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AIR BUSAN
에어부산의 에어버스 A321-200
창립일
2007년 8월 31일
허브 공항
거점 도시
상용고객 우대제도
기업우대프로그램
보유 항공기
20
취항지 수
34
슬로건
여행의 지혜 Fly Smart
본사
부산광역시 강서구 유통단지1로57번가길 6
핵심 인물
두성국(대표이사)
자본금
52,100,000,000원 (2019.03)
매출액
174,063,857,095원 (2019.03)
영업 이익
5,535,032,428원 (2019.03)
순이익
1,985,237,791원 (2019.03)
자산 총액
591,028,081,807원 (2019.03)
모기업
아시아나항공
종업원
1,481 명 (2019.09)
웹사이트
http://www.airbusan.com
에어부산 (영어 : AIR BUSAN , 釜山航空)은 부산광역시 의 향토기업들과 아시아나항공 이 출자하여 설립한 저비용 항공사 로서 대한민국 김해국제공항 을 거점으로 하고 있다.
개요
에어부산은 대한민국 의 운송 전문 기업집단인 한진그룹 에 소속되어 있고, 코스피 상장 기업(한국 : 298690 )이다. 2018년 12월 27일 코스피에 상장되었으며 2020년 현재 회사 규모는 시가총액 약 1,721억 정도다.
아시아나항공 , 부산광역시 가 대주주이고, 2008년 10월 27일 김해국제공항 을 거점으로 부산 - 서울(김포) 노선에 첫 운항을 시작한 항공사다. 2007년 부산국제항공 으로 설립했으며, 본사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유통단지1로57번가길 6에 있다. 현재 국내선 울산 - 서울(김포) , 부산 - 제주 , 서울(김포) - 제주 , 부산 - 서울(김포) 노선을 운항 중이며, 일본 , 중국 , 동남아시아 각지에 국제선 노선을 운항 중이다. 2011년 1월 18일 , 국제선 노선 확대로 대한민국 저비용 항공사 최초로 에어버스 A321-200 기종을 도입하였다, 2013년 2월 , 아시아나항공 으로부터 보잉 737-400 (등록번호 HL7513)과 보잉 737-500 (등록번호 HL7232)을 양도받았으며 이로써 에어부산은 국내 저비용항공사 중 유일하게 보잉 737-400 과 보잉 737-500 을 운용하는 회사가 되었으며 보잉 737-400 을 4기, 보잉 737-500 을 2기를 운용하였다, 2016년 3월 31일 , HL7508을 마지막으로 에어부산의 모든 보잉 737 계열 항공기가 퇴역하였으며 에어버스 A320 패밀리 로 단일화하여 운용하고 있다.
2016년 9월 부산 발 국제선이 아닌 대구 발 국제선을 신설하여 사실상 포화상태인 부산(김해) 에서 대구 로 취항지를 늘였지만 단항 후, 2019년 서울(인천) 발 국제선을 신설하여 취항지를 늘이고있다. 하지만 2020년 3월 코로나19 사태 로 대부분의 국제선 노선이 일시 운항 중단되었으며 국내 항공사들 중 최초로 에어버스 A321neo/LR 항공기를 도입하였다.
2024년 11월 모기업인 아시아나항공이 대한항공과의 합병을 진행함에 따라 아시아나항공은 2026년에 소멸 및 역사속으로 사라질 예정이다. 자회사로 있는 에어부산과 에어서울은 진에어와 통합 LCC로 합병될 예정이다. 모든 합병이 완료되면 에어부산도 소멸될 예정이다.
역사
운항 노선
공동운항 협정
에어부산은 아시아나항공 과 국내 항공사 중 최초로 모회사-자회사간 공동운항 협정을 체결하였다.
취항지
도시
공항 IATA
공항 ICAO
공항 이름
비고
운항 횟수
서울 /김포
GMP
RKSS
김포
서울 /인천
ICN
RKSI
인천
[ 6]
대구
TAE
RKTN
대구
부산 /김해
PUS
RKPK
김해
울산
USN
RKPU
울산
[ 7]
주 7회 운항, 김포국제공항 행 일 3회 운항, 제주국제공항 행
제주
CJU
RKPC
제주
[ 8] [ 9] [ 10]
주 33회 운항, 김포국제공항 발 주 77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일 3회 운항, 울산공항 발
광저우
CAN
ZGGG
바이윈
구이린
KWL
ZGKL
량장
부정기 노선[ 11]
주 1회 운항, 대구국제공항 발
닝보
NGB
ZSNB
리스
[ 6]
주 3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싼야
SYX
ZJSY
펑황
[ 12] [ 13]
주 4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선전
SZX
ZGSZ
바오안
주 1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스자좡
SJW
ZBSJ
정딩
부정기 노선[ 14]
부정기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시안 시
XIY
ZLXY
셴양
[ 15]
주 2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옌지
YNJ
ZYYJ
차오양촨
[ 16] [ 17]
주 6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이창
YIH
ZHYC
이창
부정기 노선[ 18]
주 2회 운항, 대구국제공항 발
장자제
DYG
ZGDY
장자제
[ 19]
주 4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청두
CTU
ZUUU
솽류
[ 6]
주 3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칭다오
TAO
ZSQD
류팅
[ 20]
주 1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칭다오
TAO
ZSQD
자오둥
[ 21]
주 1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하이커우
HAK
ZJHK
메이란
[ 6]
주 2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황산
TXN
ZSTX
황산
부정기 노선[ 18]
주 2회 운항, 대구국제공항 발
마카오
MFM
VMMC
마카오
[ 22]
일 1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홍콩
HKG
VHHH
홍콩
[ 23]
주 3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도쿄
HND
RJTT
하네다
부정기 노선[ 24]
주 2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도쿄
NRT
RJAA
나리타
[ 25] [ 26]
일 2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가고시마
KOJ
RJFK
가고시마
부정기 노선[ 27]
주 3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주 2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구마모토
KMJ
RJFT
구마모토
부정기 노선[ 28]
주 3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기타큐슈
KKJ
RJFR
기타큐슈
주 7회 운항, 대구국제공항 발
나고야
NGO
RJGG
주부
[ 29]
주 3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도야마
TOY
RJNT
도야마
부정기 노선[ 28]
주 2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삿포로
CTS
RJCC
신치토세
[ 30] [ 31]
주 3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오사카
KIX
RJBB
간사이
[ 32] [ 33]
일 2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후쿠오카
FUK
RJFF
후쿠오카
[ 34] [ 35]
일 4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타이베이
TPE
RCTP
타오위안
일 2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가오슝
KHH
RCKH
가오슝
[ 6]
주 3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주 4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울란바타르
ULN
ZMUB
칭기즈칸
[ 36]
주 2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비엔티안
VTE
VLVT
왓따이
[ 37]
주 6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코타키나발루
BKI
WBKK
코타키나발루
[ 6]
주 7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하노이
HAN
VVNB
노이바이
[ 38]
주 7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나트랑
CXR
VVCR
깜라인
[ 39]
주 2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다낭
DAD
VVDN
다낭
[ 40] [ 37]
일 2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호찌민
SGN
VVTS
떤썬녓
[ 41]
주 7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시엠레아프
REP
VDSR
시엠레아프
[ 42]
주 4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싱가포르
SIN
WSSS
창이
부정기 노선[ 43]
주 2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마닐라
MNL
RPLL
니노이아키노
부정기 노선[ 44]
주 2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세부
CEB
RPVM
막탄 세부
일 1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일 1회 운항, 인천국제공항 발
칼리보
KLO
RPVK
칼리보
주 4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블라디보스토크
VVO
UHWW
블라디보스토크
[ 45]
주 3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괌
GUM
PGUM
앤토니오 B. 원 팻
[ 46]
주 4회 운항, 김해국제공항 발
보유 기종
현재 보유중인 기종
퇴역 기종
수상내역
2009 고객만족경영대상 서비스혁신부분 최우수상 수상
2010 대한민국 명품브랜드 대상수상
2011 한국 서비스품질 우수기업 인증 획득
2011 국토해양부 '안전우수항공사' 정부표창
2012 2012년 항공사 만족도 조사 종합순위 5위, 저비용항공사 1위 달성(일본 최대 해외여행 전문지 AB-ROAD 주관)
2012 지식경제부 및 지자체 공동주관 우리지역 일하기 좋은 기업 선정
2013 2013 KS-SQI 한국서비스품질지수’ 저비용항공 부문 1위
2013 국토교통부 '2012년도 항공교통서비스 평가' 매우우수 등급 획득
2014 에어부산, 지연•결항률 국내 항공사 최저 기록 (국토교통부 발표)
서비스
기내서비스
노선별로 고객에게 맞춘 꼭 필요한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내선의 경우, 김포 -부산 노선의 상용고객을 위하여 신문 서비스, 커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김포 -제주 , 부산 -제주 노선의 제주가는 항공편에서는 즉석 경품 이벤트를 제공하여 제주도 이용고객에게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제선의 경우, 일본 노선에는 국내 및 일본 현지 신문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외 돋보기안경서비스, 기내면세, 기내식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기내식은 국제선 타이베이 , 홍콩 , 오사카 , 나리타 , 세부 노선에서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으며, 나리타 노선의 경우 저비용 항공사 중 최초로 김치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FLY&FUN 서비스
에어부산 국내선, 국제선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제휴서비스이다. 부산 , 서울 , 제주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지역 일본 (도쿄 , 오사카 , 후쿠오카 ), 세부 , 대만 , 홍콩 에서도 에어부산과 제휴된 업체에 탑승권을 제시하면 호텔, 관광지, 렌트, 음식점 등 다양한 할인혜택 및 경품을 이용할 수 있다.
하늘책방 서비스
국내 항공사 중 처음으로 '하늘책방'이라는 e-book 전자책 서비스를 에어부산 모바일앱에서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 1인당 한 달에 10권까지 대여가 가능하며, 대여 도서를 다운로드 해두면 기내 등 인터넷이 되지 않는 곳에서도 볼 수 있다. 에어부산 하늘책방 안내페이지
사건 및 사고
2025년 1월 28일 부산 강서구 김해국제공항 계류장에 있던 홍콩행 에어부산 BX391편 항공기(기종 A321)에서 불이 나 승객과 승무원 176명이 긴급 대피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해당 항공기는 승객 탑승 완료 이후, 출발 전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진다.[ 51] → 에어부산 391편 화재 사고
2018년 4월 14일 에어부산의 한 승무원이 자신의 SNS에 승객들을 조롱한 게시물을 올렸다. 부산 제주발 부산행 비행기에 탔던 한 남성 승무원이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비슷한 머리를 한 단체 손님 뒷모습 사진과 함께 ‘All same 빠마 fit(feat. Omegi 떡 400 boxes)’라는 글을 올렸다. 사진이 공개되자 네티즌들은 공분했다. 사진 자체가 몰래 찍은 것으로 추정되는 데다 승객들의 헤어스타일 등을 조롱했기 때문이다. 논란이 일자 에어부산은 해당 승무원과 관리책임이 있는 승무원 팀장의 사과문을 올렸다. 해당 승무원은 물론 부적절한 댓글을 단 승무원도 함께 자체규정에 따라 엄중 조치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2018년 7월 11일 김해국제공항 국제선 청사 택시 승강장에서 BMW 승용차가 정차하던 택시의 기사를 뺑소니를 친 사건이 발생했다. 제한 속도가 40km/h인 곳에서 속도를 줄이지 않고 택시기사와 택시를 들이받은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 BMW 승용차의 운전자가 에어부산 보안 부서 소속 정 모 일반직원인 것으로 밝혀졌다. 당시 정 모 일반직원은 동승자의 교육 시간에 맞춰서라고 진술했지만 네티즌들은 고의 사고라고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피해 택시기사는 현재까지도 의식이 없는 상태이다.
2012년 5월 8일 에어부산 8108편 항공기가 유도로에 착륙하는 에어부산 8108편 착륙 사고 가 일어났다.
기업우대 프로그램
기업체, 공공기관, 정당, 협회 및 단체 등에게 항공료 할인 등 여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출장이 잦은 기업들의 경비 절감을 돕는 제도이다. 기업회원에 가입된 기업의 소속 임직원들은 출장 외 개인적인 목적으로 여행 시에도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사진
같이 보기
각주
↑ 에어부산, 부산-김포노선 하루 10편 증편 , 에이빙뉴스, 2009.03.18
↑ 에어부산 출범 5개월만에 조기 안착 [깨진 링크 (과거 내용 찾기 )] , 노컷뉴스, 2009.04.07
↑ 아시아나. 에어부산과 공동운항…부산~오사카·후쿠오카 하루 2편 보관됨 2014-04-08 - 웨이백 머신 , 뉴시스, 2010.02.08
↑ “아시아나, 에어부산 노선 공동운항” .
↑ “취항 노선” .
↑ 가 나 다 라 마 바 “Air Busan W19 International network additions” . 2019년 10월 1일.
↑ “에어부산, 울산공항 정기노선 11월 취항” . 2017년 9월 12일.
↑ “에어부산, 오늘부터 김포~제주 노선 정기편 운항” . 2011년 3월 28일.
↑ “에어부산, 부산-제주 신규 취항” . 2008년 12월 1일.
↑ “에어부산, 대구~제주 정기편 신규 취항” . 2016년 6월 30일.
↑ “에어부산, 대구-중국 구이린(계림) 노선 부정기편 취항” . 2016년 10월 9일.
↑ “에어부산, 내달 中 싼야(三亞) 신규 취항” . 2016년 11월 1일.
↑ “대구~중국 싼야·일본 오사카 에어부산 12월부터 신규취항” . 2016년 11월 1일.
↑ “에어부산 중국노선 확충에 박차” . 2013년 8월 8일.
↑ “에어부산, 부산-시안 노선 취항” . 2013년 4월 4일.
↑ “에어부산, 국적항공사 최초 부산∼옌지 노선 취항” . 2015년 1월 7일.
↑ “에어부산, 대구-중국 옌지 노선 주2회 취항” . 2015년 6월 4일.
↑ 가 나 “에어부산, 대구-中 부정기편 운항” . 2016년 9월 19일.
↑ “에어부산, 부산~장자제 노선 취항” . 2015년 4월 2일. 2016년 11월 22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22일에 확인함 .
↑ “에어부산 부산~칭다오 노선 취항” . 2012년 3월 20일.
↑ “8월 12일부 칭다오 공항 변경 안내” . 2021년 8월 4일.
↑ “에어부산, 주 7회 부산~마카오 취항” . 2012년 8월 7일.
↑ “에어부산, 부산~홍콩 본격 취항” . 2011년 5월 19일.
↑ “에어부산, 부산-하네다 부정기편 운항” . 2015년 4월 8일.
↑ “에어부산, 日 나리타 취항” . 2011년 6월 23일.
↑ “에어부산, 대구~나리타 주 7회 신규취항…대구발 노선 대폭강화” . 2017년 6월 8일.
↑ “에어부산, 인천·부산서 日 가고시마 전세기 띄운다” . 2020년 1월 9일.
↑ 가 나 “에어부산, 부산∼일본 구마모토·도야마 부정기편 운항” . 2018년 4월 5일.
↑ “에어부산,6월21일부터 부산과 나고야 노선 취항” . 2018년 3월 27일. 2018년 3월 27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에어부산, 부산-삿포로 노선 주 3회 신규 취항” . 2015년 12월 3일.
↑ “에어부산, 대구~싼야·오사카·삿포로 노선 신규 취항” . 2016년 10월 31일. 2016년 11월 22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1월 22일에 확인함 .
↑ “에어부산, '부산-오사카 국제노선 신규취항' ” . 2010년 4월 26일.
↑ “에어부산, 대구발 국제선 3개 노선 신규 취항” . 2016년 11월 1일.
↑ “에어부산, 부산-후쿠오카 '일 4회'까지 증편 운항” . 2015년 9월 15일.
↑ “에어부산, 대구~후쿠오카 정기 노선 매일 1회 취항” . 2016년 9월 1일.
↑ “몽골, 한국 오가는 항공편 운항 3월 2일까지 전면 중단” . 2020년 2월 25일.
↑ 가 나 “에어부산, 부산~비엔티안, 대구~다낭노선 취항” . 2017년 9월 12일.
↑ “[부울경 새로운 도전] 부산-하노이 하늘길 열린다 … 10월 신규 취항” . 2018년 9월 28일.
↑ “에어부산, 부산~베트남 나트랑 노선 부정기편 운항” . 2019년 12월 26일.
↑ “에어부산, 부산-다낭 노선 신규취항” . 2015년 4월 10일.
↑ “에어부산, 4월 23일 부산~호찌민 정기 노선 취항” . 2020년 2월 11일.
↑ “에어부산, 부산~씨엠립 노선 첫 취항” . 2013년 11월 7일.
↑ “에어부산, 부산~싱가포르 내년 1월 부정기 취항” . 2018년 11월 14일.
↑ “본경기 전 연습경기'..에어부산, 마닐라 부정기 노선 운영” . 2020년 1월 28일.
↑ “에어부산, 내달 5일 부산~블라디보스토크 신규 취항” . 2018년 7월 17일.
↑ “에어부산, 15번째 국제선 '부산~괌' 신규 취항” . 2015년 7월 23일.
↑ “항공기 소개” .
↑ “항공기 등록현황” .
↑ “Air Busan Fleet Details and History” .
↑ “에어부산, 차세대 항공기 '에어버스 321neo LR' 도입 계약” . 2018년 10월 25일.
↑ 최유진 (2025년 1월 29일).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176명 모두 탈출” . 2025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채널A 프로그램으로서 시즌2는 에어부산이 제작 지원을 했다.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