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101 ~ 200호 목록
다음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1953년 11월 24일부터 1965년 3월 15일까지 결의된 101~200호 결의안의 목록이다.
결의 번호
|
결의일
|
투표 (찬성-반대-기권)
|
내용
|
101
|
1953-11-24
|
9–0–2 (기권: 레바논, 소련)
|
키비아 학살, 이스라엘의 휴전협정 위반
|
102
|
1953-12-3
|
10–0–1 (기권: 소련)
|
일본과 국제사법재판소
|
103
|
1953-12-3
|
10–0–1 (기권: 소련)
|
산마리노와 국제사법재판소
|
104
|
1954-6-20
|
11–0–0
|
1954년 과테말라 쿠데타
|
105
|
1954-7-28
|
투표 없이 결의
|
베네갈 나싱 라우의 사망과 국제사법재판소의 선거
|
106
|
1955-3-29
|
11–0–0
|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의 이집트군 공격 비난
|
107
|
1955-3-30
|
11–0–0
|
이집트와 이스라엘의 협력을 위한 정전감시기구의 호출
|
108
|
1955-9-8
|
11–0–0
|
팔레스타인에서의 무조건적인 정전에 대한 호소
|
109
|
1955-12-14
|
8–0–3 (기권: 벨기에, 중국, 미국)
|
알바니아, 요르단, 아일랜드, 포르투갈, 헝가리,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핀란드, 스리랑카, 네팔, 리비아, 캄보디아, 라오스, 스페인 가입
|
110
|
1955-12-16
|
9–1–1 (반대: 소련; 기권: 프랑스)
|
유엔 헌장 검토
|
111
|
1956-1-19
|
11–0–0
|
이스라엘과 시리아의 일반휴전조약
|
112
|
1956-2-6
|
11–0–0
|
수단 가입
|
113
|
1956-4-4
|
11–0–0
|
중동 휴전선의 긴장 감소
|
114
|
1956-6-4
|
11–0–0
|
중동 지역의 휴전협정 모임
|
115
|
1956-7-20
|
11–0–0
|
모로코 가입
|
116
|
1956-7-26
|
11–0–0
|
튀니지 가입
|
117
|
1956-9-6
|
11–0–0
|
재판관 수 모의 죽음과 국제사법재판소의 선거
|
118
|
1956-10-13
|
11–0–0
|
이집트와 수에즈 운하
|
119
|
1956-10-31
|
7–2–2 (반대: 프랑스, 영국; 기권: 오스트레일리아, 벨기에)
|
제2차 중동 전쟁을 유엔총회의 첫 긴급 특별총회에서 논의
|
120
|
1956-11-4
|
10–1–0 (반대: 소련)
|
헝가리 혁명을 두 번째 긴급 특별총회에서 통과
|
121
|
1956-12-12
|
11–0–0
|
일본 가입
|
122
|
1957-1-24
|
10–0–1 (기권: 소련)
|
JKNC에 대한 판결
|
123
|
1957-2-21
|
10–0–1 (기권: 소련)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의장의 인도 아대륙 방문
|
124
|
1957-3-7
|
11–0–0
|
가나 가입
|
125
|
1957-9-5
|
11–0–0
|
말라야 연방 (말레이시아) 가입
|
126
|
1957-12-2
|
10–0–1 (기권: 소련)
|
UN 대표의 인도, 파키스탄, 카슈미르 방문
|
127
|
1958-1-22
|
11–0–0
|
중동 지역의 비무장지대에 대한 참모본부장의 규제
|
128
|
1958-6-11
|
10–0–1 (기권: 소련)
|
아랍 연합 공화국의 레바논 간섭
|
129
|
1958-8-7
|
11–0–0
|
레바논에 대한 긴급 총회
|
130
|
1958-11-25
|
투표 없이 결의
|
재판관 호세 구스타보 게레로의 죽음과 국제사법재판소의 선거
|
131
|
1958-12-9
|
10–0–1 (기권: 프랑스)
|
기니 가입
|
132
|
1959-9-7
|
10–1–0 (반대: 소련)
|
북베트남 군대의 라오스 국경 침범
|
133
|
1960-1-26
|
11–0–0
|
카메론 가입
|
134
|
1960-4-1
|
9–0–2 (기권: 프랑스, 영국)
|
남아프리카의 샤프빌 학살과 아파르트헤이트 비난
|
135
|
1960-5-27
|
9–0–2 (기권: 폴란드, 소련)
|
안전 보장 이사회의 영구 회원들의 관계
|
136
|
1960-5-31
|
11–0–0
|
토고 공화국 (토고) 가입
|
137
|
1960-5-31
|
투표 없이 결의
|
재판관 헤르스 라우테르파트의 죽음과 국제사법재판소의 선거
|
138
|
1960-6-23
|
8–0–2 (기권: 폴란드, 소련)
|
아돌프 아이히만을 아르헨티나에서 이스라엘로 송환
|
139
|
1960-6-28
|
11–0–0
|
말리 연방 가입
|
140
|
1960-6-29
|
11–0–0
|
마다가스카르 공화국 가입
|
141
|
1960-7-5
|
11–0–0
|
소말리아 가입
|
142
|
1960-7-7
|
11–0–0
|
콩고 공화국 (콩고 민주 공화국) 가입
|
143
|
1960-7-17
|
8–0–3 (기권: 중국, 프랑스, 영국)
|
콩고 위기, 벨기에 군대의 철수 요구
|
144
|
1960-7-19
|
9–0–2 (기권: 폴란드, 소련)
|
미국-쿠바 관계
|
145
|
1960-7-22
|
11–0–0
|
콩고 위기, 벨기에 군대의 철수
|
146
|
1960-8-9
|
9–0–2 (기권: 프랑스, 이탈리아)
|
콩고 위기: 카탕가 주에 UN군 개입
|
147
|
1960-8-23
|
11–0–0
|
다호메이 공화국 (베냉) 가입
|
148
|
1960-8-23
|
11–0–0
|
니제르 가입
|
149
|
1960-8-23
|
11–0–0
|
오트 볼타 (부르키나파소) 가입
|
150
|
1960-8-23
|
11–0–0
|
코트디부아르 가입
|
151
|
1960-8-23
|
11–0–0
|
차드 가입
|
152
|
1960-8-23
|
11–0–0
|
콩고 공화국 가입
|
153
|
1960-8-23
|
11–0–0
|
가봉 가입
|
154
|
1960-8-23
|
11–0–0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가입
|
155
|
1960-8-23
|
11–0–0
|
키프로스 가입
|
156
|
1960-9-9
|
9–0–2 (기권: 폴란드, 소련)
|
도미니카 공화국의 트루이요 정권 제재
|
157
|
1960-9-17
|
8-2-1 (반대: 폴란드, 소련; 기권: 프랑스)
|
콩고 위기에 대한 긴급 총회
|
158
|
1960-9-28
|
11–0–0
|
세네갈 가입
|
159
|
1960-9-28
|
11–0–0
|
말리 가입
|
160
|
1960-10-7
|
11–0–0
|
나이지리아 가입
|
161
|
1961-2-21
|
9–0–2 (기권: 프랑스, 소련)
|
파트리스 루뭄바의 죽음과 콩고에서의 비 유엔군 철수
|
162
|
1961-4-11
|
8–0–3 (기권: 스리랑카, 소련, 아랍)
|
요르단-이스라엘 휴전 협정 결의
|
163
|
1961-6-9
|
9–0–2 (기권: 프랑스, 영국)
|
앙골라 독립 전쟁과 포르투갈
|
164
|
1961-7-22
|
10–0–0 (참석 후 불투표: 프랑스)
|
프랑스와 튀니지의 충돌
|
165
|
1961-9-26
|
11–0–0
|
시에라리온 가입
|
166
|
1961-10-25
|
9–0–1 (기권: 미국; 참석 후 불투표: 중국)
|
몽골 가입
|
167
|
1961-10-25
|
9–1–1 (반대: 아랍; 기권: 소련)
|
모리타니 가입
|
168
|
1961-11-3
|
11–0–0
|
사무총장 추천
|
169
|
1961-11-24
|
9–0–2 (기권: 프랑스, 영국)
|
콩고: 카탕가주의 분리운동과 유엔군에 대한 공격
|
170
|
1961-12-14
|
11–0–0
|
탕가니카 (탄자니아) 가입
|
171
|
1962-4-9
|
10–0–1 (기권: 프랑스)
|
갈릴래아호에서의 이스라엘과 시리아의 군사 활동 비난
|
172
|
1962-7-26
|
11–0–0
|
르완다 가입
|
173
|
1962-7-26
|
11–0–0
|
부룬디 가입
|
174
|
1962-9-12
|
11–0–0
|
자메이카 가입
|
175
|
1962-9-12
|
11–0–0
|
트리니다드 토바고 가입
|
176
|
1962-10-4
|
10–0–1 (기권: 중국)
|
알제리 가입
|
177
|
1962-10-15
|
11–0–0
|
우간다 가입
|
178
|
1963-4-24
|
11–0–0
|
포르투갈 군대의 세네갈 영토 침입
|
179
|
1963-6-11
|
10–0–1 (기권: 소련)
|
북예멘 내전
|
180
|
1963-7-31
|
8–0–3 (기권: 프랑스, 영국, 미국)
|
포르투갈 제국
|
181
|
1963-8-7
|
9–0–2 (기권: 프랑스, 영국)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군대 생성과 아파르트헤이트
|
182
|
1963-12-4
|
11–0–0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
183
|
1963-12-11
|
10–0–1 (기권: 프랑스)
|
포르투갈 영토
|
184
|
1963-12-16
|
11–0–0
|
잔지바르 가입
|
185
|
1963-12-16
|
11–0–0
|
케냐 가입
|
186
|
1964-3-4
|
11–0–0
|
사이프러스의 평화유지군 제안
|
187
|
1964-3-13
|
11–0–0
|
유엔 키프로스 평화유지군
|
188
|
1964-4-9
|
9–0–2 (기권: 영국, 미국)
|
영국의 예멘 공격과 남아라비아 연방의 영공 침해
|
189
|
1964-6-4
|
11–0–0
|
남베트남 군대의 캄보디아 공격
|
190
|
1964-6-9
|
7–0–4 (기권: 브라질, 프랑스, 영국, 미국)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리보니아 재판
|
191
|
1964-6-18
|
8–0–3 (기권: 체코슬로바키아, 프랑스, 소련)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
192
|
1964-6-20
|
11–0–0
|
키프러스의 평화유지군 3개월 연장
|
193
|
1964-9-25
|
9–0–2 (기권: 체코슬로바키아, 소련)
|
키프러스 폭격 중지를 위해 터키 소환
|
194
|
1964-9-25
|
11–0–0
|
키프러스의 평화유지군 3개월 연장
|
195
|
1964-10-9
|
11–0–0
|
말라위 가입
|
196
|
1964-10-30
|
11–0–0
|
몰타 가입
|
197
|
1964-10-30
|
11–0–0
|
잠비아 가입
|
198
|
1964-12-18
|
11–0–0
|
키프러스의 평화유지군 3개월 연장
|
199
|
1964-12-30
|
10–0–1 (기권: 프랑스)
|
콩고 간섭 중지를 위해 미국 소환
|
200
|
1965-3-15
|
11–0–0
|
감비아 가입
|
같이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