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판 삭제 신청을 해주셨는데 무슨 이유로 저작권 침해인지를 알 수 있도록 소스(출처)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로, 해당 부분은 영어 위키백과를 제가 직접 번역해도 거의 100% 저렇게 내용이 나올 것 같은데, 특정판 삭제 신청에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네요. --ted (토론) 2020년 8월 8일 (토) 17:37 (KST)답변
@Ykhwong: 당시에 제가 급한 마음에 MS DOS 설명에 있던 한국어 설명을 그대로 가져왔던 걸로 기억합니다. 이제 다시 확인해보니 저작권 침해인 것 같아 특정판 삭제 신청을 하였습니다. 바쁘신데 번거롭게 해드려 죄송합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8월 8일 (토) 21:15 (KST)답변
그렇다면 저작권 침해가 확실한 경우에만(즉, 라이선스 문제가 있다는 정확한 판단이 있을 때에만) 특정판 삭제 신청을 부탁드립니다. 예를 들면 작품 저작권자가 작품 일부나 전체의 재배포, 수정, 상업적 이용을 금지한 일 등이 있다면 문제가 될 수 있겠지요. 그러나 실제로 영어 위키백과를 포함해서 MS-DOS 명령어의 출력 문구가 여러 언어 위키백과에서 다수 인용된 이력을 볼 때 저작권 침해 소지가 있을 것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ted (토론) 2020년 8월 8일 (토) 21:23 (KST)답변
일단 저작권 침해 관련하여 아직까지는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아 제가 지금 바로 처리하기는 어려울 듯 합니다. 문제 소지가 되는 라이선스 부분 및 출전을 기입해 주시면 처리에 도움이 됩니다. 이 상태 그대로라면 단기적으로는 다른 관리자분께서 확인해 주셔야 할 것으로 보이며, 장기적으로 이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명확한 판단이 서지 않을 때 반려될 수 있습니다. --ted (토론) 2020년 8월 8일 (토) 21:30 (KST)답변
@Ykhwong: 정확하게 라이선스를 확인할수는 없습니다만 MS-DOS가 자유 라이선스로 배포된게 아니고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판 삭제 신청을 하였습니다. 영어판에서 거의 모든 명령어 문서에 사용 방법이 있는 것을 보긴 했습니다만 출처가 어디인지 나와있지 않은 것 같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도스 홈페이지의 사용 조건을 보면 상업적으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하지만 이는 위키백과의 라이선스와 일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그 내용은 삭제되야한다고 봅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8월 8일 (토) 21:35 (KST)답변
의견 유자차님께서 직접 자신이 작성한 내용에 대해 저작권을 검토하는 점에 대해 높이 평가합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번 검토는 잘못된 거라고 사료됩니다. 프로그램이 자유 라이선스가 아니라는 것은 프로그램 자체를 마음대로 이용하지 말라는 것이지, 명령어 텍스트를 마음대로 사용하지 말라는 뜻도 아니며 명령어를 작성한다고 마이크로소프트의 이익에 손실을 끼치는지 한 번 생각해 보신다면 당연히 아닐 것입니다. 오히려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전달이 저해되어 마이크로소프트 프로그램 이용에 지장을 입는 게 더 합리적일 수도 있습니다. 수십 자짜리 텍스트에 저작권을 따지는것도 이상하며 저작권이 있더라도 그 문서를 읽는 사람이 그 명령어를 위키백과에서 만들었다고 생각할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프로그램 명령어에 대해 설명한 것이 저작권 침해라고 삭제하는 사이트"라는 말이 나오면 그 사이트는 매우 비합리적이거나 비현실적인 곳으로 보이지 않을까요? --2001:2D8:300:C753:C831:BEBE:B52E:EDE2 (토론) 2020년 8월 8일 (토) 23:20 (KST)답변
@Hodyu: 안녕하세요 Hodyu 님! 반갑습니다! 사용자 유자차입니다! 먼저 한국어 위키백과의 입문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현재 Hodyu 님의 기여를 확인해 보았을 때 데스크톱인지 모바일 앱/브라우저 인지 구별을 할수가 없는 상태인 것 같습니다. 만약 데스크톱이라면 기본적인 편집 방법은 문서 위에 있는 편집 또는 원본 편집 버튼을 클릭하시여 편집하시면 됩니다. 처음이시다보니 원본 편집 보다는 시각편집기를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만약 편집 버튼을 눌렀을 때 원본 편집으로 나오신다면 '고급', '특수문자' 등과 같은 내용 옆의 펜 모양을 눌러 눈 모양으로 변경하여주시면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도움말:문서 편집하기, 위키백과:시각편집기을 참고해주시고 모바일에서 편집하시는 경우에는 아래에 알려주시기 바라며 위키백과에 대해서는 위키백과:길라잡이를 참고해주시면 됩니다. 정책과 지침을 잘 지키시어 올바른 위키백과를 만드는데에 힘써주시기 바랍니다! 모르는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주세요! 다시한번 위키백과의 입문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8월 24일 (월) 19:46 (KST)답변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 메세지드립니다
한국 위키백과에 없는 문서가 타국위키백과엔 있어서 그것을
토대로 번역할려고 하는데요 그 틀 그대로 편하게 가져오는 방법이 있을까요? --머화 (토론) 2020년 9월 1일 (화) 00:03 (KST)답변
@머화: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질문에 답변을 드리자면 먼저 타국어 위키백과에 있는 틀이 한국어 위키백과에도 존재를 하는지를 먼저 확인해야합니다. 대부분이 한국어판, 타국어판 둘다 있지만 상황이나 기타 사정에 따라서 한국어판에는 없는 틀도 몇개가 있습니다. 또 한국어 위키백과에만 존재하는 틀도 있고요. 만약 한국어 위키백과에도 동일한 틀이 있다면 사용방법은 거의 비슷할 겁니다. 그 틀의 설명문서를 읽어보시고 타국어판에 있는 틀 내용을 한국어판에 맞게 수정하여 가져오시면 되겠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9월 1일 (화) 00:20 (KST)답변
@MGA73: Hi! Welcome! In these days I'm busy. so I can't check now. But I'll try later. :) And I knew that now you became the Administrators of wikimedia commons! Congratulation! Have a good day! :D --유자차 (토론) 2020년 9월 9일 (수) 15:09 (KST)답변
Thank you! Yes I was an admin before and then inactive some time then active again :-) There is no hurry so just check when you have time again. A good day to you too! --MGA73 (토론) 2020년 9월 9일 (수) 16:15 (KST)답변
@갑부: 반갑습니다! 갑부 님! 먼저 위키백과의 입문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정책과 지침을 잘 읽어보시고 지켜주시면서 위키백과 생활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모르는게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질문주세요! 가능한 시간에 바로바로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D --유자차 (토론) 2020년 9월 13일 (일) 11:11 (KST)답변
@Wikiwater2020: 건축물이나 조각 등의 사진은 파노라마의 자유라고 하는 별도의 저작권 같은 개념이 붙습니다. 이 파노라마의 자유는 법률로 제정이 되는데 대한민국의 경우 애매하게 적혀있기도 하고 상업적 용도로 사용할수 없기 때문에 공용에 건축물이나 조각 등의 사진은 올리면 안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용자 분들은 공용에 올리고 계신데 이 법률이 애매하여 대법원의 판결들에서도 각각 해석의 차이가 있습니다. 일단은 공용에서도 올리지 마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법률상 애매하기 때문에 저는 이전에 올린 파일들은 그냥 놔두고 새로운 파일들만 로컬에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9월 16일 (수) 00:19 (KST)답변
“
저작권법 35조 2항에서 "개방된 장소에 항시 전시되어 있는 미술저작물"의 복제 이용을 허락하고 있으나, "판매의 목적으로 복제하는 경우"는 단서 조항으로 금하고 있어 상업적 용도의 사용은 제한되고 있다.
안녕하세요 멘토님 저번 질문 답변 감사했습니다 다른 질문이 있어 다시 메세지 드립니다
타국언어 번역시 각주에 있는 출처(기사제목)등도 번역하는게 맞는건가요? 또한 출처 본문이 아카이브에는 저장되어있으나 원본문서(링크)가 삭제된 경우에는 그대로 냅두는게 맞나요 아님 삭제하는게 맞나요? --머화 (토론) 2020년 9월 19일 (토) 00:56 (KST)답변
@머화: 먼저 출처는 영어판에서 가져오는 경우 대부분 번역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영어 외 다른 타국어 판에서 가져오는 경우 그 틀의 이름이 영어나 한국어가 아닌 타국어로 대부분 되어 있기 때문에 그 때는 꼭 번역해주셔야 합니다. 하지만 각주에서의 제목과 저자 등은 대부분 출처 url에서 그대로 가져온 경우가 많기 때문에 번역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리고 혹시 뒤의 질문은 각주로 저장해두었던 링크 내부에서 문제가 생겨 현재 로딩 할수 없는 상태의 링크들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잘 이해하지 못했네요 :) --유자차 (토론) 2020년 9월 19일 (토) 17:41 (KST)답변
+ 그리고 사용자 문서를 보니 일본어 위키백과에서 한국어 위키백과로 번역을 하신다고 적혀있습니다. 기여를 보면 번역을 하신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만약 다른 위키백과에서 한국어 위키백과로 번역을 하여 가져오는 경우 편집 요약에 출처를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번역된 문서}}를 문서의 토론문서에 추가해 출처를 표시할수도 있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9월 19일 (토) 17:48 (KST)답변
@Sangjinhwa: {{아시아의 역사 틀}}은 {{아시아 주제}}를 사용했기 때문에 {{아시아의 역사 틀}}에는 아시아의 국가 전체 담고 있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 틀은 따로 생성이 되겠지 라고 단순히 대한민국에만 한정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현재 상진화 님의 말씀을 들어보니 다시 한국의 역사로 이동하거나 이동 요청을 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를 넘겨주기 처리하는것이 맞는 것 같습니다. 저에게 따로 의견을 물어봐주셔서 감사말씀드립니다. 앞으로는 좀 더 꼼꼼히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9월 20일 (일) 22:05 (KST)답변
편집하자마자 말씀을 드린다고 하다가 잊어버렸었네요;; 틀:아시아 주제에서 prefix와 suffix 위치를 바꾸셨던데, 그것 때문에 기존에 아시아 주제 틀을 쓰던 문서 구조가 전부 아작나서 일단 원래대로 돌렸다가 나름 아이디어가 생각나서 둘이 기본으로 적용되는 순서를 바꿔서 해결해뒀습니다. 제가 하긴 했지만 심히 땜질 느낌이 나니, 혹시 고칠 점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Aspere (토론) 2020년 11월 2일 (월) 04:20 (KST)답변
@Aspere: 감사드립니다. 사실 오류는 알고 있었지만 일단은 혼자 각각의 문서로 가서 prefix와 suffix의 순서를 바꾸어 놓으려고 했는데 너무 벅차서 봇 편집 요청을 하려고 하다가 한번도 해보지 못해 괜히 문제만 일으킬까 보류해두었습니다. 현재는 개인적으로 바빠서 처리하지 못할 것 같고 나중에 여유가 생기면 Aspere 님의 편집을 되돌리고 봇 편집 요청을 하는 등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유자차 (토론) 2020년 11월 2일 (월) 14:33 (KST)답변
먼저 파일은 2가지의 종류가 있습니다. 비자유 저작물과 자유 저작물이 있습니다. 비자유 저작물은 로고, 음반표지, 포스터 등 배포에 제한이 있는 문서를 비자유 저작물 이라고 하며,
자유 저작물은 위키미디어 공용이라는 자유 저작물을 올려 놓는 곳에서 어느 위키백과든 파일을 가지고 올수 있습니다. 비자유 저작물은 업로더, 관리자가 아니시라면 위키백과:파일 업로드 요청에서 요청하여 사용하셔야 하며 이 경우에는 업로드된 위키백과(한국어 위키백과)에서만 사용할수 있습니다.
파일을 넣는 방법은 본문에 넣는 경우와 정보상자에 넣는 경우가 있는데, 본문에 넣는 방법은 '[[파일:파일이름|섬네일|설명]]'이라고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파일이름에는 업로드 되어있는 파일의 이름을 입력하여 주시고, '섬네일'이라는 부분은 크기를 알맞게 조절하는 문단으로 따로 원하시는 크기가 없을시 삭제하시면 안됩니다. 그리고 설명에는 그림의 내용에 대해서 설명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정보상자에는 대부분 '그림' 및 '그림설명'의 변수가 있습니다. 그림에는 다른 내용 없이 파일의 이름만 입력하여 주시고, '그림설명' 문단은 본문에서 사용하는 '설명' 문단과 같은 뜻으로 그림에 대한 설명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그림의 이름은 원하는 그림을 눌러보면 모바일은 아래쪽에 'ⓘ'라는 아이콘이 있습니다. 아이콘을 눌러 들어가 보시면 그 그림 위에 'File:' 또는 '파일:' 옆에있는 문장을 복사해서 아까 위의 방법과 같이 붙여넣으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File:송포초등학교 전경.jpg'이라는 파일을 송포초등학교의 본문에 사용하고 싶으시면 '[[파일:송포초등학교 전경.jpg|섬네일|송포초등학교 전경(그외 설명)]]'이라고 본문에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주의:약 일주일간 탈퇴합니다. 그동안 저에게 말 하지 마세요.글고 저는 사용자인 오소리와 라쿤 독이랑 상관없음을 알려드립니다. — 이 의견은 오솔이 (토론)님이 2020년 11월 23일 (월) 17:37 (KST)에 작성하였으나, 서명을 하지 않았습니다. 의견을 남길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를 입력해 주세요. 저장할 때 자동으로 서명이 됩니다.답변
@한혜리: 그 파일은 비자유 저작물 입니다. 비자유 저작물은 말 그대로 음반 표지, 캐릭터, 포스터 등과 같이 배포가 자유롭지 못한 저작물을 말합니다. 이러한 파일은 예외를 가지고 공정 이용으로 사용하는데 매우 예외적으로 사용하여야 하여 제한적으로 위키백과의 문서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 문서에서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제거 했습니다. 위키백과:비자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과 공정 이용을 참고하여주세요! --유자차 (토론) 2020년 11월 24일 (화) 23:06 (KST)답변
@문진제: 최근 개인 사정으로 인하여 빠르게 답변을 드리지 못한 점 죄송합니다. 확인을 해 보았을 때 다른 사용자분들은 정상적으로 요청이 되는 것으로 보아 양식은 문제가 없는 것 같습니다. 혹시 수정하면 안 되는 부분을 수정하셨는지요? '현재 계정 이름'부분에서 '{{subst:REVISIONUSER}}'를 놔두시고 해보세요. 아마 그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 같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0년 12월 6일 (일) 00:41 (KST)답변
@문진제: 아닙니다! 그러려고 멘토가 있는 건데요 ㅎㅎ 글자 색은 도움말:색상 사용하기를 참고해보시구, 그림 넣는 방법은 여기를 클릭하셔서 다른 사용자가 했던 같은 질문의 답변을 보실 수 있고, 도움말:그림 사용하기에서도 도움을 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또 위키프로젝트는 원하시는 위키프로젝트 문서로 가시면 문서 아래 쪽에 '참여하기' '참여자' 등과 같은 서명하는 곳이 있습니다. 거기에 서명하시면 그 프로젝트에 참여 의사를 밝히는 것과 같습니다. 그리고 그 프로젝트의 유저박스를 가져다 자신의 사용자 문서에 붙이시면 됩니다!(유저박스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혹시 이해가 안되시거나 다른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시면 아래에 글을 남겨주세요! :) --유자차 (토론) 2021년 1월 1일 (금) 19:10 (KST)답변
@Trainholic: 이렇게 부족한 저를 위키인 후보로 추천해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Trainholic 님의 도움 덕분에 제가 위키백과에서 성장하고, 활동할 수 있었습니다 :) 뭐라 감사 인사를 드려야 할지요 ㅎㅎ 지금은 개인 사정으로 인하여 잠시 활동이 뜸하지만 몇 주 뒤부터는 다시 정상적으로 활동할 예정입니다. 다시 한번 부족한 저를 좋게 봐주셔서 감사드립니다! :D --유자차 (토론) 2020년 12월 6일 (일) 00:48 (KST)답변
@이름바꾸기: 반스타는 자신을 제외한 위키백과에서 열심히 활동하거나 꾸준히 기여한 다른 사용자에게 주는 감사의 표시입니다.(백:반스타) 누구든지 증정할 수 있고, 데스크톱이나 인터넷 맨 위 편집버튼 옆 하트 버튼을 누르시면 증정할 수 있습니다! 위키백과:반스타에서 복사할수도 있구요!
@별냥이: 안녕하세요 별냥이 님! 사용자 유자차 입니다. 먼저 한국어 위키백과의 입문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편집하시다가 모르겠거나 안되는 부분이 있으면 글 남겨주세요! 가능한 빠르게 답변 드리겠습니다! :) --유자차 (토론) 2021년 1월 1일 (금) 19:14 (KST)답변
안녕하세요! 동음이의어 페이지 편집 관련해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동음이의어 페이지에서 신규 페이지와 연결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신규 페이지에서 추가 코드나 태그를 입력해야하는지, 별도의 편집 과정이 필요한 것인지 궁긍합니다.
동음이의어 특수 페이지 내용을 아무리 읽어봐도 이해가 되지 않아서요 ㅠㅠ 특수 페이지와 연결하는 페이지의 태그? 를 추가해야하는것으로 이해되는데... 맞을까요?
@이름바꾸기: "#넘겨주기 [[넘겨줄 문서 제목]]"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넘겨주고 싶은 문서에 "#넘겨주기 [[넘겨줄 문서 제목]]"를 입력하시면 그 문서로 넘겨주기가 됩니다.(질문을 많이 하는 것은 아무 문제 없습니다! 너무 단순한 질문이나 지침/정책 등에서 찾을 수 있는 질문만 피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유자차 (토론) 2021년 1월 18일 (월) 18:31 (KST)답변
요청한 파일을 제가 말씀 드렸던 대로 업로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이걸 어디에 말해야 하나 긴가민가하다가 요청했는데, 그래도 잘 처리해 주신 덕분에 원하는 파일을 얻게 되어 기분이 좋습니다. 해당 파일은 백:부제에서 사용 중이며, 혹시 유자차 님의 멘티들께서 위키데이터 설명에 관해 문의하는 경우 백:부제를 소개해 주시면 됩니다. 다만, 저는 모바일에서 ‘한국어 조선어’가 보일 줄 알았는데, 올라온 파일을 보니 ‘한국어 조선어’만 보이더군요. 특정 게임을 아는 사람들은 웃음이 나올 것 같습니다 :D
생성하신 ASTRO Digital Single (We Still (Be With U)) 문서는 간단하게 We Still (Be With U)로 이동하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음원 사이트에는 음반 이름에 몇 번째 정규 음반, 몇 번째 EP, 어느 가수의 디지털 싱글 등을 표시해서 올라오는 경우가 종종 있기는 하지만(예시),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보통 그 부분들을 잘라내고 정말 음반 이름만 표제어로 삼습니다.(예시) 군더더기 없이 간단하기도 하고, 그 부분들은 음반 이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 같습니다.
@오모군: 자유 저작물은 제 토론 문서에 개인적으로 요청해도 될 듯합니다. 크게 문제 될 사항이 없을 것 같네요 ㅎㅎ 말씀하신 대로 해당 음반 문서를 제작할 때에는 고민이 되었습니다. 제목이 너무 길고, 제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대괄호가 포함되어 있어서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하다 그냥 다른 EP들처럼 음반 제목을 넣었습니다. 하지만 오모군 님께서 말씀하신 데로 문서 제목을 바꾸는 것이 더 나을 듯싶습니다. 최근 케이팝 문서들이 너무 적은 듯싶어 부족한 실력으로 아스트로의 음반 문서들을 정리, 제작하고 있는데 쉽지가 않네요.. 너무 복붙한 느낌으로 문서를 제작하고 있는 듯싶습니다... 차트, 곡 목록 그 외에 넣을 말이 도저히 생각나지가 않네요 ㅎㅎ 혹여나 제가 만든 문서들 중에 문제가 있거나 수정이 필요하다면 오늘처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유자차 (토론) 2021년 1월 24일 (일) 02:47 (KST)답변
@바게트: 제 예상으로는 서버에 과부하가 될 수 있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서명에 사진 넣는 것을 금지하는 것처럼요) 너무 긴 문자를 사용하게 되면 서명을 할 때마다 길게 작성이 되고, 다른 사용자들이 보기에도 좋아 보이지 않으니까요. --유자차 (토론) 2021년 1월 28일 (목) 22:39 (KST)답변
멘토님, 다른 분들의 사용자토론을 봤는데 토론을 마칠때 서명를 쓰잖아요. 근데 그서명이 색도 있고 특별하게 만드신 분이계시드라고요. 그래서 저도 만들어봤는데,(—HallyHolly🦄🦄 )이런식으로 만들었거든요.
근데 토론을 처음작성할때는 서명을 이렇게 만들수가 없드라고요.
그래서저는 토론을 작성한다음, 그다음 편집을 해서
서명을 위처럼 만드는데, 이런식으로 번거롭게 하지 않고 토론을 처음 썼을때 구지 한번더 편집하지 않고
서명이 처음부터 위의 서명처럼 만들어져있게
할수있는방법이 있나요? HallyHolly (토론) 2021년 2월 1일 (월) 15:18 (KST)답변
@HallyHolly: 혹시 환경설정에 들어가 보셨나용? 환경설정에 들어가 보시면 아래쪽에 '서명'부분이 있습니다. 그 부분에 본인의 사용자 명인 'HallyHolly'가 적혀있을 겁니다. 그럼 그 부분을 지우고 새로 만드신 서명을 거기에 추가하신 뒤 아래에 있는 "서명을 위키텍스트로 취급 (자동으로 링크를 걸지 않음)"을 체크해주시고 저장을 누르시면 원하시는 서명이 "~~~~"만 작성해도 출력됩니다! :) --유자차 (토론) 2021년 2월 2일 (화) 02:46 (KST)답변
@Answerer 5do: 안녕하세요! Answerer 5do 님! 유자차 입니다! 먼저 한국어 위키백과 업로더 입문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해당 파일은 저해상도로 변경하여 다시 업로드 했습니다. 해상도 실수는 빈번히 발생하는 일이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ㅎㅎ 앞으로도 동일한 경우에는 당황하지 마시고 새로운 판의 파일을 업로드 하신 뒤 특정판 삭제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사실 저도 업로더 초기 때 실수 한번 했다 엄청 당황해서 다른 업로더 분들과 관리자분들께 물어보던 기억이 나네요 ㅎㅎ 앞으로 질문이 있으시거나 모르는 부분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질문 주세요! :) --유자차 (토론) 2021년 2월 4일 (목) 02:04 (KST)답변
+) 사실 저도 해상도 맞추는 게 말씀하신 것처럼 쉬우면 좋겠지만 정해진 대로 직접 맞춰야 돼서요 ㅜㅜ 파일 업로드 할 때 파일을 선택하면 옆에 미리보기가 떠요! 그 아래 해상도가 나와있으니 참고하세요! --유자차 (토론) 2021년 2월 4일 (목) 02:09 (KST)답변
@상지대: 아 그러시군요, 그렇다면 본인이 찍은 파일을 위키미디어 공용에 업로드 하시면 됩니다. 위키미디어 공용에서도 여기 한국 위키백과와 같은 아이디로 로그인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를 클릭해서 업로드 하세요. (꼭 본인이 찍은 사진이나 자유 라이선스로 배포된 저작물이여야만 합니다.) --유자차 (토론) 2021년 2월 5일 (금) 19:40 (KST)답변
위키미디어 재단은 보편적 행동 강령을 어떻게 시행하고, 행동 강령을 위반하는 사용자에 대해서 어떻게 대처할지에 대해서 한국어 위키백과 공동체와 함께 논의하고 있으며, 귀하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잠시 시간을 내주셔서 보편적 행동 강령에 대한 시행 방안에 대해서 의견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설문 조사에 참여해 주셔도 좋고, 토론에 참여해 주셔서 준비되어있는 공통 질문이나 새로운 주제에 대서 의견을 남겨주시면 더더욱 좋습니다 혹은 공개적으로 의견을 표시하시기 어려우시다면, 이메일을 통해 의견을 제시해 주셔도 됩니다.
인터넷 기능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위키백과는 백과 사전입니다. 물론 백과 사전 문서에 공식 홈페이지가 기재가 되어있는 경우도 있어 해당 공식 홈페이지 링크를 누르면 공식 홈페이지로 이동하지만 위키백과는 기본적으로 크롬, 인터넷 익스플로어 등과 같은 브라우저가 아닙니다. --유자차 (토론) 2021년 2월 13일 (토) 18:51 (KST)답변
@종로5가: 끼어들어서 죄송하다만, 젬이면 링크를 눌러도 가지지 않습니다. (만약 위키백과로 향하는 링크일 경우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로 들여쓰기를 하실 수 있습니다. 들여쓰기 부탁드려요 ㅡRuba (토론) 2021년 3월 9일 (화) 10:12 (KST)답변
@Answerer 5do: 아뇨! 개인의 사정에 따라 처리하는 거죠 ㅎㅎ 해야할 일을 했을 뿐입니다! :) 저도 다음주 부터는 슬슬 바빠질 예정이여서 처리가 밀릴 듯 하네요.. 더더구나 다른 업로더 분들도 바쁘신지 접속이 뜸하시네요 ㅜㅜ 어쨌든 항상 감사합니다 :D --유자차 (토론) 2021년 4월 9일 (금) 02:08 (KST)답변
@뽀찌티노: 음.. 제가 알기로는 아마 문서 등재는 충족 여부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 시스템 문제 일 듯 싶습니다. 그리고 "사용자:뽀찌티노/"라는 문서명은 사용자 문서의 하위 문서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정식 문서가 아닌 사용자 개인의 문서로 취급이 됩니다.
@죠니: 문서 되돌리기는 문서 역사로 들어가시면 그 문서의 편집 기록들을 나올겁니다. 그 중에서 되돌리고 싶은 기여를 선택하신 후, '편지 취소'를 누르시면 편집이 취소가 됩니다. 모바일 웹에서는 잘 안되네요 ㅜㅜ 데스크톱 버전에서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유자차 (토론) 2021년 4월 30일 (금) 18:26 (KST)답변
@Answerer 5do: 아 ㅎㅎ 아마 서버가 느려서 그런 것 같습니다. 특히 파일이 더 그런데, 저도 이전에 새 버전의 파일을 업로드 했는데 계속 이전 버전의 파일이 나와서 다시 업로드 했고, 나중에 보니 이전파일과 새로 업로드한 파일이 모두 새 파일이 되어있었습니다... 가끔 파일들은 이렇게 새 버전의 파일이 반영되기까지 시간이 오래걸리던 모양이더라고요.... 파일은 정상적으로 업로드 되었으니 조금만 기달리시면 될 것 같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1년 5월 15일 (토) 18:10 (KST)답변
최근 제가 사랑방에 올린 글을 읽어보셨는지는 모르겠으나, 최근 저는 개혁의 의지가 담긴 글을 올리면서 위키백과의 미래에 대해 조금은 진지하게 생각해 보았습니다. 그러나 혼자의 힘으로는 해내기 어렵다는 말에 백분 공감하며 위키백과를 개선해 나가기 위해서는 백방으로 노력해야 할 것 같아 귀하의 의견을 구합니다. 저희는 보다 많은 사람들의 참여와 의견 수렴을 통해 위키백과 사용자들이 추구하는 위키백과의 모습은 어떤 것인지 조금 더 구체화하는 계기를 마련하길 바랍니다.
저희가 다른 분이 아닌 여러분을 선정한 이유는 기여 횟수 등과 같은 외부적 요인에 관계 없이 사랑방에 인상 깊은 글을 남겨주신 분이나, 각각의 분야에서 훌륭한 편집을 했다고 생각되는 분, 그리고 신념을 가지고 위키백과를 개선하기 위해 다방면에서 노력하고 계신 분들을 모아, 그 중에서 각각 학생 사용자, 일반 사용자, 관리자 사용자분들로 분류하여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한 분들께 우선적으로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모아 총의를 형성하는 과정에 있어 원활한 소통을 위해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개설할 예정입니다. 빠른 진행을 위하여 참여가 가능하다고 의사를 밝혀주신 분들에 한해 특수:이메일보내기 기능을 통해 개설될 대화방 링크를 보내드릴 예정입니다. 제가 작성한 글의 연장선으로 위키백과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함께 고민해봅시다. 정체된 위키백과가 진일보할 수 있도록 귀하의 의견을 나눠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귀하의 소중한 의견이 위키백과 공동체에 큰 힘이 됩니다. 저희와 함께해 주시기를 희망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자차님! 잘 지내고 계신가요? 다름이 아니라 제 멘토였던 Gomdoli님이 활동을 그만두신 것 같아서, 혹시 제 멘토가 되어주실 수 있나요? 항상 위키백과 사용자들에게 모범이 되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한 주 되세요:) ――사도바울 《💬|✍|X》2021년 6월 6일 (일) 22:55 (KST)답변
Thank you. You have done a lot of work too. Perhaps you could have a look on 미디어위키토론:Licenses#Remove_GFDL. I think we should remove all suggestions to use GFDL. GFDL is not a good license so it should not be something we suggest. I do not know if it is mentioned in any templates, help pages etc. --MGA73 (토론) 2021년 6월 10일 (목) 00:06 (KST)답변
안녕하세요! 저... 다름아니라 유자차님께 멘토 부탁 드리려고 글을 쓰는데요! 제 멘토가 활동도 뜸하고 지금은 6개월 차단상태여서.. 멘토분들을 살펴보던중에 유자차님이 가장 모범을 보여주시고 가장 소개글이 믿을 만 해서 부탁드리려 글을 썼습니다. 제 멘토가 되어주실 수 있을까요? milktalk2021년 6월 26일 (토) 08:24 (KST)답변
유자차님.제가 지2021년 7월 21일 (수) 22:17 (KST)2021년 7월 21일 (수) 22:17 (KST)~인짜 초보업로더인지라 실수를 한것같은데염...ㅠㅠ 이걸 어쩌면좋을까용ㅠㅠ 밀크초코-온라인FPS라고 위키백과에 검색하면 밀크초코로고 사진이 나와야하는데 제가 실수로 편집하다가 사진을 의도치않게 없애버려서
지금 문제가 생긴것같은데 사진을 업로드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ㅠㅠ😭
지오영 문서 계속 수정하는 개빡치네라는 사람이 자꾸 저를 저작권 위반이라고 하는데, 나무위키 지오영 문서도 제가 작성했고 위키백과 지오영 문서도 제가 작성했습니다. 둘다 제가 썼다는거 확실하게 증명할 방법이 있나요? IP나 수정시간 이런거 포함해서요. --지적인공대생 (토론) 2021년 7월 21일 (수) 09:33 (KST)답변
유자차님.제가 초보이여서 실수를 저지른 것 같은...데요
밀크초코-온라인FPS 를 위키백과에 검색하면 밀크초코로고 사진이 나와야하는데 제가 편집하다가 사진을 실종시켰어요ㅠㅠ사진올리는 방법좀 알려주세요ㅠㅠ --밤속에 초초 (토론) 2021년 7월 21일 (수) 22:23 (KST)답변
안녕하세요~^^ 저는 핑크빛입니다. 제가 문서를 만드려고 하는데 잘 모르겠어요ㅠㅠ 저작권 땜에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르겠고 링크도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어요. 설명을 읽어봐도 잘 모르겠고 저작권으로 링크랑 뭐 하나도 모르겠어요ㅠㅠ 도와주세요ㅠ.ㅠ --핑크빛 (토론) 2021년 8월 9일 (월) 07:43 (KST)답변
@핑크빛: 음 무엇부터 설명드려야할까요? ㅎㅎ 일단 위키백과의 저작권은 'CC-BY-SA 3.0'입니다. 하지만 사실상 라이선스에 대해 설명드리거나 저작권에 대해 하나하나 설명드려도 애매한 부분이기 때문에, 단순히 나무위키나 네이버 등 인터넷에서 내용을 그대로 복사해오지만 않으면 대부분 가능합니다. 하지만 출처를 표시한 경우에는 가능합니다. 뉴스, 공식 웹사이트 등에서 내용을 인용할 수도 있습니다. 그 때에는 각주로 가져온 사이트의 링크를 표시를 해주셔야 합니다. 나무위키는 위키백과와 저작권 개념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절대로 복사하시거나 참고하시면 안됩니다. 내용이 많아 여기까지 설명드렸는데 더 궁금한 부분이 있으시면 아래에 남겨주세요! :) --유자차 (토론) 2021년 8월 10일 (화) 22:18 (KST)답변
@핑크빛: 음... 무슨 말씀이신지 잘 모르겠습니다 ㅎㅎ 일단 글을 한번 작성해보세요. 위키백과에는 매우 많은 사용자 분들이 계시기 때문에 새로운 사용자가 생성한 문서 같은 경우에는 대부분 확인이 되고 있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1년 8월 13일 (금) 19:29 (KST)답변
안녕하세요 유자차님! 잘 지내고 계신가요? 다름이 아니라 궁금한게 생겨서 여기 질문 남깁니다. 족장설화에서 타임라인 도표를 번역하려고 하는데, 한글로 적으니까 폰트가 깨지더라구요.. 혹시 왜 이런지 알 수 있을까요?? ㅠㅠ ――사도바울 《💬|✍|X》2021년 8월 13일 (금) 22:51 (KST)답변
@Sadopaul: 오랜만이네요!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현재 타임라인 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가장 추가되었으면 하는 기능이지만 현재는 지원이 안되고 있네요.... 아마 그래서 글씨가 깨지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 --유자차 (토론) 2021년 8월 14일 (토) 08:13 (KST)답변
@Sadopaul: 사도바울 님 안녕하세요! 먼저 위키백과 업로더 입문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먼저 'reupload-shared' 권한은 로컬에서 공용에 있는 파일명과 동일한 파일명으로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는 권한입니다. 아마 파일 관리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파일:본 조비 - You Give Love a Bad Name.jpg는 이전 판을 특정판 삭제 신청 해놓았습니다. 앞으로 새로운 버전의 파일을 업로드 하실 때에는 특정판 삭제 신청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앞으로 좋은 업로더 활동을 부탁드립니다 :) --유자차 (토론) 2021년 9월 4일 (토) 03:58 (KST)답변
@Sadopaul: 음.. 무슨 말씀이신지 잘 이해가 안되네요.. ㅎㅎ 현재 해당 파일이 공용에 있는 파일과 동일하다고 나오지 않으므로 공용의 파일을 해당 파일에 새로운 판으로 업로드 한 뒤 공용과 중복이라는 표시가 뜨게 하시려는 말씀이신가요? 어차피 해당 파일은 공용에 올라와 있는 파일의 출처에서 가져온 것이기 때문에 그냥 삭제 신청만 해도 처리가 이루어 질 것 같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1년 9월 4일 (토) 20:56 (KST)답변
앗 제가 설명을 조금 잘못했네요.. 공용 파일과 로컬 파일의 이름이 서로 다른 경우라면 문제가 없지만, 같은 경우에는 로컬에서 "파일:A"를 입력했을 때 공용의 파일이 아닌 로컬의 파일이 출력됩니다. 이 때 공용중복으로 판단하고 공용의 파일을 로컬로 덮어씌워 들여올 수 있는 것으로 아는데, 이 기능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죄송합니다 제가 작문이 조금 약해서 ㅠㅠ ――사도바울 (💬✍🧾)2021년 9월 4일 (토) 21:08 (KST)답변
@Sadopaul: 공용의 파일을 로컬로 덮어씌워 들여오는 기능이 있는 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해당 경우에는 가능한 로컬의 파일명을 변경하여 공용의 파일과 겹치지 않게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하오나 파일 명이 동일하다는 이유로 공용의 파일을 로컬로 덮어씌워 들여오게해 로컬의 파일이 덮어씌워지는 경우는 본적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1년 9월 4일 (토) 21:17 (KST)답변
안녕하세요 유자차님. 오랜만에 찾아온 Answerer 5do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최근 파일 업로드 요청에 들어온 요청과 관련해 지침 해석이 필요해 요청드립니다. 한 사용자 분이 [1] 이 링크에서 '로고 아래의 글만 제거'한 뒤 업로드를 요청하셨습니다. 이에 저는, 충분히 다른 포스터 파일로 대체가 가능하다고 보고, 이미지 지침, "불필요하게 변형해서는 안 됩니다" 및 기타 사유들에 따라 이를 반려하였습니다. 하지만 이후 확인해 보니, [2] 이 링크의 파일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로고 아래의 글만 제거'한 뒤 파일: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 X 포스터.jpg라는 파일명으로 업로드가 된 사실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경우, 저의 처리 방식처럼 반려 (또는 보류)하고 새로운 파일 링크를 달라고 하는것이 맞는것인지, 아니면 위 처리방식처럼 요청대로 수정 후 올리는게 맞는것인지에 대한 해석을 요청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Answerer 5do 👻 2021년 9월 11일 (토) 00:37 (KST) Answerer 5do 👻2021년 9월 11일 (토) 00:38 (KST)답변
@Answerer 5do: 안녕하세요 Answerer 5do 님! 위키백과:비자유 저작물 기준#원칙 11항 앞 문장에 따르면 Answerer 5do 님의 말씀이 옳다고 볼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뒷 내용을 보시면 필요한 부분만 잘라서 인용할 수 있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변형을 할 수 없다고 하여 인용해야 하는 저작물 전체를 인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한 부분만 부분적으로 잘라서 인용할 수 있습니다."라는 문장 때문에 해당 사용자의 요청 대로 처리하여도 문제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항상 좋은 편집을 해주심에 감사드립니다. :) --유자차 (토론) 2021년 9월 11일 (토) 12:00 (KST)답변
관리자가 아니므로 정확히는 알지 못하지만 트윙클 기능은 자동 인증된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기에 권한을 회수 당하지는 않을 것 같으나 차단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차단이 되면 롤백 기능은 당연히 사용하지 못하겠죠 :) 유자차 (토론) 2021년 9월 21일 (화) 13:35 (KST)답변
@Answerer 5do: 이전에 해당 내용과 비슷하게 토론을 진행했던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참여율 저조와 구체적인 지침을 신설하여도 모든 파일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있어 결국 대충 로고와 전체 이미지의 제한을 조정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현 지침상대로라면 가로, 세로의 곱이 120,000픽셀을 넘을 수 없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포스터 파일을 이에 맞추어 업로드 한다면 대부분 적당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파일을 업로드 할 수 있는 문서의 글자 수 등에 관한 지침은 신설되었으면 하는 바입니다 :) --유자차 (토론) 2021년 9월 28일 (화) 22:12 (KST)답변
안녕하세요 유자차님!
위키백과토론:비자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에서 한분과 이야기를 나눈 결과 아래와 같은 안이 제시되었습니다.
해당 안에 대해 유자차님의 의견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저도 이런 지침을 추가하는 토론은 처음인지라 어떤 경우에 토론을 마무리짓고, 지침이 신설된 것으로 보고 지침을 추가 할 수 있는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규정 전
신설 제안
사진이나 그림같은 정적인 시각 자료로, 포스터나 로고, 작품의 표지, 스크린샷 등도 포함합니다. 이미지를 공정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음 기준을 고려해야 합니다.
자유 저작물로 대체할 수는 없는지 살펴보아야 합니다.(생존 인물의 사진과 같이 자유저작물의 확보가 기대될 수 있는 경우에는 공정이용에 따른 이미지 업로드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미지의 크기는 가로 세로의 곱이 120,000 픽셀을 초과할 수 없으며, 긴 변의 길이가 500 픽셀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단, 이미지 유형에 따라 예외가 있을 수 있습니다.
포스터: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방송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포스터를 인용할 경우, 다음 세부 기준을 만족해야 합니다.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는 경우에만 인용되어야 합니다.
문서의 길이는 큰 토막글 이상이여야 합니다 (5000 바이트).
불필요한 변형 (부분 삭제 등)은 불가능합니다.
이미지의 크기는 가로 세로의 곱이 120,000 픽셀을 초과할 수 없으며, 긴 변의 길이가 500 픽셀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단, 화질에 심각한 저해가 있는 경우에는 (예: 이미지 텍스트가 식별이 불가능) 업로더의 재량에 따라 긴변의 길이를 최대 800 픽셀까지, 가로 세로의 곱을 최대 150,000 픽셀까지 조정할 수 있습니다.
@Answerer 5do: 안녕하세요 Answerer 5do 님. 해당 경우에는 신설 제안을 요청하고 대부분 일부 사용자 분들의 동의를 얻고 반대 의견이 없으면 별 절차 없이 지침을 추가하면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침이 추가 되면 해당 사항을 사랑방 등에 공지하여 다른 업로더 분들이나 관리자 분들이 아실 수 있도록 해야할 것 같습니다. 추가로 최근 파일 업로드 요청에서 다른 업로더의 처리 방안과 관련하여 요청자 분들의 의견이 많은 것 같은데 이 부분에 대해서도 사랑방에 공지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내용이 정리되면 차후에 같이 공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듯 합니다. :) --유자차 (토론) 2021년 10월 7일 (목) 21:22 (KST)답변
유자차님 안녕하세요! 현재 귀하가 참여해주신 위키백과토론:비자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에서, 일부 우려들을 반영해 아래와 같이 수정된 방안에 대한 총의가 모아지고 있어 안내드립니다. 혹시나 해당 방안에 대해 수정, 추가 등이 필요해 보이시다면 언제나 해당 토론에 오셔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포스터에 관한 지침 신설안
포스터: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방송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포스터를 인용할 경우, 다음 세부 기준을 만족해야 합니다.
문서의 시각적 이해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는 경우에만 사용해야 됩니다.
문서의 길이는 큰 토막글 이상이여야 합니다 (5000 바이트).
필요없는 변형 (크기 조정, 부분 삭제 등)은 불가합니다.
이미지의 크기는 가로 세로의 곱이 120,000 픽셀을 초과할 수 없으며, 긴 변의 길이가 500 픽셀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단, 화질에 심각한 저해가 있는 경우에는 (예: 이미지 텍스트가 식별이 불가능) 업로더의 재량에 따라 긴변의 길이를 최대 800 픽셀까지, 가로 세로의 곱을 최대 150,000 픽셀까지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 지침은 모든 비자유 포스터 파일을 대상으로 소급 적용됩니다. 단, 2021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을 소급 적용 유예 기간으로 정합니다.
@Shdhdi: 잘 이해가 안되네요 ㅎㅎ 문서에 보호를 걸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용자는 관리자입니다. 만약 관리자 분이 본인의 사용자 문서에 보호를 걸었어도, 그것은 훼손을 막기 위함이지, 본인이 편집을 못하도록 하려고 보호를 한 것은 아닐 것 같습니다. --유자차 (토론) 2021년 10월 22일 (금) 20:33 (KST)답변
안녕하세요 유자차님!
비자유 저작물 보강 에디터톤이 이번주 일요일을 끝으로 막을 내립니다.
현재 유자차님의 경우, 에디터톤에 관련해서 상당히 많은 기여를 보여주고 계시지만, 이를 에디터톤 기여 페이지에 표기하시진 않고계셔서 알려드립니다.
모쪼록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Answerer 5do 👻2021년 12월 10일 (금) 07:54 (KST)답변
안녕하세요? 이전에 백:업요에 배트맨: 킬링 조크의 본문에 삽입하려고 요청을 올렸다가 취소한 파일에 관한 질문인데요. 해당 파일은 영어 위키백과의 한 유저가 킬링 조크 코믹스를 스캔하여 올린 파일입니다. 그 파일의 라이선스를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어서 질문 남깁니다. 남은 연말 잘 보내시고 크리스마스 행복하게 보내세요.^^ Magika (토론) 2021년 12월 25일 (토) 00:46 (KST)답변
@Chwel1: 아뇨, 그렇지 않습니다. 이미 삭제 토론에 올라갔었던 문서라고 해도 정당한 삭제 사유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삭제 토론, 삭제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단, 위키백과:삭제 정책을 참고하시어 잊으신 부분이나 삭제에 미흡한 부분은 없는지 다시한번 확인해 보시구 삭제 토론을 여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삭제 토론을 여는 방법은 삭제 토론을 여실 해당 문서 상단에 {{풀기:삭제 토론}}라고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차후 나오는 안내문에 따라 삭제 토론 문서를 생성하시어 삭제 토론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 --유자차 (토론) 2022년 8월 11일 (목) 02:11 (KST)답변
삭제 신청 이유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신다면, 문서 상단에 {{삭제 신청 이의}}를 추가하시고, 해당 문서의 편집 역사를 확인하여, 삭제를 신청한 사람과 토론해 주세요. 토론이 잘 해결되지 않는다면, 다른 편집자들도 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삭제 토론을 하실 수도 있습니다.
위키백과를 편집할 때 궁금한 점이 있다면 소개나 사용법을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혹시 편집하실 때 연습할 공간이 필요하시면, 연습장을 우선 이용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삭제 신청 이유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신다면, 문서 상단에 {{삭제 신청 이의}}를 추가하시고, 해당 문서의 편집 역사를 확인하여, 삭제를 신청한 사람과 토론해 주세요. 토론이 잘 해결되지 않는다면, 다른 편집자들도 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삭제 토론을 하실 수도 있습니다.
위키백과를 편집할 때 궁금한 점이 있다면 소개나 사용법을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혹시 편집하실 때 연습할 공간이 필요하시면, 연습장을 우선 이용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