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모네이드

북미, 프랑스, 남아시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흐린 집에서 만든 레모네이드 한 잔
탄산 레모네이드(R. 화이츠 레모네이드 청량음료 사진), 그레이트브리튼섬, 아일랜드섬, 오세아니아에서 흔함

레모네이드(Lemonade)는 달콤한 레몬음료이다. 전 세계에는 다양한 종류의 레모네이드가 있다.[1]

세계 일부 지역에서 레모네이드는 레몬즙, 물, 사탕수수당, 단순 시럽, 메이플 시럽 또는 벌꿀과 같은 감미료를 사용하여 전통적으로 집에서 만든 무탄산 음료를 의미한다.[2] 다른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탄산 레몬 맛 청량 음료 또는 소다를 의미한다. 이들 음료 사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각 음료는 해당 국가에서 지배적인 형태로 단순히 "레모네이드"로 알려져 있다.

접미사 "-ade"는 라임에이드, 오렌지에이드 또는 체리에이드와 같이 다른 과일로 만든 유사한 음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3]

역사

맘루크 이집트에서는 레몬, 대추야자 및 꿀로 만든 음료가 소비되었으며, 설탕을 넣은 레몬즙 음료인 카타르미자트(qatarmizat)도 있었다.[4] 레모네이드라는 용어는 1663년부터 영국에서 사용되었고 새뮤얼 피프스는 1660년대에 이를 마셨다.[5] 1676년, 콤파니 드 리모나디에르(Compagnie de Limonadiers)라는 회사가 파리 (프랑스)에서 레모네이드를 판매했다.[6] 판매원들은 레모네이드 탱크를 등에 짊어지고 파리 시민들에게 청량 음료 잔을 나누어 주었다.[7]

탄산수조지프 프리스틀리가 1767년에 발명했지만(1772년 런던에서 그의 팸플릿 《고정된 공기로 물을 주입하는 방법》 출판),[8] 탄산 레모네이드에 대한 첫 번째 언급은 1833년에 영국 간이 매점에서 이 음료가 판매되었을 때였다.[9] R. 화이츠 레모네이드는 1845년부터 영국에서 판매되어 왔다.[10]

무탄산 레모네이드

북미, 카리브해, 남아시아에서 레모네이드는 일반적으로 레몬즙, 물, 설탕으로 만든 무탄산 및 비정제 음료이다.

1960년 라카냐다플린트리지에서 레모네이드 스탠드를 운영하는 아이들

전통적으로 미국과 캐나다의 아이들은 여름 동안 돈을 벌기 위해 레모네이드 스탠드를 차린다. 이 개념은 젊음의 여름 미국적인 상징이 되었으며, 다양한 미디어에서 패러디와 변형이 존재한다. 피너츠와 같은 만화와 카툰, 1979년 컴퓨터 게임 레모네이드 스탠드에서 그 언급을 찾을 수 있다.[11]

"레모네이드"가 탄산 음료를 의미하는 국가에서는 무탄산 음료를 레몬 스쿼시 또는 스틸, 클라우디, 전통 또는 옛날 방식 레모네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전통적인 레모네이드는 얼려서 제공되거나 믹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스틸 레모네이드는 테스코(Tesco)나 펜티맨스와 같은 브랜드로 영국에서 판매되며, 빅토리아 시대 레모네이드를 판매한다.[12]

민트 레모네이드

갓 짜낸 레몬즙민트 잎으로 만든 리모나나는 중동에서 흔한 여름 음료이다.[13] 북아프리카에서는 레몬, 민트, 장미수로 만든 체르바트(cherbat)라는 음료가 있다.

불가리아에서도 민트를 넣은 레모네이드가 인기다.

시트롱 프레세

물에 희석되는 프랑스 청량음료 시트롱 프레세

프랑스에서는 바나 레스토랑에서 시트롱 프레세(citron pressé) 또는 시트로네이드(citronnade)라고 불리는 혼합되지 않은 레모네이드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손님에게 레몬즙, 시럽, 물을 따로 주어 원하는 비율로 섞어 마시게 한다.[14]

핑크 레모네이드

전통적인 레모네이드의 인기 있는 변형인 핑크 레모네이드는 레시피에 추가 과일 주스, 향미료 또는 착색제를 첨가하여 만들어진다. 대부분의 상업용 핑크 레모네이드는 단순히 농축 포도 주스나 염료로 착색된다.[15] 천연 색소를 사용하는 경우 포도가 가장 인기가 많지만, 크랜베리 주스, 비트 주스 또는 루바브, 라즈베리, 딸기, 체리와 같은 밝은 색 과일 및 채소로 만든 시럽도 사용된다.[16]

핑크 레모네이드의 유래 이야기는 일반적으로 미국 내 서커스 순회 공연과 관련이 있다.[16] 1912년 부고 기사에서는 서커스 직원 헨리 E. "산체스" 앨럿이 실수로 빨간 계피 사탕을 떨어뜨려 핑크 레모네이드를 발명했다고 밝혔다.[17] 또 다른 유래 이야기는 1857년 또 다른 서커스 직원인 피트 콘클린에게 공로를 돌린다. 그의 형제이자 사자 조련사인 조지 콘클린은 1921년 회고록 《서커스의 방식들》에서 이 이야기를 전한다.[16] 이야기에 따르면 콘클린의 레모네이드는 물, 설탕, 타타르산의 혼합물이었고, 통에는 한 시즌 내내 반복해서 사용한 단 하나의 레몬으로 장식되어 있었다. 어느 날 물이 바닥났다. 필사적으로 찾아보니 곡마 기수가 최근에 분홍색 타이츠를 헹구는 데 사용했던 물통을 발견했다. 설탕, 산성 물질, 남은 레몬 조각을 추가하여 그 결과물을 "딸기 레모네이드"로 팔았더니 판매량이 두 배로 늘었다고 한다.[15][18]

서커스에서 진짜 레몬은 너무 비쌌기 때문에 인공 대체품이 널리 사용되었다.[16] 과거에는 전형적인 시큼한 맛을 내기 위해 타타르산이 흔히 사용되었다.[16] 현대에는 상업적으로 생산되는 레모네이드와 분말 혼합물은 시트르산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16]

용어의 주요 의미는 아니지만, "핑크 레모네이드"는 또한 인디언 레모네이드, 즉 말린 붉나무 열매, 특히 붉나무 종(Rhustyphina("수사자 붉나무")),[19] Rhus aromatica("향기 붉나무", "레몬 붉나무"),[20] Rhus glabra("매끄러운 붉나무", "스칼렛 붉나무"),[21][22] 또는 Rhus integrifolia("레모네이드 붉나무", "레모네이드 베리")[23] 열매를 담가 만든 레모네이드를 가리키기도 한다.[24][25][26][27][28] 인디언 레모네이드는 비슷한 분홍색을 띤다.

갈색 레모네이드

갈색 레모네이드라고 불리는 다양한 음료가 있다. 베네수엘라의 한 변종은 사탕수수당과 라임이 들어간다.[29]

기타 변형

인도파키스탄에서는 일반적으로 님부 파니(nimbu paani)로 알려져 있으며, 방글라데시에서는 레부르 쇼르보트(lebur shorbot)라고 불리는 소금이나 생강 즙이 들어간 레모네이드도 있다.[30] 시칸지비(Shikanjvi)는 이 지역의 전통 레모네이드로, 사프란, 쿠민 및 기타 향신료로 맛을 낼 수도 있다.[31][32][33]

탄산 레모네이드

영국, 아일랜드, 프랑스, 독일, 뉴질랜드, 스위스, 남아프리카 공화국, 호주에서 레모네이드의 주요 형태는 투명한 레몬 맛 탄산 음료이다.

슈웹스, 커크스(Kirks), R. 화이츠 레모네이드, L&P, C&C는 모두 흔한 브랜드이며, 상점들은 보통 자체 브랜드 레모네이드도 판매한다.[10] 슈웹스는 레몬과 라임 오일의 혼합물을 사용한다.[34] 스프라이트세븐업처럼 레몬과 라임 맛이 나는 다른 탄산 음료, 청량 음료(또는 팝)도 때로는 레모네이드라고 불리기도 한다.

펜티맨스 로즈 레모네이드와 같은 특수 맛도 있으며, 이는 영국, 미국, 캐나다에서 판매된다. 맥주와 투명한 레모네이드를 혼합한 섄디는 종종 미리 병에 담겨 판매되거나 술집에서 주문된다.[35]

갈색 레모네이드

아일랜드섬 북부의 얼스터에서는 황설탕으로 맛을 낸 갈색 레모네이드가 있다.[36]

갤러리

같이 보기

각주 및 참고 문헌

  1. “Lemonade”. 《dictionary.cambridge.org》. 2018년 10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0월 25일에 확인함. 
  2. “History of Lemonade”. 《Buzzle》. 2015년 10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6일에 확인함. 
  3. Smith, Andrew F. (2013년 10월 28일). 《Food and Drink in American History: A "Full Course" Encyclopedia》. ABC-CLIO. ISBN 978-1-61069-233-5. 2016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7일에 확인함. 
  4. “History of lemonade”. Clifford A. Wright. 2012년 3월 12일. 2012년 3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6일에 확인함. 
  5. “Mrs Hudson Victorian lemonade”. 
  6. “The Victoria Advocate – Google News Archive Search”. 《news.google.com》. 2016년 1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6일에 확인함. 
  7. 〈Soft Drink〉.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015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4월 20일에 확인함. 
  8. Priestley, Joseph. Directions for impregnating water with fixed air; in order to communicate to it the peculiar spirit and virtues of Pyrmont water, and other mineral waters of a similar nature. London: Printed for J. Johnson, 1772.
  9. Emmins, Colin (1991). 《Soft drinks – Their origins and history》 (PDF). Great Britain: Shire Publications Ltd. 8 and 11쪽. ISBN 0-7478-0125-8.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2월 27일에 확인함. 
  10. “Chester homeless charity teams up with lemonade brand”. Chester Chronicle. 2017년 10월 8일. 2017년 10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0월 8일에 확인함. 
  11. Apple Computer (1979), 《Lemonade Stand (1979) (Apple)》, 2020년 5월 3일에 확인함 
  12. “Fentimans Victorian lemonade”. 
  13. “Limonana: Not your average lemonade”. Zomppa. 2011년 8월 29일. 2019년 3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28일에 확인함. 
  14. Rough Guides Snapshot (2012년 4월 12일). 《Poitou-Charentes and the Atlantic Coast Rough Guides Snapshot France (includes Poitiers, La Rochelle, Île de Ré, Cognac, Bordeaux and the wineries)》. Rough Guides Limited. 96쪽. ISBN 978-1-4093-6293-7. 2017년 3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3일에 확인함. 
  15. “The Unusual Origins of Pink Lemonade | History | Smithsonian”. Smithsonianmag.com. 2016년 8월 16일. 2019년 10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0월 13일에 확인함. 
  16. Kim, Eric (2024년 6월 26일). “This Is the Drink of the Summer Every Summer”. 《The New York Times》 (미국 영어). ISSN 0362-4331. 2024년 7월 1일에 확인함. 
  17. “Inventor of pink lemonade dead” (PDF). 《The New York Times》. 1912년 9월 18일. 11면. 2021년 1월 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9월 21일에 확인함. 
  18. Nickell, Joe. Secrets of the Sideshows, 978-0813123585,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05. pp. 31–32.
  19. Core, Earl L. (1967). 《Ethnobotany of the southern Appalachian aborigines》. 《Economic Botany》 21. 198–214쪽. Bibcode:1967EcBot..21..199C. doi:10.1007/BF02860370. JSTOR 4252878. 
  20. Nesom, Guy (2000년 9월 20일). 〈Fragrant Sumac, Rhus aromatica Ait., plant symbol = RHAR4〉. USDA NRCS Plant Guide (PDF) (보고서) 44. USDA. 60–80쪽. 
  21. Craig, Robert M.; Stone, Reba M. (1977). 〈Trees and shrub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Proceedings of the Florida State Horticultural Society》. 
  22. Linsenmeyer, Helen Walker; Kraig, Bruce (2011). 《Cooking Plain, Illinois Country Style》. SIU Press. ISBN 978-0-8093-3073-7. 
  23. Clarke, Charlotte Bringle (2023). 《Edible and useful plants of California》 41.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03267-5. 
  24. Wiles, Briana (2016). 《Mountain States Foraging: 115 Wild and Flavorful Edibles from Alpine Sorrel to Wild Hops》. Timber Press. 232쪽. ISBN 978-1-60469-678-3. Spired clusters of red berries are fun for the kids to pick apart and make pink lemonade [with], especially in our not-so-tropical region. 
  25. Brill, "Wildman" Steve (2017). 《Foraging New York: Finding, Identifying, and Preparing Edible Wild Foods》. Globe Pequot. 216–217쪽. ISBN 978-1-4930-2428-5. Strain out the fruit with a fine sieve or cheesecloth-lined colander, sweeten to taste, and enjoy the best pink lemonade you've ever tasted. 
  26. Gilbert, Rebecca (2022). 《Weedy Wisdom for the Curious Forager: Common Wild Plants to Nourish Your Body & Soul》. Llewellyn Publications. ISBN 978-0-7387-7207-3. Use a handful or more of sumac berries, fresh or dried, per gallon of water, or to taste. The resulting sour, pink liquid may be used to make sumac 'pink lemonade.' 
  27. Feghali, Layla K. (2024). 《The Land in Our Bones: Plantcestral Herbalism and Healing Cultures from Syria to the Sinai—Earth-based Pathways to Ancestral Stewardship and Belonging in Diaspora》. North Atlantic Books. 100–111쪽. ISBN 978-1-62317-914-4. Sumac berries infused in water with sweetener added make a wonderful pink lemonade, a recipe I learned from Indigenous communities in my diasporic California home, whose colloquial name for their native sumac tree is 'lemonade berry'. 
  28. Stewart, Hilary (2009). 《Drink in the Wild: Teas, Cordials, Jams and More》. Douglas and McIntyre. 115쪽. ISBN 978-1-55054-894-5. Another method is to crush the seed cones in cold water and allow [them] to sit for several hours, preferrably overnight, then strain and add sugar. This gives a pink lemonade that is ideal for small children to make, since boiling water is not involved. 
  29. Locklin, Kristy (2020년 10월 18일). “Cilantro & Ajo brings Venezuelan street food to Pittsburgh's South Side”. 《Next Pittsburgh》. 2020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2월 5일에 확인함. 
  30. “Summer cooler: Try this refreshing lemonade with a twist”. 《The Indian Express》 (영어). 2021년 5월 19일. 2023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9월 17일에 확인함. 
  31. Jiggs Kalra, Pushpesh Pant, Classic cooking of Punjab 보관됨 5월 21, 2016 - 웨이백 머신, Allied Publishers, 2004, ISBN 978-81-7764-566-8
  32. Julie Sahni, Indian regional classics: fast, fresh, and healthy home cooking 보관됨 4월 25, 2016 - 웨이백 머신, Ten Speed Press, 2001, ISBN 1-58008-345-5, 9781580083454, "... Ginger Limeade (Shikanji) ..."
  33. Mint lemonade / pudina shikanji / pudina nimbu paani / masala lemonade 보관됨 6월 19, 2018 - 웨이백 머신. Indian Recipe Secrets. June 16, 2018. Retrieved August 29, 2018.
  34. “Product description”. 2019년 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2월 8일에 확인함. 
  35. “shandy | Origin and meaning of shandy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www.etymonline.com》. 2021년 1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11월 8일에 확인함. 
  36. “Brown Lemonade” (미국 영어). CooksInfo. 2020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18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