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1996년에 극장판 제2작이 VHS로 출시되며 먼저 소개되었고, TV 애니메이션은 1997년에 『97 신 짱구는 못말려』란 제목으로 VHS를 통해 최초로 공개되었다. TV 방영 역시 1998년에 SBS에서 극장판이 먼저 방영되었고 이후 1999년6월 28일부터 SBS에서 주간시트콤으로 TV 애니메이션 방영이 시작되었다. CJ ENM(구) 온미디어의 자사 어린이 채널인 투니버스는 SBS 버전을 수시로 편성한 바 있고 (1, 2, 4, 6, 7기), 일부 시리즈에 대해선 당시 판권을 SBS가 갖고 있어, 별도로 허락을 받아 방영하지 않은 부분을 더빙해 방영했다(3, 5기). 2008년9월 29일에 투니버스가 “짱구는 못말려 8”을 단독으로 더빙하게 되면서 독점 방영권을 갖게 되었고, 이로 인해 짱구 가족을 제외한 SBS 제외 성우진가 안뽑아요 없다 성우진은 하차했고, 투니버스 성우진으로 전체 교체되었다. 이후 2014년 말~2016년 초에 과거 일본 "크레용 신짱" 스페셜분을 담은 "짱구는 못말려 X파일 (총 3 시즌)이 방영되었고 2016년2월 "짱구는 못말려 2016 스페셜"을 방송하여 일본 "크레용 신짱"의 최신 스페셜분을 방영하였다. 또한 SBS 판권료 문제로 인해 "짱구는 못말려 7"를 재더빙하여 2016년3월 17일 첫 방송을 시작하였다. 2017년7월 5일, "짱구는 못말려 17"를 방송 중이다. 2016년경 4:3 비율 SD제작 방영분인 7기 ~ 10기를 16:9로 화면비율을 늘려서 HD로 재방영 하였다.
대한민국에서는 ㈜금강기획의 애니메이션 사업팀에서 아시아 지역 수출을 담당하는 일본 회사 애니메이션 인터내셔널(AI)로부터 구매하여 작품을 수입하였고,(구) ㈜금강기획에서(구) ㈜애니 컨텐츠를 자회사로 설립 후에는(구) ㈜애니 컨텐츠에서 작품을 수입하였다. 이후(구) ㈜코코 엔터프라이즈에서(구) ㈜애니 컨텐츠를 인수하여,(구) ㈜코코 엔터프라이즈에서 작품의 수입 및 라이센싱 사업을 진행하였다.(구) ㈜코코 엔터프라이즈에서는 2003년에 SBS와 계약을 체결한 후 2007년까지 작품 공급을 하다가, 2008년 9월에 CJ ENM(당시 온미디어)과 라이센스 독점 공급 계약 체결 후에 투니버스[1]에서 작품이 편성되고 있다.
개요
사이타마현카스카베 시를 배경{한국어판에서는(SBS, 투니버스 기준) 서울특별시금천구시흥동으로 현재는 서울특별시 (초록구 승격) 떡잎마을(떡잎동)"이라는 가명}으로 유치원생 신짱구(일본명 : 노하라 신노스케), 아빠 신영식(일본명 : 노하라 히로시), 엄마 봉미선(일본명 : 노하라 미사에), 여동생 신짱아(일본명 : 노하라 히마와리) 등과 주변 인물들이 펼친다.
원작이 원래 성인 대상 코미디 애니메이션의 특성상, 선정성 시비 문제로, 어린이가 보기엔 부적절한 언어 사용 문제가 계속 거론되어,[3] 매년 일본학부모협회가 실시하는 설문 조사 결과, '아이들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은 프로' 1위를 계속 거듭했다. 또한 대한민국의 정종복국회의원은 짱구는 못말려의 등급이 부적절 하므로, 최소한 12세 등급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4][5][6][7]
이러한 비난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 27년 넘게 꾸준히 방송되며, 최장수 프로그램 중 압도적인 시청률을 기록, 《도라에몽》과 더불어 TV 아사히의 최장수 애니메이션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가장 인기 많은 최장수 애니메이션 중 1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한민국 : 1996년 극장판[8]을 비디오를 통해 처음 선보인 뒤 TV시리즈를 수입해 비디오로 발매하였다.[9] 그 뒤 1999년SBS에서 정식으로 소개되어 방송 개시되었다. 극장판은 거의 15세 이상이고, TV시청용 짱구 시리즈는 거의 12세 이상 시청가이다.
SBS에서는 상당수 장면이 편집되거나 삭제되어, 아예 방영하지 않은 부분도 있다. 미방영분에 대해서는 2003년투니버스에서 별도로 더빙하여 '짱구는 못말려 3'라는 제목으로 방영하였다. 그러나 2007년까지 대한민국내 TV 방영 권한은 SBS에서 독점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 이외의 방영분은 전부 SBS 방영분이었다. 공중파에서도 극장판이 방영되었는데, SBS에서 극장판인 "액션가면 VS 그래그래마왕"이라는 제목으로 1기 극장판을 방영하였다. 그외 2001년MBC에서 극장판인 "전격! 돼지발굽 대작전"과 "폭풍을 부르는 정글"을 추석 연휴에 연달아 더빙하여 방영하였다.
2001년에 시범으로 짱구 1기를 편성한 투니버스는 2007년 1월 9일, 짱구의 SBS 방영 종료 이후인 2008년9월투니버스가 방영권을 완전히 취득하여 "짱구는 못말려 8"을 시작으로 투니버스에서 방영하고 있다. 2009년 이후에는 SBS방영분을 재방송하지 않으며 2016년 SBS에서 제작한 7기를 판권료 절감을 목적으로 CJ ENM(구 온미디어)의 애니메이션 전문 채널인 투니버스가 재더빙하였다.
SBS에서는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처음부터 신짱아가 태어난 직후까지 방영한 이후, 2003년에 신짱아가 태어난 이후의 에피소드를 방영하였고,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새로운 에피소드를 방영하다가, 2007년1월 9일까지 와르르 맨션에서의 이야기(2002년 5월 이전 방영분 / 중기 에피소드)까지 방영한 다음, SBS에서 방영이 종료되었다.
짱구는 못말려 에피소드는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처음부터 짱아가 태어난 에피소드(1~3기, 9기 일부, 뉴 에피소드, X파일 3기 / 일본 "크레용 신짱" 1992년 4월 ~ 1996년 9월)까지를 구 에피소드, 짱아가 태어난 이후부터 와르르맨션 에피소드(4~8기, 9기 일부, X파일 2기 일부 / 일본 "크레용 신짱" 1996년 9월 ~ 2002년 5월)까지를 중기 에피소드, 새로운 집으로 돌아온 이후부터 현재(10기 이후 및 X파일 1기, 2기 일부 / 일본 "크레용 신짱" 2002년 5월 ~)까지를 신 에피소드로 나뉜다.
SBS에서 방영당시 짱구(신노스케)의 엉덩이 춤(편집 및 보호자의 시청 지도 조치, 삭제, 민·형사상 고발 조치), 귀에 바람 부는 행동(보호자의 시청 지도 조치, 삭제, 민·형사상 고발 조치), 코끼리 춤(삭제 사유 : 성적 문란, 민·형사상 고발 조치) 등 선정성 시비 문제가 많다는 항의가 간접적으로 거론 되어, 선정적인 장면이 있는 에피소드는 방영이 아예 불가능 이거나 해당 부분을 삭제해서 법에 저촉되는 부분도 있었다. 방영 초반엔, 일부분 삭제가 되다가 엉덩이 춤은 덧칠{흰색이나 바지색(노란색)}을 하여 내보내고, 귀에 바람 부는 행동은 삭제가 되는 경우도 있고, 안 되는 경우도 있다. 코끼리 춤은 선정성 및 모방 위험 우려 등 문제의 소지가 많기 때문에 계속 삭제되었다. 어린이들이 보기엔 모방 위험의 우려가 많아 삭제되는 사유가 된다.
짱구는 못말려 9기는 1~6기에 방영되지 않은 일부 에피소드와 3,5기의 일부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 (원작자 추모특집방송)
짱구는 못말려 뉴에피소드는 비디오로 방영된 부분이나 1~3기의 미방영분이 국내에서 공개하지 않은 일부분이 100% 디지털 방식으로 재더빙되었다.
짱구는 못말려 12기 후반부는 10기 ~ 12기 전반부에 해당되는 부분의 미방영분이 방영되었다.
짱구는 못말려 X파일은 일본 "크레용 신짱" 2004년 ~ 2012년의 스페셜 방영분이 방영되었다.
짱구는 못말려 X파일 2기는 일본 "크레용 신짱" 2001년 ~ 2003년의 스페셜 방영분이 방영되었고, 1996년의 미방영분도 1화 방영되었다.
짱구는 못말려 X파일 3기는 일본 "크레용 신짱" 1990년대 ~ 2000년대 초반 스페셜 방영분이 방영되었다.
짱구는 못말려 2016 스페셜은 일본 "크레용 신짱" 2013년 ~ 2015년 스페셜 방영분이 방영되었다.
2016년3월 17일 투니버스에서 짱구는 못말려 7기를 재더빙하여 첫 재방송을 시작하였다. 기존 7기와 동일하게, 에피소드 제목, 순서, 대사, 성우는 달라졌지만 큰차이는 없다.
1기 ~ 2기 중반 (SBS 일부, 투니버스, 퀴니) : 일본판 2기 오프닝인 "夢のENDはいつも目覺まし!"와 일본판 3기 오프닝인 "나는 인기인"의 장면을 사용하였다.
2기 후반 (SBS 일부, 투니버스, 퀴니) : 그 에피소드의 주요 장면을 사용하였다.
3기, 5기, 8기, 9기 (투니버스) : 짱구는 못말려의 캐릭터 사진이 있는 배경화면을 사용하였다.
4기, 6기, 7기 (SBS 일부, 투니버스) : 일본판 5기 오프닝인 "연중몽중 I Want You"의 하늘 배경을 사용하였다.
6기 (SBS 일부, 투니버스) : 1997년~2002년 일본 크레용 신짱 타이틀 배경을 약간 짙게 하여 사용하였다.
8기 일부, 뉴에피소드 (투니버스) : 짱구가 실제로 아이들과 함께한 화면이 사용되었다.
10기 (투니버스) : 스케치북과 크레파스의 배경을 사용하였다.
11기 (투니버스) : 색깔있는 배경과 과일무늬가 있는 타이틀 화면을 사용하였다.
12기 ~ 19기, X파일 1~2기, 재더빙 7기 (투니버스) : 장난감으로 쌓인 배경을 사용하였다. 12기에는 CG효과가 없었다가 13기 ~ 19기, X파일 1~2기, 재더빙 7기에는 CG효과가 존재했으며 16기에는 글씨체가 바뀌였고 CG효과가 사라졌다.
X파일 3기, 2016 스페셜 (투니버스) : X가 그려진 배경을 사용하였다.
아이캐치 변천 과정
한국판 짱구는 못말려 시리즈 같은 경우 4, 6기(SBS), 11기를 제외하고 아이캐치를 잘쓰지 않는다. 하지만 과거 미방영분을 보여주는 짱구는 못말려 X파일 시리즈에는 아이캐치가 존재하며 영상에 따라 일본에서는 언제 방영되었는지 추측할 수 있다.
11기, X파일 1기, 스페셜2016 : 짱구의 표정을 이용한 영상이 사용되었다. (일본 "크레용 신짱" 2005년~2013년 사용, 현재는 아이캐치 미사용)
4, 6기(SBS), X파일 1기, X파일 2기, X파일 3기 : 짱구, 짱아, 흰둥이가 언덕 위에 앉아 있고, 짱아가 넘어지거나 흰둥이가 짖거나 짱구가 짱아, 흰둥이와 함께 노래하는 영상이 사용되었다. (일본 "크레용 신짱" 1997년~2005년 사용)
X파일 3기 : X를 이용한 영상(X앞에 서 있는 모습이나 X를 드는 모습 등)이 사용되었다. 아이캐치의 음악도 추가되었다. (일본 "크레용 신짱" 1992년~1997년 사용, 일본에서는 X대신에 히라가나와 영어를 표기)
애니메이션 특징
짱구가 훈이네 집에 방문할 때 : 짱구가 훈이네 집을 방문할 때 항상 훈이네 집 건너편 집에다 대고 훈이 이름을 부른다. 간혹 유리네 집에서 훈이를 찾기도 해 유리 엄마를 화나게 한다.
애니메이션 속 패러디 : 에피소드에서 사격(간이 사격장이나 다트 등을 할때)이 나오는 에피소드는 고르고 13의 주요 대사나 인물의 모습 (짱구아빠/히로시)가 고르고 13의 모습으로 바뀐다. 또한, 와르르 맨션의 형사 2명의 장면은 후지TV의 '춤추는 대수사선'의 아오시마, 와쿠 형사를 (짱구가 아따맘마집에 인터뷰를 하기 위해 등장. 이때 효과음도 짱구 효과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