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 2022년
2025년 6월 3일
2030년 →

 
후보 이재명 김문수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선거전 대통령

이주호 (권한대행)
무소속

대통령 당선자

TBD

제21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전역 – 2025-06-03
앞으로 22
현지 시각
(새로 고침)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대한민국의 제21대 대통령을 선출하는 대한민국의 대통령 선거이다. 제20대 대통령 윤석열의 임기가 정상적으로 만료되는 경우 2027년 3월 3일에 실시될 예정이었으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에 따른 대통령직 궐위로 2025년 6월 3일에 조기 대선이 실시될 예정이다.

2024년 12월 7일 국회가 1차 표결할 당시, 정원 300명중 195명만 참여해 정족수 미달로 인해서 투표 불성립으로 처리되었지만, 2024년 12월 14일 2차 표결에는 대한민국 국회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가결했고, 2025년 4월 4일에 대한민국 헌법재판소탄핵소추안을 인용하고 윤석열을 파면하면서 조기 대선이 확정되었다. 선거일은 2025년 4월 8일에 열린 국무회의에서 2025년 6월 3일로 확정되었다.[1]

선거 정보

대통령 선거의 후보자 중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이나 기초지방자치단체장의 경우 선거법에 따라 선거일 이전에 공직에서 사임해야 한다.

이번 대통령 선거의 당선자는 선거 이후 다음날 2025년 6월 4일에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없이 바로 취임하며 탄핵을 비롯한 불미스러운 일이 없는 한, 2030년 6월 3일까지 앞으로 5년 동안 대한민국 대통령직을 수행을 할 예정이다. 이번 대선은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6월에 치뤄지며 장미 대선이 된다.

이번 대선에는 선거법에 따라 선거권이 2007년 6월 4일생까지 주어지며 피선거권은 1985년 6월 3일생까지 새로 주어진다.

선거 일정

이번 선거의 일정은 다음과 같다.[2]

  • 2025년 4월 4일 (금)부터: 예비후보자등록 신청
  • 2025년 4월 4일 (금)부터 2025년 6월 3일(화)까지: 의정활동 보고 금지 /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 금지
  • 2025년 4월 9일 (수)까지: 인구수 등의 통보 / 각급선관위 위원, 예비군 중대장급 이상의 간부, 주민자치위원, 통·리·반의 장이 선거사무관계자 등이 되려는 때 그 직의 사직
  • 2025년 4월 14일 (월)까지: 예비후보자홍보물 발송수량 공고 / 선거비용제한액 공고·통지
  • 2025년 4월 24일 (목)까지: 국외부재자 신고 및 재외선거인 등록(변경)신청
  • 2025년 4월 30일 (수)부터 2025년 5월 4일(일)까지: 국외부재자신고인명부 및 재외선거인명부 작성
  • 2025년 5월 4일 (일): 재외선거인명부등 확정
  • 2025년 5월 4일 (일)까지: 입후보제한을 받는 자의 사직(국회의원 제외)
  • 2025년 5월 6일 (화)부터 2025년 5월 10일(토)까지: 선거인명부 작성 / 거소·선상투표신고 및 거소·선상투표신고인명부 작성 / 군인 등 선거공보 발송신청
  • 2025년 5월 10일 (토)부터 2025년 5월 11일(일)까지: 후보자등록 신청 (매일 오전 9시 ~ 오후 6시)
  • 2025년 5월 11일 (일): 거소·선상투표신고인명부 확정
  • 2025년 5월 12일 (월): 선거기간개시일
  • 2025년 5월 12일 (월)부터 2025년 6월 2일(월)까지: 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대담·토론회 개최
  • 2025년 5월 14일 (수)까지: 선거벽보제출
  • 2025년 5월 17일 (토)까지: 선거벽보 첩부 / 책자형 선거공보 제출
  • 2025년 5월 20일 (화)까지: 책자형 선거공보 발송(매세대)
  • 2025년 5월 20일 (화)부터 2025년 5월 25일(일)까지: 재외투표소 투표 (매일 오전 8시 ~ 오후 5시)
  • 2025년 5월 21일 (수)까지: 전단형 선거공보 제출
  • 2025년 5월 22일 (목)에: 선거인명부 확정
  • 2025년 5월 24일 (토)까지: 투표소의 명칭과 소재지 공고 / 거소투표용지 발송(책자형 선거공보, 거소투표안내문 동봉) / 투표안내문(전단형 선거공보 동봉) 발송
  • 2025년 5월 26일 (월)부터 2025년 5월 29일(목)까지: 선상투표
  • 2025년 5월 29일 (목)부터 2025년 5월 30일(금)까지: 사전투표소 투표 (매일 오전 6시 ~ 오후 6시)
  • 2025년 5월 29일 (목)까지: 개표소 공고
  • 2025년 6월 3일 (화): 투표 (오전 6시 ~ 오후 8시) / 개표 (투표종료후 즉시)
  • 2025년 6월 23일 (월)까지: 선거비용 보전청구
  • 2025년 7월 14일 (월)까지: 정치자금 회계보고서 등 제출
  • 2025년 8월 12일 (화)이내: 선거비용 보전

후보자

더불어민주당
이름 이재명
기호 기호 1번
사진
이전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2022–2025)
출생 1963년 12월 8일 (만61세)
캠프 진짜 대한민국 선거대책위원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0길 23 용산빌딩 2층)

표어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

4월 10일 유튜브를 통해 출마를 선언했으며,[3] 4월 27일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

5월 9일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 사회민주당, 기본소득당 5개 원내 정당이 국회 더불어민주당 당대표실에서 '광장 대선연합 정치 시민연대-제정당 연석회의'를 열고 '우리는 내란의 완전한 종식과 압도적 정권교체를 위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광장대선후보로 선정하고 지지를 선언한다'는 공동선언문을 발표하였고, 조국혁신당, 사회민주당, 기본소득당은 후보를 선출하지 않았으며 진보당의 후보로 선출된 김재연 후보는 사퇴했다.[4]

탈락

국민의힘
이름 김문수
기호 기호 2번
사진
이전 고용노동부 장관(2024–2025)
출생 1951년 9월 27일 (만73세)
캠프 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0길 19 대하빌딩 6층)

표어 새롭게 앞으로 위대한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장관을 사직하고 국민의힘에 입당해, 4월 9일 국회 소통관에서 출마를 선언하였으며,[7][8] 5월 3일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 국민의힘 지도부가 국민의힘 후보 경선을 거친 그에게 한덕수와의 단일화를 압박하는 가운데 단일화를 위한 한덕수와 두 차례의 회동을 가졌으나 모두 결렬되었다. 또, 5월 9일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당 지도부는 현재까지도 저 김문수를 끌어내리고, 무소속 후보를 우리당의 대통령 후보로 만들기 위해 온갖 불법·부당한 수단을 동원하고 있습니다"라고 발언하였다.

2025년 5월 10일 '김문수 후보 기습 교체 사건'으로 인해 후보에서 제외되었으며 그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자격은 사실상 박탈되었다.[9] 그러나 5월 10일 새벽 1시쯤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진행한 전 당원 대상 ARS조사에서 '한덕수로 후보 변경' 안건이 부결되어 김문수가 국민의힘 후보 자격을 즉시 회복했다. 그리고 대선 후보 등록 마지막 날인 11일 김문수가 오전 경기도 과천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찾아 직접 후보 등록을 했다.[10] (자세한 내용은 김문수 (정치인)#21대 대선 참고)


교체 실패

2025년 5월 10일 '김문수 후보 기습 교체 사건'으로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등록되었다.[11] 5월 10일 새벽 1시쯤 국민의힘에서 김문수를 선출 취소하고 한덕수 입당 및 후보등록를 진행한다는 속보가 나왔다.[12] 국민의힘은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당헌 제74조의2 및 대통령후보자선출규정 제29조 등에 따라 김문수 후보의 선출이 취소되었다고 공고했다.[13]

이후 새벽 2시쯤 국민의힘 홈페이지 공지에 대통령 후보자 선거 후보자 등록 신청 공고가 게시되었다. 이 공지에는 제출 기간은 당일 새벽 3시부터 새벽 4시까지 총 1시간으로, 32종의 서류를 국회 본관 228호로 현장 제출하라고 공고하여[14] 사실상 날치기가 발생하였다.[15] 국민의힘 지도부(권영세, 권성동 등)가 당헌 제74조의 2 특례 규정의 내용 '상당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대선후보 선출에 관한 사항을 비상대책위원회의 의결로 정할 수 있다'에서 후보 등록 전 단일화를 요구한 당원의 의견이 87%에 달한 것이 '상당한 사유'라고 봤다는 것이다.[16]

이에 배현진 의원은 경선을 통해 최종 선출된 후보를 모두 잠든 새벽에 기습 취소시키고 새벽 3시~4시, 단 1시간 만에 저 어마무시한 양의 서류들을 준비해 새 후보로 등록하라는 말도 안 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박정훈 의원은 후보 신청 시간을 새벽 3시부터 4시까지 1시간으로 제한한 건 누가 봐도 미리 준비하고 있던 한덕수 후보를 위한 규정이며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로 신청시간이 규정돼 있는 당규 위반이라고 지적했다.[17]

그러나 5월 10일 새벽 1시쯤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진행한 전 당원 대상 ARS조사에서 '한덕수로 후보 변경' 안건이 부결되어 김문수가 국민의힘 후보 자격을 즉시 회복했다. (자세한 내용은 김문수 (정치인)#제21대 대선 참고)

탈락

개혁신당
이름 이준석
기호 기호 4번
사진
이전 제22대 국회의원(2024~)
출생 1985년 3월 31일 (40세)
캠프 개혁신당 제21대 대통령 선거 선거대책위원회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423 한승빌딩 1층)

표어 압도적 새로움

2월에 일찍 출마 선언을 하였다. 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앞서 진행한 후보 경선에서 단독 입후보해, 3월 18일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25]


단일화

4월 19일 김재연 후보를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확정했다.[26] 5월 9일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 사회민주당, 기본소득당 등 5개 원내 정당이 국회 더불어민주당 당대표실에서 '광장 대선연합 정치 시민연대-제정당 연석회의'를 열고 '우리는 내란의 완전한 종식과 압도적 정권교체를 위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광장대선후보로 선정하고 지지를 선언한다'는 공동선언문을 발표하였고, 김재연 후보는 사퇴했다.[4]

민주노동당

이름 권영국
기호 기호 5번
사진
이전 민주노동당 당대표 (2024~)
출생 1963년 8월 15일 (61세)
캠프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3길 55 이앤씨벤처드림타워2차 1011호)
표어 정권교체를 넘어, 사회대전환

차별 없는 나라, 함께 사는 대한민국

4월 14일 출마를 선언했으며[27], 4월 30일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


불출마

2025년 4월 28일 출마를 선언했으나[28] 5월 10일 21대 대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그러면서 "다른 사람의 선거를 돕지도 않겠다"고 하며 사실상 '반이재명 빅텐트' 참여에 선을 그었다.[29]


자유통일당

이름 구주와
기호 기호 6번
사진
이전
출생 1980년 1월 23일 (45세)
캠프
표어 광화문 정신! 젊은 대통령


이름 황교안
기호 기호 7번
사진
이전 국무총리 (2015~2017)
출생 1957년 4월 15일 (68세)
캠프 비젼 캠프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45길 19 복조빌딩 3층)

표어 초일류 정상국가 국민과 함께 황교안과 함께
비고 4월 9일 출마를 선언했다.[30]
이름 송진호
기호 기호 8번
사진
이전
출생 1968년 3월 28일 (57세)
캠프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26길 61 에이스하이앤드2차 1302호)

표어 해결사 정답만을 말씀드립니다!
비고

여론조사

선거전

2025년
항목
기타 없다
김문수 안철수 오세훈 유승민 한동훈 홍준표 김동연 이재명 이준석 이낙연 우원식 조국 한덕수
3월 3주 9% - 4% - 4% 3% - 36% 1% - - - 5% 37%
3월 4주 8% 1% 3% - 5% 3% - 34% - - - 2% 6% 37%
4월 1주 9% - 2% - 5% 4% - 34% 1% 1% - 1% 5% 38%
4월 2주 9% 2% 2% 1% 4% 5% - 37% 2% 1% - - 2% 4% 30%
4월 3주 7% - - - 6% 7% - 38% 2% - - - 7% 7% 26%
4월 4주 6% 2% - - 8% 7% 1% 38% 2% 1% - 1% 6% 3% 23%
항목
기타 모름/무응답 없다
김문수 나경원 안철수 오세훈 유승민 한동훈 홍준표 김경수 김동연 김부겸 이재명 이준석 한덕수
3월 3주 10% 3% 5% 2% 4% 5% 0% 2% 1% 33% 2% 2% 6% 25%
3월 4주 8% 2% 5% 2% 5% 6% 1% 2% 1% 31% 1% 1% 6% 28%
4월 1주 9% 2% 4% 2% 4% 4% 0% 2% 1% 33% 1% 1% 8% 28%
4월 2주 12% 2% 5% 2% 5% 7% 1% 1% 4% 32% 1% 2% 6% 21%
4월 3주 8% 2% 3% 6% 8% 1% 2% 39% 3% 3% 5% 18%
4월 4주 10% 2% 3% - - 8% 10% 1% 2% - 41% 3% 2% 4% 14%
5월 1주 6% - - - - 9% - - - - 42% 2% 13% 10% 7% 11%
5월 2주 12% - - - - - - - - - 43% 5% 23% 2% 5% 10%

후보자 TV 토론회

투표율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TBA
김문수 국민의힘
TBA
이준석 개혁신당
TBA
권영국 민주노동당
TBA
구주와 자유통일당
TBA
황교안 무소속
TBA
송진호 무소속
TBA
합계

지역별 결과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TBA
김문수 국민의힘
TBA
이준석 개혁신당
TBA
권영국 민주노동당
TBA
구주와 자유통일당
TBA
황교안 무소속
TBA
송진호 무소속
TBA
합계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TBA
김문수 국민의힘
TBA
이준석 개혁신당
TBA
권영국 민주노동당
TBA
구주와 자유통일당
TBA
황교안 무소속
TBA
송진호 무소속
TBA
합계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TBA
김문수 국민의힘
TBA
이준석 개혁신당
TBA
권영국 민주노동당
TBA
구주와 자유통일당
TBA
황교안 무소속
TBA
송진호 무소속
TBA
합계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TBA
김문수 국민의힘
TBA
이준석 개혁신당
TBA
권영국 민주노동당
TBA
구주와 자유통일당
TBA
황교안 무소속
TBA
송진호 무소속
TBA
합계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TBA
김문수 국민의힘
TBA
이준석 개혁신당
TBA
권영국 민주노동당
TBA
구주와 자유통일당
TBA
황교안 무소속
TBA
송진호 무소속
TBA
합계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TBA
김문수 국민의힘
TBA
이준석 개혁신당
TBA
권영국 민주노동당
TBA
구주와 자유통일당
TBA
황교안 무소속
TBA
송진호 무소속
TBA
합계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TBA
김문수 국민의힘
TBA
이준석 개혁신당
TBA
권영국 민주노동당
TBA
구주와 자유통일당
TBA
황교안 무소속
TBA
송진호 무소속
TBA
합계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TBA
김문수 국민의힘
TBA
이준석 개혁신당
TBA
권영국 민주노동당
TBA
구주와 자유통일당
TBA
황교안 무소속
TBA
송진호 무소속
TBA
합계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TBA
김문수 국민의힘
TBA
이준석 개혁신당
TBA
권영국 민주노동당
TBA
구주와 자유통일당
TBA
황교안 무소속
TBA
송진호 무소속
TBA
합계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TBA
김문수 국민의힘
TBA
이준석 개혁신당
TBA
권영국 민주노동당
TBA
구주와 자유통일당
TBA
황교안 무소속
TBA
송진호 무소속
TBA
합계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TBA
김문수 국민의힘
TBA
이준석 개혁신당
TBA
권영국 민주노동당
TBA
구주와 자유통일당
TBA
황교안 무소속
TBA
송진호 무소속
TBA
합계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TBA
김문수 국민의힘
TBA
이준석 개혁신당
TBA
권영국 민주노동당
TBA
구주와 자유통일당
TBA
황교안 무소속
TBA
송진호 무소속
TBA
합계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TBA
김문수 국민의힘
TBA
이준석 개혁신당
TBA
권영국 민주노동당
TBA
구주와 자유통일당
TBA
황교안 무소속
TBA
송진호 무소속
TBA
합계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TBA
김문수 국민의힘
TBA
이준석 개혁신당
TBA
권영국 민주노동당
TBA
구주와 자유통일당
TBA
황교안 무소속
TBA
송진호 무소속
TBA
합계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TBA
김문수 국민의힘
TBA
이준석 개혁신당
TBA
권영국 민주노동당
TBA
구주와 자유통일당
TBA
황교안 무소속
TBA
송진호 무소속
TBA
합계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TBA
김문수 국민의힘
TBA
이준석 개혁신당
TBA
권영국 민주노동당
TBA
구주와 자유통일당
TBA
황교안 무소속
TBA
송진호 무소속
TBA
합계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 정당 득표 득표율 당락 비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TBA
김문수 국민의힘
TBA
이준석 개혁신당
TBA
권영국 민주노동당
TBA
구주와 자유통일당
TBA
황교안 무소속
TBA
송진호 무소속
TBA
합계

각주

  1. 강연섭 (2025년 4월 8일). “정부, 21대 대통령 선거 6월 3일 확정‥임시공휴일 지정”. 2025년 4월 8일에 확인함. 
  2. 운영자 (2025년 4월 8일). “2025. 6. 3.(화) 실시 제21대 대통령선거 선거사무일정표 게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3. 김지인 (2025년 4월 10일). “이재명, 대선 출마 공식 선언 "진짜 대한민국 만들 것". 2025년 4월 10일에 확인함. 
  4. 기자, 박정연 (2025년 5월 9일). “이재명, 조국혁신당·진보당 등 원내 5개정당 단일후보로…김재연도 사퇴”. 2025년 5월 11일에 확인함. 
  5. 《김동연, 인천공항서 대선 출사표…"정권교체 이상의 교체 필요"(종합)》, 연합뉴스, 2025년 4월 9일, 2025년 4월 9일에 확인함 
  6. 《"내란 종식 완성은 개헌"…김경수, 대선 출마 공식화》, 뉴스토마토, 2025년 4월 13일, 2025년 4월 17일에 확인함 
  7. 《김문수, 대선 출마 선언…"깨끗한 제가 피고인 이재명 이긴다"》, 연합뉴스, 2025년 4월 9일, 2025년 4월 9일에 확인함 
  8. 조문규 (2025년 4월 10일). “한동훈 "서태지처럼 시대 바꾸는 대통령 될 것" 대선출마 선언”. 2025년 4월 10일에 확인함. 
  9. “제21대 대통령후보자 선거 후보 등록 공고”. 2025년 5월 10일에 확인함. 
  10. “김문수, 대선 후보등록…"반드시 당선돼 위대한 나라 만들겠다". 2025년 5월 11일에 확인함. 
  11. “제21대 대통령후보자 선거 후보 등록 공고”. 2025년 5월 10일에 확인함. 
  12. 이유미. “[속보] 국힘 "김문수 후보 선출 취소·한덕수 입당 및 후보등록 진행". 2025년 5월 10일에 확인함. 
  13.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후보자 선출 취소 공고”. 2025년 5월 10일에 확인함. 
  14.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후보자 선거 후보자 등록 신청 공고”. 2025년 5월 10일에 확인함. 
  15. 선임기자, 박태훈. "계엄해제 아닌 후보해제" "새벽 3~4시, 1시간 후보신청?" "사기극"…비난 비아냥”. 2025년 5월 10일에 확인함. 
  16. 이해준 (2025년 5월 10일). “[속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재선출 절차 돌입”. 2025년 5월 10일에 확인함. 
  17. 선임기자, 박태훈. "계엄해제 아닌 후보해제" "새벽 3~4시, 1시간 후보신청?" "사기극"…비난 비아냥”. 2025년 5월 10일에 확인함. 
  18. https://www.yna.co.kr/view/AKR20250411092000001.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19.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63456.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20. “이철우, 대선 출마선언 "내가 바로 새로운 박정희". 2025년 4월 9일. 2025년 4월 10일에 확인함. 
  21. "개헌·개혁·민생 대통령 되겠다" 유정복 대선 출마 선언”. 2025년 4월 9일. 2025년 4월 10일에 확인함. 
  22. 《안철수, 네번째 대권도전 선언…"이재명 넘을 유일한 후보"(종합)》, 연합뉴스, 2025년 4월 8일, 2025년 4월 9일에 확인함 
  23.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50414/131409166/1.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24.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613.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25. 《개혁신당, 조기대선 시 대선 후보에 이준석 선출》, 뉴시스, 2025년 3월 18일, 2025년 4월 9일에 확인함 
  26. “진보당 '대선후보' 김재연…"최초의 '페미니스트 대통령' 될 것". 2025년 5월 11일에 확인함. 
  27. https://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3118860.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28. http://www.namdo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17958.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29. 뉴스, SBS (2025년 5월 10일). “이낙연 "대선 불출마…다른 사람 선거 돕지도 않겠다". 2025년 5월 10일에 확인함. 
  30.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대선 출마 선언”. 2025년 4월 10일. 2025년 4월 10일에 확인함.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