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상자의 내용은 2011년 1월 23일 오후 8:10분 현재까지 ChongDae님과 저(배우는사람) 사이에 위의 제목 하에 논의된 내용입니다. 위치 지도에 관심을 가진 다른 여러분의 의견도 함께 듣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하여 저의 사용자 토론 문서에서 논의된 것을 그대로 옮겼습니다. 많은 분들의 참여를 바랍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아래 상자 아래에 적어주시길 바랍니다.--배우는사람 (토론) 2011년 1월 23일 (일) 20:11 (KST)답변
위치 지도에서 대체지도 사용을 없애는게 어떨까요? 대체지도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가 파악이 되지 않아, 더 나은 지도로 지도가 바뀔 때 작업이 꽤나 어렵습니다. 지난 번에 한국 지도에서 독도가 포함될 때도 비슷한 문제가 있었습니다. 태평양 지도도 더 나은 것이 올라와 {{위치 지도 태평양}}을 바꾸었습니다. 그런데 어디선가 예전 좌표의 태평양의 대체지도를 쓰고 있다면 해당 문서가 망가지게 됩니다. 지형도가 필요하면 틀에서 "지형도=y"라고 추가하면 알아서 지형도를(없으면 기본 지도)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틀 쪽에서 지형도를 들고 있으니, 대체지도를 사용할 경우는 다른 방법을 쓰는게 어떨까요? 편의를 위해 분류:대체지도를 사용하는 문서에 대체지도 인수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를 정리했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1년 1월 22일 (토) 10:41 (KST)답변
먼저, {{위치 지도}}에서 대체지도의 사용을 없앤다는 말씀은 {{위치 지도}}에서 "대체지도"라는 인수 자체를 없애자는 뜻인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제가 제대로 이해한 것인지요? 일단 제가 이렇게 이해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논의를 진행하겠습니다.
자동화된 업데이트 및 유지보수의 관점에서 볼 때, 대체지도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추후 위치 지도를 사용하는 문서가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유지보수에 그다지 큰 노력이 들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이에 따라 {{위치 지도}}에서 대체지도의 사용을 없앤다면, 예를 들어, "틀:위치 지도 대한민국 (태백산맥 강조)"나 "틀:위치 지도 대한민국2", "틀:위치 지도 대한민국3" 등의 형식으로 각 대체지도별로 새로운 위치 지도 틀을 만들어 사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런 방식에 대해 사용자들의 총의가 모인다면 저로서는 동의가 되는 괜찮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틀:위치 지도의 코드를 직접 편집하는 기여를 하셨거나 틀:위치 지도를 문서에 사용하시는 다른 사용자 분들도 있으시니, 사용자들의 총의를 모으는 토론을 거친 후 결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시간은 걸리겠지만, 총의를 모으는 과정에서 저와 ChongDae님의 논의에서는 생각지 못한 더 좋은 방법이나 더 고려해야 할 문제점에 대한 지적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됩니다.--배우는사람 (토론) 2011년 1월 22일 (토) 18:01 (KST)답변
분류:대체지도를 사용하는 문서에서 보듯이 대체지도를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한 사람은 현재로서는 저뿐이지만, 틀:위치 지도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늘고 있는 추세로 이에 따라 대체지도에 대해서도 앞으로 사용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틀의 주요 사용법 중 하나가 바뀌는 것(실제로는 코드가 바뀌는 것)이니 의견을 모으는 과정을 거쳤으면 합니다. 아마 바뀌게 된다면 다른 언어의 위키백과의 틀:위치 지도들과는 코드와 사용법이 뚜렷이 다른 부분이 되지 않을까 여겨지는데, 이런 정도라면 의견을 모으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배우는사람 (토론) 2011년 1월 22일 (토) 19:42 (KST)답변
다양한 지도를 지원하려면 제안하신대로 주제별로 틀을 별도로 만드는 것이 한 방법이고, 또 하나는 독일어 위키백과의 지도 틀이 다른 한 방법입니다. 독일어 위키백과는 switch 문법을 써서 다양한 지도를 추가할 수 있도록 준비해 놓았습니다. 기존의 지도 틀을 다 바꿔야 하겠지만요. 살펴보시고 의견 주세요. -- ChongDae (토론) 2011년 1월 23일 (일) 11:29 (KST)답변
그러게요. 저도 어디가 잘못되었는지 찾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미봉책이기는 하지만 코드에 적당한 보정값을 넣어서 고쳐볼까도 했는데, IE에서는 위치 지도가 제대로 표시되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코드를 고치는 것이 좋지 않은 방법인 것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는 Firefox 3.6 버전을 쓰고 있는데 여기서는 위치 표시 오류가 나타나고, 제 컴퓨터에 깔린 골동품 IE6.0에서는 위치 표시가 제대로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 때문에, Firefox의 경우 최신 버전을 사용하면 문제가 해결되나 싶어 버전 16, 17을 모두 시도해 보았는데 설치 후 처음 실행시 위치 표시 오류 문제가 해결된 듯 하다가 재사용해보면 오류가 계속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최신 버전 및 다른 버전들의 IE나 크롬등의 다른 브라우저들에서도 문제가 나타나는지 아니면 그렇지 않은 지를 누구든지 정보를 추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여하튼, 저의 경험상으론 IE6.0에는 문제가 없고 Firefox에는 문제가 있는 것이어서, 이것을 어떻게 해석해야할 지 곤란한 상황입니다. 그리고 Firefox의 경우에도 영문판과 중문판 위키백과에서는 위치 표시 오류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다른 언어판들은 살펴 보진 않았지만, 일어판에도 문제가 없다고 하셨으니 이 오류가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닌가 하고 강력히 추정하고 있습니다. 유독 이 문제가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만 나타난다는 것인데, 이런 점과 IE에는 문제가 없고 Firefox에서는 문제가 나타난다는 것을 함께 고려할 때, style sheet의 관련 코드들이 이 문제와 관련되어 있지 않을까 하는 막연하고도 불확실한 추정을 하고 있습니다. --배우는사람 (토론) 2013년 1월 27일 (일) 08:48 (KST)답변
저의 현재의 판단은 위치 지도 틀의 코드에 오류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판단입니다. 이 문제가 대략 작년 후반기부터 발생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틀의 역사를 살펴보면 작년 후반기 동안 고친 코드는 인터위키 정도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틀의 오류가 아닌 시스템 관련 문제라고 보고 있습니다. --배우는사람 (토론) 2013년 1월 27일 (일) 08:54 (KST)답변
모듈토론:Location map에서 논의중인 것과 겹치긴 하지만 여기에도 달아봅니다. 틀:위치 지도+, 틀:위치 지도~, 틀:위치 지도 여럿과 함께 이 틀을 개편하고자 제안합니다. 사실 이 필요성을 느낀건 다른게 아니라 시르미움 문서에서의 오류였습니다. 이것을 수정하는 김에 모듈을 이용한 개편을 제안합니다. 개편후 내용은 영어판을 베이스로 개편할 것인데 사실 이 틀의 개편후는
바트조덴은 "독일 헤센주"로 수정했습니다. 넘겨주기 형태 같은건 어디서 확인해야하죠? 일이 생각보다 큰일이라(미국괌부터 하는중인데 현재 뉴질랜드 타라나키까지 했습니다.) 다할 엄두가 안나네요.아 그리고 특이한 경우인데 일어판에서는 왠만한 구형틀은 모듈로 대체되었으나(틀:위치 지도 대한민국식으로 된 틀, 모듈로 바뀌었으나) 확인된것중에 틀:위치 지도 나리타 국제공항은 그대로 두었더군요 모듈:location map에 구형틀도 넘겨주게 처리한 변수가 있었던게 이 이유같더군요. 121.133.40.84 (토론) 2022년 11월 23일 (수) 17:07 (KST)답변
지금 이 상태로 틀을 모듈에 연결시킬 경우 바트조덴 문서를 기준으로 보면 제 웹 브라우저에서는 모듈 적용 이전에는 표시되던 좌표가 문서 상에 표시되지 않고 있습니다. 문제 원인을 분석한 것은 아닙니다만 혹여나 제가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ted (토론) 2022년 12월 3일 (토) 18:18 (KST)답변
{{위치 지도/연습장|독일 헤센주
| 너비 = 200
| 위도도 = 50
| 위도분 = 8
| 위도초 = 32.75
| 남북 = N
| 경도도 = 8
| 경도분 = 30
| 경도초 = 59
| 동서 = E
}}
위치 지도(헤센주)
여기서 하니까 잘 작동하는거 같은데 만약에 안보이는거라면 틀:도시 정보의 문제같기도 합니다. 보니까 영어판에서는 바트조덴 문서에서 틀:취락 정보(틀:Infobox settlement)를 이용한 en:Template:Infobox German place을 쓰는데 location map(위치 지도) 틀을 일일이 입력할 필요없이 좌표값만 넣으면 알아서 지도가 자동으로 보여주는식이라고 하네요.(설명중에 No longer need a location map for each entry. By entering the geographical co-ordinates, a map is automatically displayed.)
저의 테스트에서 착오가 있었습니다. 문제가 없는 듯 하네요. 제가 혹시 고려하지 않은 기술 관련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토론에 기술 관련 의견을 내신 ChongDae님의 의견을 구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ted (토론) 2022년 12월 12일 (월) 14:42 (KST)답변
설명 문서(※틀:위치 지도#변수 설명)의 관련 내용을 보면, 설명=을 입력하면, 지도 설명이 없어야(=표시되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나 동작하지 않습니다. 한편, 영어로 caption=를 입력하면 동작합니다. 영어로 caption=을 입력하면 설명을 없앨 수야 있겠으나, 근본적인 해결은 아닙니다. 모듈(※모듈:Location map)에서 '설명'에 대한 정의가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잘못 정의되어 생기는 문제로 여겨지지만, 저는 적절히 고칠 수 있는 방법을 알지 못합니다. 수정할 수 있는 분께서 적절히 수정하여 동작할 수 있게 고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메이 (토론) 2023년 11월 6일 (월) 16:10 (KST)답변
if args['caption'] == "" or args['설명'] == "" then (560)
모듈:Location_map/sandbox 457번째 줄에서 Lua 오류: 경도값이 지정되지 않았습니다. 조건문이 두 번 반복되는데, 전 여기서 OR 조건문에 주목했습니다. 그런데 이 OR 조건이 정말로 이 문제의 핵심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일단 if문을 따로 작성하여 둘이 서로 다른 조건문임을 명시적으로 표시하고 이것이 해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설명='으로 argument를 설정했으나,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호로조 (토론) 2024년 1월 22일 (월) 06:34 (KST)답변
의견 말씀 고맙습니다. 다른 사용자가 해결 방안을 모색할 때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다만, 저는 잘 말씀주신 바를 토대로 관련 논의를 할 수 있는 수준은 못되기 때문에 무어라 더 의견을 내기가 어렵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양해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메이 (토론) 2024년 1월 22일 (월) 15:06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