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글을 정말 늦게 읽게 되었습니다. 계정명을 정말로 수정하실 생각이 없으신가요? 저는 이 나치 시대의 경악스러움에 대하여 님께서도 충분히 이해하셨으리라 믿습니다. 나치 친위대의 명칭을 현대에 계속 쓰고 있다는 사실을 홀로코스트 피해자분들이 알고 계신다면 어떻게 생각할까요? 부디 그분들을 생각하셔서 좋은 뜻으로 바꾸시던가 혹은 '이 계정명을 사용하는 것이' 나치시대의 잔인함을 후세에 알리기 위함임을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토트Ratio • Sapientia • Veritas2010년 11월 8일 (월) 03:17 (KST)답변
확정된 '정책 및 토론'은 지금까지 없습니다만.. 만약 그렇게 토론으로 확정된다면 현재 님이 하신 편집대로 전체적으로 교체하면 되겠지만, 현재 문서와의 관계를 봤을 때에는 부자연스럽네요.. --가람 (논의 · ↺) 2010년 8월 10일 (화) 23:47 (KST)답변
몇 년전에 이 얘기를 잠시 종대님하고 저하고 얘기한 적이 있습니다만, 그다지 깊은 토론도 없었고, 결론난 것도 없습니다. 사람 이름을 먼저 쓰고, 그 다음에 정의가 나오는 것은 다른 언어판들도 같은 순서입니다. "현재 문서와 관계"가 어떤 건지 모르겠으나, 뒤죽박죽 뒤섞여 있어서 혼돈스러운 건 사사실입니다. A는 B다, 라고 되건, A is B라고 하건, 어느 나라 말이나 정의를 내려야 할 대상/명제를 먼저 쓰고 설명을 뒤에 붙이는 것이 자연스럽다 여겨집니다.--WaffenSS (토론) 2010년 8월 10일 (화) 23:52 (KST)답변
안녕하세요, WaffenSS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20051105 044.jpg 파일을 올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나 올리신 그림 또는 미디어 파일의 설명란에 누가 이 내용물을 만들었는지 구체적으로 적어주지 않으셨거나, 저작권 라이선스에 대해 적어주지 않아 저작권을 확실하게 알 수 없습니다.
직접 만드신 파일이라면, 출처 란에 '자작'이라고 적어주시고 만든이 란에는 본인의 계정 이름과 날짜 란에는 만든 날짜를 적어주세요. 직접 만든 파일이 아니라면 해당 파일의 저작권을 소유한 사람을 적어주셔야 합니다.
웹사이트로부터 가져온 것이라면, 해당 웹사이트의 링크에 명시된 저작권 정보를 토대로 출처를 다시 언급할 경우 보통 저작권 정보가 충분하다고 인식됩니다. 그러나 저작권을 가진 사람이 웹사이트 관리자가 아니라면, 저작권을 좀 더 명확하게 적어주셔야 합니다.
저작권 라이선스 태그를 붙이지 않으셨다면 태그를 올바르게 추가해 주십시오. 사진, 소리, 비디오를 직접 만드신 것이라면 {{self|Cc-by-sa-3.0}} 라고 적어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BY-SA 3.0 라이선스 아래에서 사용할 수 있게 만들 수 있습니다. 다른 자유 라이선스에 대해서는 위키백과:파일의 저작권 표시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비자유 저작물의 인용을 허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독창성이 있는 기업체의 로고나 앨범 커버 등을 저작자의 허가 없이 올리실 수 없습니다. 자세한 것은 위키백과:비자유 저작물의 인용을 참조하십시오.
그림 또는 미디어 파일의 정보를 표시할 때는 {{파일 정보}}틀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정확하거나 생략된 정보들을 밝히지 않으신다면 해당 파일을 위키백과에서 사용할 수 없으며, 곧 삭제될 수 있습니다. 지금 즉시 해당 파일을 편집하여 미흡한 부분을 보완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4월 9일 (목) 00:02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