : 1992년 7월 10일
일본 : 1991년 12월 12일북미 : 1992년 10월 15일유럽 : 1993년 4월
일본 : 1991년 9월 21일북미 : 1992년 10월 10일
주변기기 (소매)
CD-i 마우스
CD-I 키콘트롤
롤러 컨트롤러
CD-i 트랙볼
I/O 포트 스플리터
터치패드 컨트롤러 (그래비스 PC 게임패드 )
피스키퍼 리볼버
메가 CD 백업 램 카트리지 (1992 JP) (1994 NA)[ 5]
아케이드 카드 (1994)
PC 엔진 듀오 컨트롤러 어댑터
아케이드 패드 6
CPU
허드슨 HuC6280 A (8비트 65SC02 기반) 1.79 MHz (0.77 MIPS ) 혹은 7.16 MHz (3.08 MIPS)[ 6]
필립스 SCC68070 @ 15.5 MHz
모토로라 68000 @ 12.5 MHz (2.19 MIPS)[ 6]
허드슨 HuC6280 A (8비트 65SC02 기반) 1.79 MHz (0.77 MIPS ) 혹은 7.16 MHz (3.08 MIPS)[ 6]
GPU
허드슨 HuC6260 비디오 컬러 인코더 (16비트)
허드슨 HuC6270 A 비디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16비트)
필립스 SCC66470, MCD 212
세가 ASIC 코프로세서 [ 32]
허드슨 HuC6260 비디오 컬러 인코더 (16비트)
허드슨 HuC6270 A 비디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16비트)
사운드 칩
Oki MSM5205
MCD 221, ADPCM 8채널 사운드
Ricoh RF5c164
RAM
8 KB 메인 RAM
64 KB 비디오 RAM
64 KB 메인 DRAM, 64 KB 오디오 DRAM
슈퍼 CD-ROM²:
256 KB SRAM
64 KB DRAM
2 KB 백업 SRAM
업그레이드:
아케이드 듀오 카드: 2048 KB FPM DRAM , 192 KB SRAM[ 40]
아케이드 프로 카드: 2240 KB+192 kB
1 MB RAM
512 KB 메인
256 KB 비디오
64 KB 오디오
16 KB 캐시
8 KB 내부백업[ 41]
CD 백업 램 카트리지:
256 KB SRAM
64 KB 비디오 RAM
8 KB 워크램
오디오
스테레오 오디오:
8 PCM 채널 (16비트, 32 kHz)[ 32]
1 스트리밍 CD-DA 채널 (16비트, 44.1 kHz)
스테레오 오디오:
기타 게임기
휴대용 게임기
기타 휴대용 게임기
참조
주해
각주
↑ Santulli, Joe (2005). 《Digital Press Collectors Guide》. USA: Digital Press. ISBN 978-0-9709807-0-0 .
↑ “Bonk's Adventure Virtual Console Review - Wii Review at IGN” . Wii.ign.com. 2012년 4월 1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8월 15일에 확인함 .
↑ 《Sonic the Hedgehog GameTap Retrospective Pt. 3/4》 . 1:21에 발생. 2021년 12월 12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Edge (2007년 6월 25일). “The Nintendo Years” . Next-Gen.biz . 2쪽. 2012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CD BackUp RAM Cart” . 2016년 9월 7일에 확인함 . [깨진 링크 ]
↑ 가 나 다 라 마 바 Ludovic Drolez. “Lud's Open Source Corner” . 2020년 3월 9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Renesas Technology and Hitachi Announce Development of SH-2A 32-Bit RISC CPUCore for High-Performance Embedded Sysytems” (PDF) .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MacDonald, Charles (2000년 8월 10일). “Sega Genesis VDP documentation” . 2014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0월 5일에 확인함 .
↑ “SSP1601” (PDF) . 2018년 7월 1일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Sega-16 – Sega's SVP Chip: The Road Not Taken?” . 2019년 10월 2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Sega 32x Graphics” . 2020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SNES Graphics Information” . 2015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https://www.ersinelektronik.com/class/INNOVAEditor/assets/Datasheets/D77C25.pdf 보관됨 2월 9, 2023 - 웨이백 머신 [{{{설명}}} ]
↑ “Capcom Cx4 – Hitachi HG51B169 in SNES Development” . 《Super Nintendo Development Wiki》. 2020년 5월 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A Super FX FAQ” . 2020년 5월 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MacDonald, Charles. “Neo*Geo MVS Hardware Notes” . 2018년 9월 1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26일에 확인함 .
↑ “GPU” . 2015년 12월 1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Category:Chips” . 2019년 5월 1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Mame/Sn76496.c at master · mamedev/Mame · GitHub” . 《GitHub 》. 2014년 11월 2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Mega Drive PCB revisions – Sega Retro” . 2014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Sega Genesis hardware notes” . 2014년 3월 18일. 2014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 “notaz's SVP doc” . 2019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MacDonald, Charles (2002년 2월 28일). “TurboGrafx-16 Hardware Notes” . 2014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0월 5일에 확인함 .
↑ “Street Fighter II CE Comparison Backgrounds Main” .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Video Games, Cheats, Guides, Codes, Reviews – GamesRadar” . 2018년 11월 1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TASVideos” . 2015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How to program the Sega Genesis/Mega Drive” . 2005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Charles MacDonald. “Sega Master System VDP documentation” . 2014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Sega Programming FAQ October 18, 1995, Sixth Edition – Final” . 2005년 1월 22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Sega Genesis vs Super Nintendo - www.gamepilgrimage.com” . 2015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Sega 32X Technical Specifications” . 2020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Sega CD programming FAQ” . 1998년 12월 6일. 2019년 7월 23일에 확인함 .
↑ “JAMMAPARTS.COM – Sega CD Detailed Technical Specifications” . 2018년 7월 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Technical Specifications” . 2020년 8월 13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DMA” . 《Segaretro+》. 2017년 3월 13일. 2020년 4월 2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13일에 확인함 .
↑ “Game Pilgrimage” . 2015년 11월 5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https://gamesx.com/wiki/lib/exe/fetch.php?media=schematics:turbografx-16_unit_service_manual_-_smtg16.pdf 보관됨 5월 9, 2019 - 웨이백 머신 [{{{설명}}} ]
↑ Aly James. “FM-Drive 2612 VST User Manual 1.2” (PDF) . 2020년 9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 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YM2610” . 2020년 10월 3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Arcade Card Pro” . 《PC-Engine dev》. 2011년 3월 16일.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Sega CD - www.segaretro.org” . 2017년 5월 30일에 확인함 .
↑ “OKI Semiconductor MSM5205” (PDF) . 《console5.com》. 2023년 9월 5일에 확인함 .
↑ “MSM5205” .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1] 보관됨 10월 11, 2020 - 웨이백 머신
↑ “MSM5205” . 2020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Gamate Archive 보관됨 5월 11, 2011 - 웨이백 머신 , Video Game Gazette. Retrieved June 14,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