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 (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노선 기호와 사용 연도
101
1991년 ~ 1997년
1997년 ~ 2001년
노선명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노선번호
고속국도 제101호선
기점
경기도 성남시
종점
경기도 성남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首都圈第一循環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00호선)는 경기도 성남시 의 판교 분기점 을 기종점으로 하여 서울특별시 , 하남시 , 구리시 , 남양주시 , 의정부시 , 양주시 , 고양시 , 김포시 , 인천광역시 , 부천시 , 시흥시 , 안산시 , 군포시 , 안양시 , 의왕시 , 성남시 등을 순환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다. 2020년 이전까지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라는 이름으로 불렸었다.
이 고속도로는 한국도로공사에서 운영하는 국가재정 구간과 민간에서 운영하는 민자 구간이 혼재되어 있다. 퇴계원 나들목 에서 일산 나들목 까지의 북측 구간은 민간투자고속도로 로 서울고속도로주식회사 에서 운영하며, 나머지 구간은 한국도로공사 에서 운영하고 있다.
역사
1988년 1월 14일 : 경기도 성남시 삼평동 ~ 구리시 인창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11호선 판교 ~ 구리고속도로(판교 ~ 구리선)"으로 지정[ 1]
1988년 2월 : 판교 분기점 ~ 하남 분기점 , 하일 나들목 ~ 퇴계원 나들목 구간 착공
1988년 2월 6일 : 판교~구리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기도 성남시 삼평동 ~ 구리시 인창동 25.5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2]
1991년 7월 25일 : 중부고속도로 일부 구간을 편입해 종점을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서 '경기도 남양주군 퇴계원면'으로 연장, 고속국도 제11호선 '판교 ~ 구리선'에서 "고속국도 제101호선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서울외곽순환선)"으로 노선명 변경[ 3]
1991년 10월 30일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 사노동 2.5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4]
1991년 10월 31일 : 판교 분기점 ~ 하남 분기점 19.3km 구간 개통[ 5]
1991년 11월 29일 : 하일 나들목 ~ 남양주 나들목 4.2km 구간 개통[ 6]
1991년 12월 : 판교 분기점 ~ 산본 나들목 구간 착공
1992년 1월 13일 : 토평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6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7]
1992년 4월 29일 : 종점을 '경기도 남양주군 퇴계원면'에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으로 연장해 순환선 형태로 노선 변경.[ 8]
1992년 5월 : 장수 나들목 ~ 서운 분기점 구간 착공
1992년 6월 18일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판교 ~ 일산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 고양시 효자동 56.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9]
1992년 12월 : 신평 나들목 ~ 김포 나들목 구간 착공
1992년 12월 10일 : 남양주 나들목 ~ 구리 나들목 2.3km 구간 개통[ 10]
1994년 2월 4일 : 구리 나들목 ~ 퇴계원 나들목 2.7km 구간 개통[ 11]
1994년 10월 1일 : 토평 나들목 개통[ 12]
1995년 1월 24일 : 1995년 12월까지 구리 요금소 차선 확장공사로 인해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 수택동 556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3]
1995년 6월 : 산본 나들목 ~ 장수 나들목 , 서운 분기점 ~ 김포 나들목 구간 착공
1995년 7월 14일 : 2000년 12월까지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노원 ~ 퇴계원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10.8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14]
1995년 7월 20일 : 판교 분기점 ~ 학의 분기점 8.8km 구간 개통[ 15]
1995년 12월 28일 : 평촌 나들목 ~ 학의 분기점 3.3km 구간 개통[ 16]
1996년 10월 31일 : 산본 나들목 ~ 평촌 나들목 3.3km 구간 개통[ 17]
1997년 2월 22일 : 1999년 12월까지 소래산 구간을 절개공법에서 소래터널로 변경함에 따라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 ~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 3.0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8]
1997년 5월 2일 : 신평 나들목 ~ 일산 나들목 구간 착공
1997년 7월 10일 : 2001년 12월까지 하남 분기점 ~ 하일 나들목 구간 확장 공사를 위해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 ~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 5.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19]
1997년 10월 10일 : 노원 ~ 퇴계원 구간 8차선으로 차선 변경으로 인한 선형 변경으로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10.817km 구간을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6.003km로 도로구역 변경, 기존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 도봉구 도봉동 4.814km 구간 도로구역 해제[ 20]
1997년 10월 24일 : 2000년 12월까지 신평 나들목 ~ 지도 나들목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고양시 토당동 ~ 내곡동 2.1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21]
1997년 11월 3일 : 김포대교 를 포함한 신평 나들목 ~ 김포 나들목 3.5km 구간 개통[ 22]
1998년 3월 7일 : 2001년 12월까지 판교 분기점 ~ 하남 나들목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 하남시 춘궁동 19.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3]
1998년 4월 11일 : 1999년 12월까지 논곡 요금소 신설, 도리 나들목 폐지, 일부 구간 선형 변경으로 인해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 계수동 9.4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4]
1998년 4월 14일 : 1999년 12월까지 김포 나들목 연결로와 국도 제48호선 접속부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김포군 고촌면 신곡리 ~ 고양시 토당동 3.47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5]
1998년 6월 30일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일산 ~ 퇴계원 구간 민자유치시설사업 기본계획 고시[ 26] [ 27]
1998년 7월 24일 : 서운 분기점 ~ 장수 나들목 (부천고가교 ) 8.0km 구간 개통[ 28]
1998년 10월 17일 : 1999년 12월까지 박촌 나들목 형식 변경으로 인해 인천광역시 계양구 용종동 ~ 병방동 1.4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29]
1999년 4월 21일 : 2002년 12월까지 하일 나들목 ~ 퇴계원 나들목 구간 왕복 8차로 확장 공사로 인해 서울특별시 강동구 하일동 ~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8.445km 구간을 8.845km로 도로구역 변경[ 30]
1999년 6월 24일 : 2005년까지 일산 ~ 노원 ~ 퇴계원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곡동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30.7km 구간과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5.6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31]
1999년 7월 15일 : 2002년까지 성남 나들목 , 송파 나들목 , 서하남 나들목 선형 변경으로 인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 하남시 춘궁동 19.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32]
1999년 11월 26일 : 김포 나들목 ~ 서운 분기점 7.8km 구간, 장수 나들목 ~ 산본 나들목 21.3km 구간 개통[ 33]
2000년 1월 1일 : 하일 나들목 이 강일 나들목 으로 명칭 변경
2000년 11월 21일 : 노오지 분기점 개통[ 34]
2001년 5월 1일 : 하남 분기점 ~ 강일 나들목 5.32km 구간 확장 개통[ 35]
2001년 6월 30일 : 퇴계원 나들목 ~ 일산 나들목 구간 착공
2001년 8월 25일 : 노선번호를 제101호에서 제100호 로 변경.[ 36]
2001년 9월 11일 : 신평 나들목 ~ 일산 나들목 내선 구간 개통[ 37]
2001년 9월 21일 : 판교 분기점 ~ 성남 나들목 왕복 8차로 확장 개통
2001년 9월 27일 : 신평 나들목 ~ 일산 나들목 외선 구간 개통
2001년 12월 6일 : 2002년 12월까지 판교 분기점 차로 확장 공사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 분당구 삼평동 1.4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38]
2002년 3월 19일 : 2002년 12월까지 성남 요금소 와 구리 요금소 차로 확장 공사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 남양주시 별내면 화점리 34.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39]
2002년 12월 10일 : 성남 나들목 ~ 퇴계원 나들목 왕복 8차로 확장 개통
2003년 7월 8일 : 2006년 6월까지 요금소 신설 등을 위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곡동 ~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36.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40]
2003년 10월 29일 : 2004년까지 계양 나들목 ~ 서운 분기점 판교방향 구간에 부가차로 설치를 위해 인천광역시 계양구 서운동 39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및 박촌 나들목을 계양 나들목 으로 명칭 변경[ 41]
2005년 2월 1일 : 2007년까지 계양 나들목 램프 차로 개량 공사를 위해 인천광역시 계양구 서운동 ~ 병방동 구간[ 42] , 2006년까지 자유로 나들목 램프 차로 개량 공사를 위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토당동 구간 도로구역 변경[ 43]
2006년 : 신평 나들목 이 자유로 나들목 으로 명칭 변경
2006년 6월 30일 : 송추 나들목 ~ 일산 나들목 18.3km 구간, 퇴계원 나들목 ~ 의정부 나들목 10.5km 구간 개통[ 44]
2007년 1월 11일 : 2008년 6월까지 민원으로 인해 고양시 일산구 산황동, 덕양구 신원동과 대자동,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구간 설계 변경을 위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내곡동 ~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36.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45]
2007년 7월 11일 : 2008년까지 장수 나들목 감속차로 연장 공사를 위해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 구간 도로구역 변경[ 46]
2007년 10월 1일 : 사패산터널 을 포함한 의정부 나들목 ~ 송추 나들목 구간과 직결을 위해 호원 나들목 폐쇄[ 47]
2007년 12월 28일 : 의정부 나들목 ~ 송추 나들목 7.5km 구간 개통, 전 구간 완전 개통[ 48] [ 49]
2008년 1월 2일 : 일산 ~ 퇴계원 구간 민간투자시설사업 실시계획 변경[ 50]
2008년 6월 9일 : 2009년까지 남양주 나들목 가·감속차로 개량 공사를 위해 경기도 남양주시 도농동 6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51]
2008년 12월 24일 : 2009년까지 서하남휴게소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하남시 춘궁동 구간[ 52] , 2010년까지 구리휴게소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구간 도로구역 변경[ 53]
2009년 7월 15일 : 서울양양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강일 나들목 이 분기점으로 변경. 단, 명칭 혼동을 피하기 위해 명칭은 나들목으로 유지
2010년 5월 3일 : 제3경인고속화도로 개통과 함께 도리 분기점 개통[ 54]
2010년 12월 13일 : 부천고가교 하부에서 발생한 유조차 화재에 의한 중동 나들목 구간 상판의 소실로 인해 중동 나들목 임시 폐쇄.[ 55] 중동 나들목 , 장수 나들목 , 계양 나들목 부분 통제 시작
2010년 12월 23일 : 중동 나들목 재공사 착공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판교 분기점부터 판교 분기점까지 128.02km 구간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로 고시[ 56]
2011년 3월 15일 : 중동 나들목 재개통. 부분통제 해제[ 57] .
2012년 3월 30일 : 호원 나들목 재공사 착공[ 58]
2012년 5월 1일 : 호원 나들목 신설 공사를 위해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4.7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59]
2012년 9월 20일 : 2015년 12월까지 운중교 개량 공사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1.886km 구간을 1.845km로 도로구역 변경[ 60]
2012년 12월 27일 : 2014년까지 시흥 본선상공형 휴게소 신설 공사를 위해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1.2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61]
2014년 9월 29일 : 구리 요금소를 구리남양주 요금소 로 명칭 변경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과 종점을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으로 명시[ 62]
2015년 5월 28일 : 판교 기점 44.2km 위치에 호원 나들목 재개통[ 63] [ 64]
2015년 10월 14일 : 2016년 6월까지 목감공공주택지구 인근 방음벽 설치공사를 위해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1.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65]
2015년 11월 19일 : 2015년 12월까지 가천대역 EX-허브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태평동 6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 66]
2016년 8월 26일 : 목감공공주택지구 인근 방음벽 설치공사 사업기간을 2018년 12월로 연기[ 67]
2017년 5월 4일 : 2019년 8월까지 송파 나들목 개량 공사를 위해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 ~ 거여동 3.2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68]
2017년 11월 12일 : 시흥하늘휴게소 신설 개장[ 69] [ 70] [ 71]
2018년 3월 29일 : 민간투자구간(퇴계원 나들목 ~ 일산 나들목 )의 7개 요금소 통행료 인하[ 72] [ 73]
2019년 4월 29일 : 2021년 12월까지 송파 나들목 개량 공사를 위해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 ~ 거여동 3.2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 74]
2019년 5월 24일 : 2020년 12월까지 성남 나들목 진출로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 294m 구간 도로구역 변경[ 75]
2020년 9월 1일 : 노선명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변경[ 76]
2020년 10월 22일 : 도로명주소에 명칭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로 변경 고시[ 77]
2020년 11월 7일 : 고양 분기점 개통
2021년 2월 3일 : 송파 나들목 헌릉로 방면 진출입 램프 이설 개통[ 78]
2025년 1월 1일 : 서하남 분기점 개통
구성
차로수
총연장
제한속도
전 구간 최고 100km/h, 최저 50km/h
터널
터널 이름
소재지
길이
준공 년도
비고
광암터널(구리)
경기도 하남시 광암동
726m
2002년
광암터널(판교1)
743m
1991년
광암터널(판교2)
752m
불암산터널(일산)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1,685m
2006년
불암산터널(구리)
1,665m
수락산터널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
2,950m
2006년
호원터널(일산)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180m
2007년
호원터널(구리)
149m
사패산터널(일산)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
3,997m
2007년
사패산터널(구리)
3,993m
노고산1터널(일산)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상리
2,177m
2006년
노고산1터널(구리)
2,197m
노고산2터널(일산)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상리
975m
2006년
노고산2터널(구리)
995m
소래터널(판교)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
421m
1999년
소래터널(일산)
446m
수암터널(판교)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1,254m
1999년
수암터널(일산)
1,294m
수리터널(판교)
경기도 군포시 산본동
1,865m
1999년
수리터널(일산)
1,882m
안양터널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
390m
1996년
청계터널(판교)
경기도 의왕시 청계동
550m
1995년
청계터널(일산)
450m
교량
나들목 · 분기점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Tollgate), SA는 휴게소(Service Area)를 뜻한다.
거리의 단위는 km 이다.
주요 통과지
경기도
서울특별시
경기도
하남시 (감일동 - 광암동 - 춘궁동 - 덕풍동 - 초일동)
서울특별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계양구 (노오지동 - 선주지동 - 귤현동 - 동양동 - 박촌동 - 병방동 - 용종동 - 서운동) - 부평구 삼산동
경기도
인천광역시
경기도
통행료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에 설치된 요금소는 모두 개방식 요금소이기 때문에 각 구간마다 별도로 요금을 내야 한다. 아래 요금은 2018년 3월 29일부터 적용되는 요금이다.[ 72] [ 73]
민자 구간
요금소
1종
2종
3종
4종
5종
양주 요금소
1,800
1,800
1,900
2,600
3,000
불암산 요금소
1,400
1,400
1,500
2,000
2,400
고양 나들목
900
900
1,000
1,300
1,500
통일로 나들목
1,000
1,000
1,100
1,400
1,700
송추 나들목
1,100
1,100
1,200
1,600
1,800
별내 나들목
1,100
1,100
1,200
1,600
1,800
별내 ~ 퇴계원
900
900
1,000
1,300
1,500
민자 구간 (호원 나들목 )
구간
1종
2종
3종
4종
5종
호원 ~ 의정부
800
800
800
1,100
1,300
호원 ~ 불암산
1,400
1,400
1,500
2,000
2,400
호원 ~ 별내
1,100
1,100
1,200
1,600
1,800
호원 ~ 송추
1,100
1,100
1,200
1,600
1,800
호원 ~ 양주
1,800
1,800
1,900
2,600
3,000
경기도 순환버스 정류소
이 문단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경기순환버스 운행 - 경기도 도시들끼리의 연결성을 개선하고 혼잡지역인 서울을 지나지 않고도 경기도 지역 간을 연결할 수 있도록 '경기순환버스 ' 노선이 2010년 8월 23일 신설되며, 부천 (중동), 고양(일산), 의정부, 구리, 성남(분당), 안양(평촌), 군포(산본), 의왕, 수원 등 각 시내에서는 주요 4개 정류장만 정차, 약 20분 배차운행되며, 급행버스형태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를 이용한다. 경기순환버스 운행에 맞추어 한국도로공사 에서는 청계 요금소 , 시흥 요금소 , 성남 요금소 , 구리남양주 요금소 , 불암산 요금소 , 양주 요금소 , 김포 요금소 등에 버스정류장을 설치, 이를 통해 순환버스끼리의 환승이 가능하다. 인천 면허 차량은 정류장을 지나지만 정차 하진 않는다. (인천 9300번과 인천 9500번)
2015년 12월 29일에는 분당선 가천대역 옆에 환승 정류장이 신설되었으며, 이에 따라 2016년 11월 5일 성남 요금소 의 버스정류장이 폐지되었다.[ 79]
2017년 11월 12일 시흥시 조남동에 시흥하늘휴게소 가 개장하여 휴게소에 환승 정류장이 설치되었다.[ 80]
가천대역 - (1112번, 1650번, 3000번, 8109번, 8401번, 8409번, G2100번, 동서울-남서울대(R1310), 동서울-인천(R1801), 동서울-부천(R8142), 동서울-안산(R8147), 동서울-평택, 동서울-천안, 동서울-온양, 성남-춘천)
구리남양주 요금소 - (11번, 100번, 1001번, 1200번, 2000번, 7007번, 8012번, 8109번, 8401번, 8409번)
불암산 요금소 - (8109번, 8401번, 8409번)
양주 요금소 - (8109번, 8906번)
김포 요금소 - (8906번, 3300번)
시흥 요금소 - (3200번, 8106번, G8808번, 8906번)
시흥하늘휴게소 - (8106번, 판교-인천공항(A5000), 9100번, 9200번, 9201번)
청계 요금소 - (333번, 1009번, 1650번, 2007번, 3330번, 3500번, 7007-1번, 8106번, 8401번, 8409번)
사진
같이 보기
각주
↑ 대통령령 제11700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1988년 1월 14일 일부개정.
↑ 건설부고시 제40호 , 1988년 2월 6일.
↑ 대통령령 제13433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1991년 7월 25일.
↑ 건설부고시 제633호 , 1991년 10월 30일.
↑ 건설부공고 제134호 , 1991년 10월 31일.
↑ 건설부공고 제143호 , 1991년 11월 26일.
↑ 건설부고시 제92-4호 , 1992년 1월 13일.
↑ 대통령령 제13636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1992년 4월 29일 일부개정.
↑ 건설부고시 제1992-302호 , 1992년 6월 18일.
↑ 건설부공고 제1992-179호 , 1992년 12월 10일.
↑ 건설부공고 제1994-44호 , 1994년 2월 5일.
↑ 土坪(토평)인터체인지 시설 내달1일 개통 , 매일경제, 1994년 9월 26일 작성.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22호 , 1995년 1월 24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255호 , 1995년 7월 14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5-181호 , 1995년 7월 10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5-400호 , 1995년 12월 28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6-288호 , 1996년 10월 31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50호 , 1997년 2월 22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20호 , 1997년 7월 10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324호 , 1997년 10월 10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333호 , 1997년 10월 24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7-391호 , 1997년 11월 1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68호 , 1998년 3월 7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12호 , 1998년 4월 11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14호 , 1998년 4월 14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203호 , 1998년 6월 30일.
↑ 1998년 7월 2일 관보 에서 정정.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8-303호 , 1998년 7월 23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338호 , 1998년 10월 17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112호 , 1999년 4월 21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186호 , 1999년 6월 24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214호 , 1999년 7월 15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1999-350호 , 1999년 11월 15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2000-292호 , 2000년 11월 21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121호 , 2001년 4월 30일.
↑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 2001년 5월 24일 전부개정.
↑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255호 , 2001년 9월 10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1-316호 , 2001년 12월 6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2-41호 , 2002년 3월 19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3-172호 , 2003년 7월 8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3-252호 , 2003년 10월 29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25호 , 2005년 2월 1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31호 , 2005년 2월 1일.
↑ 건설교통부공고 제2006-231호 , 2006년 6월 28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7-5호 , 2007년 1월 11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7-275호 , 2007년 7월 11일.
↑ 서울외곽 호원IC폐쇄 보관됨 2018-04-01 - 웨이백 머신 , 한겨례, 2007년 9월 30일 작성.
↑ “서울 외곽순환 고속도로 28일 완전 개통” . 2007년 12월 22일. [깨진 링크 (과거 내용 찾기 )]
↑ 건설교통부공고 제2007-523호 , 2007년 12월 27일.
↑ 건설교통부고시 제2007-675호 , 2008년 1월 2일.
↑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215호 , 2008년 6월 9일.
↑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786호 , 2008년 12월 24일.
↑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787호 , 2008년 12월 24일.
↑ 경태영 (2010년 4월 26일). “제3경인고속도 14.3km 내달 3일 개통” . 경향신문 .
↑ 외곽순환도로 중동나들목, 재시공 불가피 2010년 12월 15일 머니투데이
↑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 2010년 12월 28일.
↑ 이두 (2011년 3월 14일). “외곽순환 중동나들목 구간 15일 통행재개” . 조선일보 .
↑ 의정부 호원 IC 개설공사 내일 착공 보관됨 2013-12-03 - 웨이백 머신 《경기일보 》2012년 3월 29일
↑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216호 , 2012년 5월 1일.
↑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603호 , 2012년 9월 20일.
↑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950호 , 2012년 12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 2015년 3월 27일.
↑ 서울외곽고속도로 의정부 호원나들목 5.28(목) 개통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015년 5월 25일.
↑ 국토교통부공고 제2015-656호 , 2015년 5월 28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735호 , 2015년 10월 13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801호 , 2015년 11월 19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567호 , 2016년 8월 26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277호 , 2017년 5월 4일.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시흥휴게소' 10월 첫선 보관됨 2017-11-11 - 웨이백 머신 , 인천일보, 2017년 4월 5일 작성.
↑ 고속도로 위 '시흥 하늘 휴게소 12일 개장… '미관·친환경' 한번에 보관됨 2017-11-11 - 웨이백 머신 , 머니S, 2017년 11월 11일 작성.
↑ 풀무원 이씨엠디 등 3사, 서울외곽고속도로 '시흥 하늘휴게소' 오픈 , 스포츠조선, 2017년 11월 12일 작성.
↑ 가 나 국토교통부공고 제2018-337호 , 2018년 3월 29일.
↑ 가 나 국토교통부공고 제2018-362호 , 2018년 3월 29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84호 , 2019년 4월 29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257호 , 2019년 5월 24일.
↑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429호 , 2020년 6월 4일.
↑ 행정안전부고시 제2020-50호 , 2020년 10월 22일.
↑ 국토교통부공고 제2021-142호 , 2021년 2월 2일.
↑ 고속도로 가천대역 환승정류장 29일부터 운영 보관됨 2016-03-03 - 웨이백 머신 , 한국도로공사, 2015년 12월 28일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1/10/0200000000AKR20171110127800003.HTML
외부 링크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철도
고속도로
일반 도로
주요 간선도로
버스
₁. 지나가기만 한다. ₂. 안산시와 연결되는 인접한 군포시와 화성시의 교통 시설을 나타낸다. ₃. 구조물이 수원시에 걸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