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학에서 바이어슈트라스 M-판정법(영어: Weierstrass M-test)은 함수항 급수가 균등 수렴할 충분 조건을 제시하는 수렴 판정법이다. 멱급수를 다룰 때 유용하다.[1]
정의
가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라고 하자.
실숫값 또는 복소숫값 함수항 급수
집합
및 함수열
(
)이 주어졌다고 하자. 또한, 다음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실수의 열
이 존재한다고 하자.
- 임의의
및
에 대하여, 

바이어슈트라스 M-판정법에 따르면, 함수항 급수
는 균등 수렴한다.
임의의 양의 실수
에 대하여,
의 부분합이 코시 수열이므로, 다음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삼각 부등식에 따라, 임의의
및
에 대하여,

이다. 균등 수렴에 대한 코시 수렴 판정법에 따라,
은 균등 수렴한다.
바나흐 공간 값의 함수항 급수
보다 일반적으로, 집합
및
-바나흐 공간
및 함수열
(
)이 주어졌다고 하자. 또한, 다음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실수의 열
이 존재한다고 하자.
- 임의의
및
에 대하여, 

바이어슈트라스 M-판정법에 따르면, 함수항 급수
는 균등 수렴한다.
유계 함수
의 벡터 공간
위에 다음과 같은 상한 노름을 줄 수 있다.

이 경우
는 위 노름에 대하여 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증명: 완비 거리 공간#완비 공간 값의 유계 함수).
각
에 대하여
이며,
이므로,
이다. 즉,
은 (상한 노름에 대하여) 절대 수렴한다. 따라서
은 (상한 노름에 대하여) 수렴한다. 즉, 균등 수렴한다.
예
다음과 같은 함수열
(
)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이므로 각
은
에서 최댓값
을 가진다.
이므로,
은 균등 수렴한다.
역사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의 이름을 땄다.
같이 보기
각주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