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우주 개발대한민국의 우주 개발은 인공위성과 우주 발사체, 위성 항법 시스템 등 대한민국의 우주 개발을 정리한 것이다. 현재 누리호 4차 발사를 앞두고 있다.[1] 개발사인공위성대한민국의 우주 개발은 1990년대에 들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2][3] 1992년 8월에 대한민국 소유의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가, 1993년 9월 26일에 우리별 2호가 프랑스령인 기아나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었다.[4] 우리별 1호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가 주축이 되어 지난 1989년부터 총 69억 4천여만원의 연구비를 들여 제작된 무게 50kg의 소형 위성이다. 고해상도의 지상관측 장비와 첨단 디지털신호처리(DSP) 기술이 적용되었으며, 방송 및 통신장비, 지상 관측장비, 과학실험 장비 등이 실렸다.[5] 특히, 아마추어 무선중계기가 실려 있어, 전 세계 아마추어 무선사들이 자유롭게 쓸 수 있었으며, 실제로 남극세종과학기지에 근무하던 연구원이 아마추어 무전기로 우리별 1호를 이용한 적이 있다.[6] 우리별 2호는 총 28억 원을 투입하여 독자 설계 및 제작된 것으로, 주요 목적은 한반도를 촬영하여 여러 실험들을 진행하는 것이었다.[4] 이후 대한민국은 실용적인 통신방송위성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껴 1995년 8월에 미국의 케이프커내버럴에서 무궁화 1호 통신위성을 델타Ⅱ로켓에 실어 쏘아올렸다. 설계 수명은 5년이었지만 2004년까지 교신이 이루어지는 등 12년 동안 작동하는 성능을 보여주었다.[7] 이어서 무궁화 2호는 1996년 1월에, 무궁화 3호는 1999년 9월에 발사되었다.[8][9] 95년 발사된 무궁화 1호는 발사 과정에서 문제가 생겨 당초 예상했던 수명인 10년을 못 채우고 1999년 임무를 마쳤다. 이 위성은 2005년 말 ‘궤도 이탈 명령’을 받고 우주 속으로 사라졌다.[10] 우리별 3호는 KAIST 인공위성센터가 1994년 4월부터 과학기술부 등으로부터 80억원을 지원받아 설계에서 부품 제작, 조립 등 전 과정을 개발하였으며, 1999년 5월에 발사되었다.[11] 자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태양전지판과 지상의 15m 크기 물체까지 촬영할 수 있는 고체촬영소자(CCD) 카메라가 탑재된 위성이었다.[12] ![]() 1999년 12월에 발사된 아리랑 1호는 한국항공우주연구소 등 국내 연구진과 미국 TRW이 총 제작비 1,650억 원을 들여 공동 개발한 다목적 위성이다. 국산화율은 약 80%였다. 발사의 주요 목적은 해양관측과 우주과학 실험이었다. 이 위성이 보낸 자료는 국내의 주요 연구소에서 이용하였다.[13] 특히, 항공우주정보소년단과 항공우주연구소는 이 위성에 국내 청소년 10만 명의 이름을 신청받아 반도체칩 3개에 기록하여 탑재하였다.[14]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는 국내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에 따라 1998년 10월부터 무게 106kg의 소형 위성인 과학기술위성 1호를 개발하였다. 이 위성은 2003년 9월 발사되었다. 개발에 총 116억 9천만원이 투입되었으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총괄 관리를, KAIST 인공위성센터가 위성 본체 개발을, KAIST와 한국천문연구원 등이 탑재체 개발을 담당하였다. 우주망원경인 원자외선우주분광기(FIMS, Far-ultraviolet IMaging Spectrograph)와 우주 물리 탑재체(Space Physics Package), 데이터 수집장비 등이 탑재되었다.[15] 2006년, 한국의 9번째 위성인 아리랑 2호와 무궁화 5호가 발사되었다.[16][17] 2010년 6월, 한국은 세계 최초의 정지궤도 해양관측 위성인 천리안 1호를 발사하였다. 고도 36,000km 이상에 떠서 해양관측 센서인 GOCI를 통하여 은퇴 시까지 10년간 매일 8회씩 1시간 간격으로 한반도 주변의 해양변화를 관측하였다.[18] 이후 천리안 위성은 2018년 12월 발사된 천리안 2A호와 2020년 발사된 천리안 2B호 등 계속 발사되고 있으며, 천리안 5호 발사를 앞두고 있다.[19][20][21] 로켓![]() 1958년 국방부 과학연구소에 로켓 연구 조직이 신설되었으나, 본격적으로 우주 로켓에 대한 계획은 1987년 한국천문연구원의 전신 천문우주과학연구소가 발사체 개발 관련 기초연구를 시작하면서 시작되었다.[22] 이후 1989년 10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설립되면서 한국형 발사체 기술 확보를 위한 행보가 본격화되었다.[23] 1990년대 초부터 한국은 과학로켓 연구를 통해 시스템 통합, 액체추진기관 설계 및 제작, 엔진시험, 유도제어, 자세제어 분야의 기술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였다.[23] 우리나라 우주 발사체의 시초는, 항우연 유장수 박사의 주도로 1990년 7월부터 개발되어 1993년 두 차례 발사한 1단 고체연료 추진 과학로켓 KSR-I이다. 유 박사는 후일 항우연을 나와 AP위성을 창업하였다. AP위성은 2022년 발사된 누리호에 들어간 성능 검증 위성을 제작한 기업이다.[24] 이후 1993년부터 1998년까지, 한반도 상공 150㎞ 위 이온층과 오존층을 측정하는 것을 목표로 52억 원이 투입되어 2단형 고체엔진을 가진 중형과학로켓 KSR-II가 개발되었다.[25] 1997년 7월 9일 1차 발사되었다. 하지만 실험 관측은 실패하였으며, 이듬해 6월 11일 2차 발사에서 실험 관측에 성공하였다.[23] 이어 연구진은 1997년부터 2003년까지 5년간 780억 원을 투입하여 추력 13t급 액체추진로켓인 KSR-III을 개발, 2002년 11월 28일 발사하였다.[23] 2002년 8월부터 2013년 4월까지 11년간 총 5,025억 원의 예산으로 국내 연구진은 100㎏급 소형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투입할 수 있는 대한민국 최초 우주발사체 나로호 개발에 주력하였다. 나로호 개발사업에는 대한항공, 한화, 한국화이바, 두원중공업 등 150여개 민간 기업이 참여하여 부품 설계·제작, 지상·발사시설 제작, 발사체 총 조립 등 현장 기술을 담당하였다.[26] 한국이 엔진을 포함한 설계, 제작, 시험, 발사 운용 등을 전부 순수 국내 기술로 진행한 로켓은 2021년 1차 발사된 누리호이다. 2010년 3월부터, 12년간 1조 9,572억 원을 투입하여 개발되었다.[27] 누리호 개발 사업의 목표는 1.5t급 실용위성을 지구 저궤도(600∼800km)에 투입할 발사체를 만드는 것이었다. 1~3기에 탑재되어 있는 엔진은 다음과 같다.[28]
![]() 7t급, 75t급 엔진은 고압, 극저온, 초고온의 극환 환경에서 작동하도록 개발되었다. 발사대는 전라남도 고흥군의 나로우주센터에 있으며, 현대중공업이 총괄하여 2016년부터 2021년까지 만들었다.[29] 누리호는 2025년 4차 발사를 앞두고 있다.[30] 한국형 과학관측 로켓 시리즈(KSR)![]()
한국형 우주 발사체 시리즈(KSLV)
달 탐사대한민국의 달탐사 계획(KLEP)은 달 궤도선과 착륙선을 개발하는 달 탐사 계획으로, 항우연 주관이다. 2022년 8월, 달 관측을 주목표로 다누리를 발사하였으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고해상도카메라, 한국천문연구원의 광시야편광카메라, 경희대학교의 자기장측정기,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감마선분광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우주인터넷 등이 탑재되었다.[31] 2023년 8월 5일 기준, 다누리의 총 비행거리는 3천801만km였고, 지구로 보낸 고해상도 달 사진은 2,576장이었다.[32] 현재 다누리는 달 착륙 후보지 탐색, 달 과학연구, 우주인터넷 기술 검증 등 과학기술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달착륙선인 한국형 달 탐사선은 KSLV-III 로켓으로 2032년 발사될 예정이다. 2027년까지 달 착륙선의 예비 설계가 이루어지면, 2029년까지 달 착륙선 상세 설계를 완료하고 이후 본격적인 제작과 시험에 들어갈 계획이다.[33] 정책현재, 국내 최대의 항공우주산업집적지 우주항공국가산업단지가 경상남도 사천시의 사천지구와 진주시의 진주지구 등 2개 지구로 2025년 6월 완공을 목표로 조성되고 있다. 연구·제조·사업화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를 한 데 모은 단지이다.[34] 대한민국의 인공위성운용 중인 인공위성 목록2023년 5월 현재 위성 11대를 운용 중이다
개발 예정 인공위성 목록수명이 지난 인공위성 목록
주요국과의 비교
기구 및 기업
같이 보기각주
참고 자료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