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는 6년 임기의 제9대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로 1973년 2월 27일에 치러졌다. 각 지역구에서 1구 2인의 국회의원을 뽑는 중선거구제를 통한 직접선거로 146명을 선출하였다. 간접선거로 선출된 유신정우회 소속 73명을 포함하여 대한민국 제9대 국회 의원은 모두 219명이다. 경과선거방식유신헌법에 따라 국회의원 1/3을 대통령이 임명하고, 1선거구에서 2인씩 선출하는 중선거구제로 하여 전국을 73개 선거구로 나누고, 국회의원 정수는 선거구 선출 146명, 의원정수의 1/3인 통일주체국민회의 선출 73명으로 모두 219명으로 하였다. 유신 정권은 또한 여촌야도라는 전통적인 선거경향에서 승리가 어렵다고 판단하여 도시선거구를 45개에서 17개로 줄이고, 농촌선거구를 도시선거구와 통합시키는 게리맨더링 선거구를 확정하기도 하였다. 입후보지역구에 339명으로 평균경쟁률 2.3:1의 비교적 저조한 경쟁률을 나타냈다. 저조한 경쟁률의 원인은 유신정권으로 정치적 자유가 위축되고 출마 자체도 자유롭지 못한 상황 때문이었다. 선거운동야당인 신민당은 유신 정권의 영향으로 제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 ‘민주 헌정의 지향’, ‘불법 부당한 침해로부터의 민권 보장’ 같이 극히 추상적인 공약들이 신민당이 낼 수 있는 목소리 강도의 상한선이었다.[1] 선거투표율은 72.9%로 제8대보다 0.3% 낮았으며, 이는 역대 선거에 비하면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선거결과민주공화당은 집권당의 위력과 중선거구제의 수혜를받아 지역구 의원정수의 50%에 해당하는 73명을 확보했다. 신민당이 52명으로 35.6%를 민주통일당이 2명으로 1.4%를, 그리고 무소속이 19명으로 13.0%였다. 정당별 지역구득표율에 있어서는 민주공화당의 득표총수가 유효투표총수의 38.7%로 73명의 당선자를 내었고, 이는 의원정수의 33.3%를 차지하는 것이지만, 대통령의 지명에 의하여 선출되는 유정회를 합치면 여당의 당선율은 66.7%에 이른다. 이어서 신민당이 32.5%로 의원정수의 23.7%에 해당하는 52석을 획득하였다. 민주통일당이 10.2%로 2명을 당선시켜 가장 저조하였다. 선거 정보
투표율
선거 결과
지역별 지역구 의원 수
대통령 추천제 국회의원 선출제1기 대통령 추천제 국회의원 선출1973년 3월 7일,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들은 박정희 대통령이 추천한 국회의원 73명과 예비후보 14명을 찬반투표를 통해 선출하였다. 출석 대의원 수는 2,354명이었으므로 통과에는 과반인 1,178표가 필요했다.[2]
대통령 추천제 의원 당선자 73명 중 18명은 공화당 당적자, 2명은 신민당 당적자, 53명은 무당적자였다.[3] 그러나 당적 보유 당선자들은 모두 개원 전체 소속 정당을 탈당하고 유신정우회에 가입하였다. 제2기 대통령 추천제 국회의원 선출1976년 2월 16일, 통일주체국민회의는 박정희 대통령이 추천한 국회의원 73명과 예비후보 5명을 두고 찬반투표를 진행, 압도적인 찬성으로 통과시켰다. 출석 대의원 수는 2,289명이었으므로 통과에는 1,145표가 필요했다.[4]
당선자지역구통일주체국민회의 선출
전반기
후반기
각주
참고 자료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