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호
사진
명칭
소재지
관리자 (단체)
지정일
참조
1호
대구 도동 측백나무 숲 (大邱 道洞 측백나무 숲) (Forest of Oriental Arborvitae in Do-dong, Daegu)
대구 동구
대구시 동구청장
1962년 12월 3일 지정
[1]
2호
합천백조도래지 (합천백조도래지)
경남 합천군 용주면 평산리
합천군
1962년 12월 3일 지정, 1973년 7월 19일 해제, 보존가치 상실
[2]
3호
맹산의만주흑송수림 (맹산의만주흑송수림)
기타 전국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미수복(북한지역소재)
[3]
4호
서울통의동의백송 (서울통의동의백송)
서울 종로구
서울특별시
1962년 12월 3일 지정, 1993년 3월 23일 해제, 태풍 피해로 가지 찢어져 고사함.
[4]
5호
서울내자동의백송 (서울내자동의백송)
서울 종로구
조강식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5년 10월 12일 해제, 보존가치를 상실함.
[5]
6호
서울원효로의백송 (서울元曉路의白松)
서울 용산구
서울시
1962년 12월 3일 지정, 2003년 7월 4일 해제, 천연기념물로의 가치를 상실함
[6]
7호
서울회현동의백송 (서울회현동의백송)
서울 중구
.
1962년 12월 3일 지정, 2003년 7월 4일 해제,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7]
8호
서울 재동 백송 (서울 齋洞 白松) (Lacebark Pine of Jae-dong, Seoul)
서울 종로구 제동 35
헌법재판소 (종로구청)
1962년 12월 3일 지정
[8]
9호
서울 조계사 백송 (서울 曹溪寺 백송) (Lacebark Pine of Jogyesa Temple, Seoul)
서울 종로구
종로구
1962년 12월 3일 지정
[9]
10호
연희동의수지적송 (연희동의수지적송)
서울 서대문구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10]
11호
광릉 크낙새 서식지 (光陵 크낙새 棲息地) (Habitat of White-bellied Woodpeckers near Gwangneung Royal Tomb)
경기 남양주시
경기 남양주시
1962년 12월 3일 지정
[11]
12호
진천진나학도래군서지 (진천진나학도래군서지)
충북 진천군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12]
13호
진천 노원리 왜가리 번식지 (鎭川 老院里 왜가리 繁殖地) (Breeding Ground of Grey Herons in Nowon-ri, Jincheon)
충북 진천군
충북 진천군
1962년 12월 3일 지정
[13]
14호
진천의미선나무자생지 (진천의미선나무자생지)
충북 진천군
진천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9년 9월 8일 해제
[14]
15호
창녕백조도래지 (창녕백조도래지)
경남 창녕군
문교부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5년 10월 25일 해제천연기념물 제524호 로 재지정
[15]
16호
밀양의백송 (밀양의백송)
경남 밀양시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73년 8월 14일 해제, 보존가치를 상실함.
[16]
17호
당진학도래지 (당진학도래지)
충남 당진시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73년 8월 14일 해제, 보존가치를 상실함.
[17]
18호
제주 삼도 파초일엽 자생지 (濟州 森島 파초일엽 自生地) (Natural Habitat of Spleenworts on Samdo Island, Jeju)
제주 서귀포시
제주특별자치도지사
1962년 12월 3일 지정
[18]
19호
제주 토끼섬 문주란 자생지 (濟州 토끼섬 문주란 自生地) (Natural Habitat of Poison Bulbs on Tokkiseom Island, Jeju)
제주 제주시
제주특별자치도지사
1962년 12월 3일 지정
[19]
20호
해주학도래지 (해주학도래지)
기타 전국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미수복지역 지정해제
[20]
21호
연안학(황새)도래지 (연안학(황새)도래지)
기타 전국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미수복지역 지정해제
[21]
22호
연안학도래지 (연안학도래지)
기타 전국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미수복지역 지정해제
[22]
23호
백천학도래지 (백천학도래지)
기타 전국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미수복지역 지정해제
[23]
24호
옹진학도래지 (옹진학도래지)
기타 전국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미수복지역 지정해제
[24]
25호
선천랍도고양이갈매기,쇠백로,흰수염바다오리번식지 (선천랍도고양이갈매기,쇠백로,흰수염바다오리번식지)
기타 전국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미수복지역 지정해제
[25]
26호
동관홍적기동물화석층 (동관홍적기동물화석층)
기타 전국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미수복지역 지정해제
[26]
27호
제주 무태장어 서식지 (濟州 무태장어 棲息地) (Habitat of Giant Mottled Eels near Jeju)
제주 서귀포시
제주특별자치도
1962년 12월 3일 지정
[27]
28호
완도 주도 상록수림 (莞島 珠島 常綠樹林) (Evergreen Forest on Judo Island, Wando)
전남 완도군
완도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28]
29호
남해 미조리 상록수림 (南海 彌助里 常綠樹林) (Evergreen Forest of Mijo-ri, Namhae)
경남 남해군
남해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29]
30호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 (楊平 龍門寺 은행나무) (Ginkgo Tree of Yongmunsa Temple, Yangpyeong)
경기 양평군
양평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30]
31호
대강면의은행나무 (대강면의은행나무)
경기 경기전역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미수복지역 지정해제
[31]
32호
화산의소나무갈졸참나무포합수 (화산의소나무갈졸참나무포합수)
경기 화성시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32]
33호
금성면의느티나무 (금성면의느티나무)
전남 담양군
담양군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33]
34호
옥룡면의팽나무 (옥룡면의팽나무)
전남 광양시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34]
35호
강진 사당리 푸조나무 (康津 沙堂里 푸조나무) (Muku Tree of Sadang-ri, Gangjin)
전남 강진군
강진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35]
36호
순천 평중리 이팝나무 (順天 平中里 이팝나무) (Retusa Fringe Tree of Pyeongjung-ri, Suncheon)
전남 순천시
순천시장
1962년 12월 3일 지정
[36]
37호
진례면의이팝나무 (진례면의이팝나무)
경남 김해시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37]
38호
구례 화엄사 올벚나무 (求禮 華嚴寺 올벚나무) (Higan Cherry of Hwaeomsa Temple, Gurye)
전남 구례군
구례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38]
39호
강진 삼인리 비자나무 (康津 三仁里 비자나무) (Japanese Torreya of Samin-ri, Gangjin)
전남 강진군
강진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39]
40호
완도 예송리 상록수림 (莞島 禮松里 常綠樹林) (Evergreen Forest of Yesong-ri, Wando)
전남 완도군
완도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40]
41호
중문면의녹나무 (중문면의녹나무)
제주 남제주군
남제주군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7년 11월 1일 해제 보존가치를 상실함.
[41]
42호
평양목단대의화석입목 (평양목단대의화석입목)
기타 전국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미수복(북한지역소재)
[42]
43호
평양남산리의화석림 (평양남산리의화석림)
기타 전국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미수복(북한지역소재)
[43]
44호
송광사의이팝나무 (송광사의이팝나무)
전남 순천시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71년 7월 26일 해제, 보존가치를 상실함.
[44]
45호
죽청리의동백나무 (죽청리의동백나무)
전남 완도군
완도군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5년 10월 12일 해제, 보존가치를 상실함.
[45]
46호
대문리의팽나무 (대문리의팽나무)
전남 완도군
완도군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5년 10월 12일 해제, 보존가치를 상실함.
[46]
47호
석문동의오동나무 (석문동의오동나무)
경북 울릉군
울릉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7년 11월 1일 해제, 보존가치를 상실함.
[47]
48호
울릉 통구미 향나무 자생지 (鬱陵 通九味 향나무 自生地) (Natural Habitat of Chinese Junipers in Tonggumi, Ulleung)
경북 울릉군
울릉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48]
49호
울릉 대풍감 향나무 자생지 (鬱陵 待風坎 향나무 自生地) (Natural Habitat of Chinese Junipers in Daepunggam, Ulleung)
경북 울릉군
울릉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49]
50호
울릉 태하동 솔송나무·섬잣나무·너도밤나무군락 (鬱陵 台霞洞 솔송나무·섬잣나무·너도밤나무群落) (Population of Siebold Hemlocks, Japanese White Pines, and Engler’s Beeches in Taehadong, Ulleung)
경북 울릉군
울릉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50]
51호
울릉 도동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군락 (鬱陵 道洞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群落) (Population of Cotoneaster and Insular Abelia in Dodong, Ulleung)
경북 울릉군
울릉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51]
52호
울릉 나리동 울릉국화와 섬백리향군락 (鬱陵 羅里洞 울릉국화와 섬백리향群落) (Population of Ulleung Gukhwa and Thymes in Naridong, Ulleung)
경북 울릉군
울릉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52]
53호
진도의 진도개 (珍島의 珍島犬) (Jindo Dog of Jindo Island)
전남 진도군
진도군
1962년 12월 3일 지정
[53]
54호
해남학도래지 (해남학도래지)
전남 해남군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보존가치를 상실함.
[54]
55호
해남학번식지 (해남학번식지)
기타 전국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미수복(북한지역소재)
[55]
56호
웅기앞바다난도의바다쇠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등서식지 (웅기앞바다난도의바다쇠오리,고양이갈매기,흰눈짜위바다오리,흰수염바다오리등서식지)
기타 전국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미수복(북한지역소재)
[56]
57호
진천보의담비(잘)서식지 (진천보의담비(잘)서식지)
기타 전국함남 갑산군 보천면 함남 갑산군 보천면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미수복(북한지역소재)
[57]
58호
어의궁의은행나무 (於義宮의은행나무)
서울 종로구 효자동 22-3번지
서울시
1962년 12월 3일 지정, 1972년 5월 24일 해제, 보존가치를 상실함.
[58]
59호
서울 문묘 은행나무 (서울 文廟 은행나무) (Ginkgo Tree of Munmyo Confucian Shrine, Seoul)
서울 종로구 명륜3가 53번지
국(문화재청장), 서울시
1962년 12월 3일 지정
[59]
60호
부채꼴 모양 고양 송포 백송
고양 송포 백송 (高陽 松浦 백송) (Lacebark Pine of Songpo, Goyang)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덕이동 1000-8
탐진최씨정민공파명오조후손종친회,고양시장
1962년 12월 7일 지정
[60]
61호
진천의측백수림 (진천의측백수림)
충북 진천군
진천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가치상실로 재지정 안함.
[61]
62호
단양 영천리 측백나무 숲 (丹陽 令泉里 측백나무 숲) (Forest of Oriental Arborvitae in Yeongcheon-ri, Danyang)
충북 단양군 매포읍 영천리 산38번지
단양군수 외 (단양군)
1962년 12월 3일 지정
[62]
63호
통영 비진도 팔손이나무 자생지 (統營 比珍島 팔손이나무 自生地) (Natural Habitat of Formosa Rice Trees on Bijindo Island, Tongyeong)
경남 통영시
통영시장
1962년 12월 3일 지정
[63]
64호
울주 구량리 은행나무 (蔚州 九良里 銀杏나무) (Ginkgo Tree of Guryang-ri, Ulju)
울산 울주군 두서면 구량리 860번지
울주군
1962년 12월 3일 지정
[64]
65호
울주 목도 상록수림 (蔚州 目島 常綠樹林) (Evergreen Forest on Mokdo Island, Ulju)
울산 울주군
울산 울주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65]
66호
옹진 대청도 동백나무 자생북한지 (甕津 大靑島 동백나무 自生北限地) (Northernmost Population of Common Camellias on Daecheongdo Island, Ongjin)
인천 옹진군
인천 옹진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66]
67호
용평면의가침박달군락 (용평면의가침박달군락)
기타 전국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미수복(북한지역소재)
[67]
68호
선남리의음나무 (선남리의음나무)
기타 전국
.
1962년 12월 3일 지정, 해제일자 미상(미수복지역)
[68]
69호
상주 운평리 구상화강암 (尙州 云坪里 球狀花崗岩) (Orbicular Granite in Unpyeong-ri, Sangju)
경북 상주시
경북 상주시장
1962년 12월 3일 지정
[69]
70호
금란굴 (금란굴)
강원 강원전역
.
1962년 12월 3일 지정, 해제일자 미상(미수복지역)
[70]
71호
백천의학및백로번식지 (백천의학및백로번식지)
기타 전국
.
1962년 12월 3일 지정, 해제일자 미상(미수복지역)
[71]
72호
안동도산면의오관번식지 (안동도산면의오관번식지)
경북 안동시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73년 8월 14일 해제
[72]
73호
정선 정암사 열목어 서식지 (旌善 淨岩寺 熱目魚 棲息地) (Habitat of Manchurian Trouts near Jeongamsa Temple, Jeongseon)
강원 정선군
강원 정선군
1962년 12월 3일 지정
[73]
74호
봉화 대현리 열목어 서식지 (奉化 大峴里 熱目魚 棲息地) (Habitat of Manchurian Trouts in Daehyeon-ri, Bonghwa)
경북 봉화군
경북 봉화군
1962년 12월 3일 지정
[74]
75호
춘천의장수하늘소발생지 (춘천의장수하늘소발생지)
강원 춘천시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73년 8월 14일 해제
[75]
76호
영월 하송리 은행나무 (寧越 下松里 은행나무) (Ginkgo Tree of Hasong-ri, Yeongwol)
강원 영월군
강원 영월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76]
77호
잠실리의뽕나무 (잠실리의뽕나무)
경기 시흥시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2년 12월 3일 해제, 서울 기념물 1호 로 재지정
[77]
78호
강화 갑곶리 탱자나무 (江華 甲串里 탱자나무) (Trifoliate Orange of Gapgot-ri, Ganghwa)
인천 강화군
인천 강화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78]
79호
강화 사기리 탱자나무 (江華 砂器里 탱자나무) (Trifoliate Orange of Sagi-ri, Ganghwa)
인천 강화군
인천 강화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79]
80호
장성면의 왕버들 (장성면의 왕버들)
전남 장성군
장성군
1962년 12월 3일 지정, 1986년 10월 15일 해제
[80]
81호
개성리의백송 (개성리의백송)
경기 경기전역
.
1962년 12월 3일 지정, 해제일자 미상(미수복지역)
[81]
82호
무안 청천리 팽나무와 개서어나무 숲 (務安 淸川里 팽나무와 개서어나무 숲) (Forest of Japanese Hackberries and Yeddo Hornbeams in Cheongcheon-ri, Muan)
전남 무안군
무안군
1962년 12월 3일 지정
[82]
83호
무안사마리의동백나무 (무안사마리의동백나무)
전남 무안군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7년 11월 1일 해제
[83]
84호
금산 요광리 은행나무 (錦山 要光里 銀杏나무) (Ginkgo Tree of Yogwang-ri, Geumsan)
충남 금산군 추부면 요광리 329-8번지
금산군
1962년 12월 7일 지정
[84]
85호
진안월평리의상수리나무,소나무포합수 (진안월평리의상수리나무,소나무포합수)
전북 진안군
.
1962년 12월 3일 지정, 해제일자 미상
[85]
86호
진안의줄사철나무자생북한지대 (진안의줄사철나무자생북한지대)
전북 진안군
.
1962년 12월 3일 지정, 해제일자 미상
[86]
87호
금구의송악자생북한지대 (금구의송악자생북한지대)
전북 김제시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75년 6월 12일 해제
[87]
88호
파일:순천 송광사 천자암 쌍향수(곱향나무).jpg
순천 송광사 천자암 쌍향수(곱향나무) (順天 松廣寺 天子庵 雙香樹(곱향나무)) (Pair of Chinese Junipers at Cheonjaam Hermitage of Songgwangsa Temple, Suncheon)
전남 순천시
순천시장
1962년 12월 3일 지정
[88]
89호
경주 오류리 등나무 (慶州 五柳里 등나무) (Wisteria of Oryu-ri, Gyeongju)
경북 경주시
경주시장
1962년 12월 3일 지정
[89]
90호
벌교의 은행나무 (筏橋의 은행나무)
전남 보성군
보성군
1962년 12월 3일 지정, 1993년 4월 16일 해제
[90]
91호
내장산 굴거리나무군락 (內藏山 굴거리나무群落) (Population of Macropodous Daphniphyllum in Naejangsan Mountain)
전북 정읍시
정읍시장
1962년 12월 3일 지정
[91]
92호
원성성남리의수림지 (원성성남리의수림지)
강원 원주시
원주시장
1962년 12월 3일 지정, 1973년 8월 14일 해제
[92]
93호
원성 성남리 성황림 (原城 城南里 城隍林) (Tutelary Forest of Seongnam-ri, Wonseong)
강원 원주시
원주시장
1962년 12월 3일 지정
[93]
94호
삼척의회화나무 (삼척의회화나무)
강원 삼척시
삼척시장
1962년 12월 3일 지정, 해제일자 미상
[94]
95호
삼척 도계리 긴잎느티나무 (三陟 道溪里 긴잎느티나무) (Long-leaf Zelkova of Dogye-ri, Samcheok)
강원 삼척시
삼척시장
1962년 12월 3일 지정
[95]
96호
울진 수산리 굴참나무 (蔚珍 守山里 굴참나무) (Cork Oak of Susan-ri, Uljin)
경북 울진군
울진군수
1962년 12월 3일 지정
[96]
97호
주문진교항리의밤나무 (주문진교항리의밤나무)
강원 강릉시
강릉시장
1962년 12월 3일 지정, 1991년 11월 27일 해제
[97]
98호
제주 김녕굴과 만장굴 (濟州 金寧窟과 萬丈窟) (Gimnyeonggul and Manjanggul Lava Tubes, Jeju)
제주 제주시 구좌읍 만장굴길 182
제주특별자치도지사
1962년 12월 3일 지정
[98]
99호
예산학번식지 (예산학번식지)
충남 예산군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65년 10월 12일 해제
[99]
100호
서산학도래지 (서산학도래지)
충남 서산시
.
1962년 12월 3일 지정, 1973년 8월 14일 해제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