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군의 농어촌버스는 경기도 가평군을 주관으로 담당하는 농어촌버스다. 가평군 관내 유일한 버스 업체는 가평교통이다.
운수 업체
농어촌버스
2021년 1월 기준이다.[1]
운행업체
|
보유 노선수
|
등록 대수
|
노선 합계
|
광역급행
|
직행좌석
|
일반좌석
|
시내일반
|
대수 합계
|
광역급행
|
직행좌석
|
일반좌석
|
시내일반
|
가평교통
|
58 |
- |
8 |
- |
50 |
44 |
- |
20 |
- |
32
|
타 지역 업체
요금
요금 체계
경기도의 시내버스 요금표 (2019년 9월 28일 기준)
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조조요금 (원)
|
일반시내 (DRT)
|
어른 (만 19세 이상)
|
1,500
|
1,450
|
1,2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100
|
1,010
|
870
|
어린이 (만 6세 ~ 11세)
|
800
|
730
|
630
|
일반좌석
|
어른 (만 19세 이상)
|
2,500
|
2,450
|
2,0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900
|
1,820
|
1,520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700
|
1,640
|
1,370
|
직행좌석 (간선급행)
|
어른 (만 19세 이상)
|
2,900
|
2,800
|
2,4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000
|
1,960
|
1,680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000
|
1,960
|
1,680
|
경기순환
|
어른 (만 19세 이상)
|
3,100
|
3,050
|
2,6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200
|
2,140
|
1,820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200
|
2,140
|
1,820
|
광역급행(M버스)
|
어른 (만 18세 이상)
|
2,900
|
2,800
|
2,300
|
청소년 (만 12세 ~ 17세)
|
2,100
|
2,000
|
1,600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600
|
1,600
|
1,300
|
환승 할인
가평군의 농어촌버스는 경기도의 다른 지역 시내버스와 같이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른다.
버스 노선
노선
|
운행 구간
|
경유지
|
배차
|
비고
|
12
|
가평TR
|
↔
|
설악TR
|
가평역, 이화리, 산유리, 복장리, 고재입구
|
10회
|
|
15
|
가평역
|
↔
|
목동TR
|
가평TR, 보건소, 마장리, 이곡리
|
35회
|
|
10-1
|
가평역
|
↔
|
경반리·용추
|
가평TR, 가평군청, 승안리입구
|
9회
|
|
10-3
|
가평TR
|
↔
|
새밀·두밀리
|
가평역, 하색리, 두밀삼거리
|
7회
|
|
10-4
|
가평TR
|
↔
|
남이섬
|
가평역, 달전리
|
24회
|
|
10-5
|
가평TR
|
↔
|
금대리
|
가평역, 이화삼거리, 금대리, 하금대, 산유리, 이화리, 가평역
|
8회
|
|
10-6
|
가평TR
|
↔
|
경강역·방하리
|
|
5회
|
|
10-7
|
가평TR
|
↔
|
가평역
|
|
24회
|
|
60-10
|
가평TR
|
→
|
가평TR
|
레일바이크, 가평군청, 읍내10리, 가평역, 자라섬
|
15회
|
|
60-19
|
가평TR
|
→
|
가평TR
|
자라섬, 가평역, 읍내10리, 가평군청, 레일바이크
|
14회
|
|
71-1
|
가평역
|
↔
|
개곡리
|
가평TR, 아랫마장, 마장초교
|
7회
|
|
23
|
설악TR
|
↔
|
청평TR
|
솔고개, 신청평대교
|
22회
|
|
20-1
|
설악TR
|
↔
|
영천리
|
솔고개, 배치고개, 이천리
|
5회
|
|
20-2
|
설악TR
|
↔
|
유명산종점(대리)
|
신천리, 방일리, 가일리
|
10회
|
|
20-3
|
설악TR
|
↔
|
묵안리
|
신천리, 엄소리, 설곡리
|
8회
|
|
20-4
|
설악TR
|
↔
|
모곡
|
위곡3리, 널미재, 동막
|
6회
|
|
20-5
|
설악TR
|
↔
|
미사2리·송산2리
|
청심국제병원, 송산리
|
10회
|
|
30-1
|
청평TR
|
↔
|
송천리
|
대성리역
|
3회
|
|
30-2
|
청평TR
|
↔
|
삼회리(야밀)
|
신청평대교, 삼회리
|
6회
|
|
30-3
|
청평TR
|
↔
|
수리재
|
청평역, 하천리
|
6회
|
|
|
상천역
|
↔
|
호명호수
|
호명호수주차장
|
|
|
30-5
|
청평TR
|
↔
|
고성리
|
청평역, 호명리, 쁘띠프랑스, 고재
|
11회
|
|
30-6
|
청평TR
|
↔
|
아침고요수목원
|
청평역, 다원리, 상면초교, 행현리
|
13회
|
|
30-7
|
청평TR
|
↔
|
아침고요수목원
|
청평역, 다원리, 상면초교, 임초리
|
4회
|
|
30-8
|
청평TR
|
↔
|
독박골·임초리
|
청평역, 다원리, 상면초교, 행현리
|
2회
|
|
|
청평TR
|
→
|
청평TR
|
청평고, 청평역, 청평면행정복지센터
|
19회
|
|
73-1
|
청평TR
|
↔
|
가평TR
|
상천리입구, 상색리, 가평역
|
10회
|
|
41
|
현리TR
|
↔
|
가평TR
|
상면초교, 다원리, 상천리입구, 가평역
|
7회
|
|
43
|
현리TR
|
↔
|
청평TR
|
상면초교, 다원리, 청평역
|
9회
|
|
40-2
|
현리TR
|
↔
|
봉수리
|
원흥리, 물골, 율길리(현리출발)
|
6회
|
|
40-3
|
현리TR
|
↔
|
봉수리
|
원흥리, 물골, 율길리(현리행)
|
6회
|
|
40-4
|
현리TR
|
↔
|
마일2리·대보리
|
|
5회
|
|
40-5
|
현리TR
|
↔
|
상판리
|
하판리
|
6회
|
|
40-6
|
현리TR
|
↔
|
독박골·임초리
|
상면초교
|
5회
|
|
40-8
|
현리TR
|
↔
|
상판리
|
신상3리, 산월랑, 하판리, 꽃동네(현리출발)
|
3회
|
|
40-11
|
현리TR
|
↔
|
불기
|
태봉리(태봉골)
|
3회
|
|
74-1
|
현리TR
|
↔
|
불기
|
태봉리
|
8회
|
|
74-2
|
현리TR
|
↔
|
마일리
|
간촌
|
4회
|
|
50-2
|
목동TR
|
↔
|
싸리재·작은멱골·큰멱골
|
소법리
|
5회
|
|
50-3
|
목동TR
|
↔
|
꽃넘이
|
소법리
|
5회
|
|
50-4
|
목동TR
|
↔
|
홍적리·화악리
|
|
6회
|
|
50-5
|
목동TR
|
↔
|
논남·용수동
|
제령리, 백둔리입구
|
9회
|
|
50-6
|
목동TR
|
↔
|
백둔리·논남·용수동
|
제령리
|
1회
|
|
75-1
|
목동TR
|
↔
|
백둔리
|
제령리
|
11회
|
|
80
|
현리TR
|
↔
|
광릉내
|
|
4회
|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
서울 방면 노선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30
|
경기고속
|
대성리역
|
↔
|
청량리역
|
마석역, 평내호평역, 남양주시청, 금곡역, 도농역, 구리역, 돌다리, 망우리고개,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
15~20
|
광주시 면허
|
93
|
경기여객
|
대성리역
|
↔
|
강변역
|
마석역, 호평지구, 평내호평역, 금곡동, 금곡역, 양정동, 도농역, 구리역, 장자대로, 광나루역
|
13~20
|
구리시 면허
|
1330-2 직행좌석
|
가평교통
|
가평터미널
|
↔
|
청량리역
|
상천역, 청평면, 대성리역, 마석역, 평내호평역, 남양주시청, 금곡역, 도농역, 구리역, 돌다리, 망우리고개,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
120~180
|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1330-3 직행좌석
|
가평교통
|
목동버스터미널
|
↔
|
청량리역
|
가평군청, 가평터미널, 상천역, 청평면, 대성리역, 마석역, 평내호평역, 남양주시청, 금곡역, 도농역, 구리역, 돌다리, 망우리고개,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
1일 3회
|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1330-4 직행좌석
|
가평교통
|
현리터미널
|
↔
|
청량리역
|
청평터미널, 대성리역, 마석역, 평내호평역, 남양주시청, 금곡역, 도농역, 구리역, 돌다리, 망우리고개,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
15~30
|
|
1330-44 직행좌석
|
가평교통
|
운악산입구(현등사)
|
↔
|
청량리역
|
신상1리, 현리터미널, 청평터미널, 대성리역, 마석역, 평내호평역, 남양주시청, 금곡역, 도농역, 구리역, 돌다리, 망우리고개,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
30~120
|
|
7000 직행좌석
|
가평교통
|
가평터미널
|
↔
|
잠실역
|
청평면, 설악면, 서울양양고속도로, 올림픽대로
|
180
|
2020년 1월 1일부터 시외버스에서 직행좌석버스로 전환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7001 직행좌석
|
가평교통
|
HJ매그놀리아국제병원
|
↔
|
잠실역
|
청심, 설악터미널, 서울양양고속도로, 올림픽대로
|
145
|
2020년 1월 1일부터 시외버스에서 직행좌석버스로 전환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7002 직행좌석
|
가평교통
|
유명산입구
|
↔
|
잠실역
|
가일1리, 방일리, 한우재, 설악터미널, 서울양양고속도로, 올림픽대로
|
180
|
2020년 1월 1일부터 시외버스에서 직행좌석버스로 전환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8001 간선급행
|
대원운수
|
대성리역
|
↔
|
신사역
|
마석역, 화도파출소, 창현지구 두산 1차 A, 서울양양고속도로, 올림픽대로, 잠실역, 잠실새내역, 종합운동장역, 삼성역, 선릉역, 역삼역, 강남역, 신논현역, 논현역
|
30~45
|
남양주시 면허 간선급행버스
|
8002 간선급행
|
대원운수
|
대성리역
|
↔
|
잠실역
|
마석역, 화도파출소, 창현지구 두산 1차 A, 서울양양고속도로, 올림픽대로
|
15~20
|
남양주시 면허 간선급행버스
|
8005 간선급행
|
가평교통
|
유명산입구
|
↔
|
청량리역
|
가일1리, 방일리, 한우재, 설악터미널, 서울양양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돌다리, 구리역, 망우리고개, 망우역, 상봉역, 중랑역, 회기역
|
5회
|
간선급행버스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타 지역 방면 노선
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5
|
가평교통
|
화대3리
|
↔
|
광릉내
|
일동터미널, 유동리, 화현, 명덕리, 베어스타운, 내촌
|
6회
|
가평군 미경유
|
6-10
|
금강고속
|
양평터미널
|
↔
|
설악터미널
|
덕평2리, 신복1리, 전위골, 한우재, 한교막
|
2회
|
양평군 면허
|
7
|
선진시내버스
|
도평리
|
↔
|
광릉내
|
이동, 사직리, 일동, 화현, 운악산, 베어스타운, 내촌
|
통합 30~40분 4회
|
포천시 면허 사직리 경유
|
7-1
|
이동, 일동, 화현, 운악산, 베어스타운, 내촌, 광릉내> 마명리
|
13회
|
포천시 면허 도평리 행 마명리 경유
|
7-2
|
이동, 일동, 화현, 운악산, 베어스타운, 내촌, 마명리> 광릉내
|
13회
|
포천시 면허 광릉내 행 마명리 경유 3회 진목리 지선
|
56
|
대원운수
|
대성리역
|
↔
|
실학박물관
|
외구운마을, 배터, 백월리, 삼봉2리, 남양주종합촬영소, 운길산역, 진중농협, 조안초교
|
30~50
|
남양주시 면허
|
사진
-
가평군의 직행좌석버스 1330-2번
-
가평군의 직행좌석버스 1330-4번
-
가평군의 직행좌석버스 1330-44번
-
가평군의 간선급행버스 8005번
-
가평군의 농어촌버스 5번 노선도
각주
외부 링크
시티투어버스 |
---|
특별시·광역시 | |
---|
경기도 | |
---|
강원도 | |
---|
충청남도 | |
---|
충청북도 | |
---|
전라남도 | |
---|
전라북도 | |
---|
경상북도 | |
---|
경상남도 | |
---|
제주도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