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SkyobserverSkyobserver님, 한국어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위키백과는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입니다.
--~~~~ )를 입력하거나 편집 창에서 그림의 강조된 서명 버튼(![]() Welcome! If you are not good at Korean or do not speak it, click here. 부적절한 기여에 대해처음 뵙겠습니다~ 저는 위키백과 관리단으로 활동하고 있는 Dus|Adrenalin이라고 합니다. 과학 분야 문서들을 새로 만드셨지요? 이 문서들은 백과사전의 한 페이지가 되기에는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위키백과는 백과사전입니다. 백과사전은 수필이나 독자적인 연구 등을 쓸 수 없으며, 특히 위키백과는 인터넷 상의 문서를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Skyobserver님이 쓰신 것을 한 번 찬찬히 읽어보세요. 백과사전의 한 페이지로 보이시나요? 또 저작권을 침해하지는 않으셨나요? 만약 어떤 사용자가 문서에 {{삭제 신청}}이나 {{ㅅ}}을 붙이면 삭제를 신청했다는 뜻입니다. 혹시 문서들을 다듬어 백과사전에 맞게 만드시겠다면 틀을 떼시고 최대한 빨리 내용을 수정해주세요.--Dus|Adrenalin 2008년 5월 9일 (금) 18:01 (KST) 안내소 질문편집모드로 들어가셔야지요 -_- 일단 백:입문부터 정독하세요. 삭저 신청 틀은 일단 제가 떼어드리겠습니다. --Dus|Adrenalin 2008년 5월 9일 (금) 19:57 (KST) 그리고 이용 허락 문제는 어쩌실건지요? 비영리를 떼고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이 아니면 곤란합니다. 위키백과는 GFDL 아래 배포되기 때문에 영리적 목적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홈페이지의 라이센스를 수정해 주십시오. --Dus|Adrenalin 2008년 5월 9일 (금) 20:06 (KST) 최후통첩입니다.내일 이 시간까지 홈페이지 저작권 표시에서 '비영리'가 빠지지 않으면 저작권 위반으로 간주해 Skyobserver.net에서 퍼온 모든 문서는 저작권 위반으로 삭제 신청하겠습니다. --Dus|Adrenalin 2008년 5월 10일 (토) 11:27 (KST)
영어스러운 한국어는 한국어보다 더 낯설군요.위키백과의 많은 부분이 영어스러운 한국어로 가득하다는 느낌입니다. 영어를 한국어처럼 하는 걸 콩글리시라고 한다면 이건 뭐라고 할까요.. 흠.. 저는 이제서 위에 있는 탭의 +를 누르면 제 생각을 글로 남길 수 있다는 걸 알고 무척 좋아하고 있습니다. 맨 처음에 "부적절한 기여"라는 말을 접했을 때 꽤 놀랐습니다. 이것은 어떤 영어를 번역한 것일까... 내가 위키피디아 한국판을 위해 노력한 부분이 부적절했다는 의미일텐데, 그건 단지 내 노력이 위키피디아의 규칙에 맞지 않기 때문일 거라고 위로했습니다. 그리고 그게 사실일 거 같습니다. 저는 위키피디아 en.wikipedia를 몇년째 이용해왔습니다. 위키피디아의 한국판을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하는 고민도 많이 했습니다. 국내의 지식 인프라가 좁고 얕음을 늘 한탄하며 늘 yahoo.com에서 지식의 갈증을 해결하던 차에 en.위키피디아를 발견하고는 혀를 내둘렀습니다. 돈 한푼 받지 않으면서 그런 고급스러운 정보들이 그렇게 적나라하게.. 저도 나름대로 제 개인 홈페이지를 통해 우리말로 된 지식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열정을 다하고 있습니다. 위키피디아 한국판이 있다는 걸 알았을 땐 제가 그동안 en.위키피디아에서 얻은 도움을 되갚을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위키피디아의 규칙을 잘 알지 못하면서 기여하려고 뛰어들다보니 부작용이 있었습니다. 규칙을 좀 더 공부하고 시도하는 것이 올바른 선택이었나봅니다. 하지만, 위키피디아의 규칙은 너무 어렵고, 위키피디아의 지식 구조가 너무 방대해서 그런지는 몰라도, 제가 필요로 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규칙을 찾는 일은 너무 어려웠습니다. 저는 나름대로 컴퓨터와 인터넷을 잘 알고, 최신의 IT 기술을 많이 활용하며 살고 있습니다. 새로운 인터넷 서비스에 대해선 얼리 어댑터는 아니어도 충실히 잘 쫓아갑니다. 보통의 사람들은 저더러 빠르게 배운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제가 위키피디아를 위해 노력한지 1시간 만에 저는 여러 분들로부터 궁지에 몰리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되었습니다. 물론 그 원인은 저의 무지와 실수에 있었습니다. 너무 섣불리 시작했다는 후회도 함께 왔구요. 이제 먼저 위키피디아에 참여하신 분들의 도움과 질책을 통해 어제보다는 더 많은 걸 알게 됐습니다. 문제들도 더 해결한 것 같구요. 그런데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습니다. 공부에는 시간이 걸리는데 시간이 없는 것도 고민입니다. 하여튼 위키피디아의 규칙을 잘 이해해 나가면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싶습니다. 너무 재촉하지 않으신다면, 조만간 잘 될 것 같습니다. 도움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이 의견을 2008년 5월 11일 (일) 01:01 (KST)에 쓴 사용자는 Skyobserver(토론 / 기여)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조영우 (토론) 2008년 5월 14일 (수) 10:47 (KST) '비영리' 저작권에 대한 처리 결과푸른행성의 과학 [1]의 저작물을 위키피디아의 사용자 Skyobserver가 GFDL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이메일을 한국표준시로 5월 10일에 permissions@wikimedia.org로 발송하였습니다. 해당 내용은 푸른행성의 과학의 저작권 정보 페이지[2]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제 라이센스 관련 문제는 해결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문제점이 있으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조영우 (토론) 2008년 5월 14일 (수) 10:46 (KST)
그럼 영리 사용을 허용하신다고 받아들여도 되는 말이죠? 확인입니다. 그리고 여기는 한국어 위키백과입니다. 한국 위키피디아나 위키코리아 가 아닙니다. -- LERK (의논 / 일지 / 편지 / 共 / 日辭 / 辭 / 漢字위키) 2008년 5월 15일 (목) 10:35 (KST)
위키백과의 라이선스는 GFDL에서 CC-BY-SA 3.0으로 바뀌었습니다. 해당 사이트의 라이선스 안내도 변경해주세요. -- ChongDae (토론) 2009년 10월 10일 (토) 16:58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