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703,669개와 활동적 사용자 1,795명과 함께하는 우리 모두가 만들어가는 자유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위키백과는 백과사전을 만드는 프로젝트입니다. 각종 사용법과 규칙이 어려울 수 있지만, 차근차근 익히며 과감하게 기여하세요.
위키백과에서는 여러 정책과 지침이 존재합니다. 정책은 모든 사용자가 지켜야 할 규범이고, 지침은 모범 사례들을 모은 것입니다. 정책과 지침을 따르는 것은 위키백과의 활동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며, 다른 사용자들과 쉽게 협동하는 방법입니다. 모든 정책과 지침을 꼭 읽을 필요는 없지만, 위키백과의 다섯 원칙은 읽어 둘 가치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문서 훼손은 되돌려질 것이며 위키백과의 정책과 지침을 반복 또는 심하게 위반하였다고 판단되면 차단을 당하실 수 있습니다.
네 반갑습니다. 저는 한국어 사용자 도성전 입니다. 방명록 대신 토론에서 인사 드리게 되었네요. 서로 협의하며 잘할수 있기를 바랍니다. 편집 올해에 아이피 포함해서 계정은 1050회 정도 가까이 했고 아이피는 8000회 가까이 됩니다. 9000회 편집 이라고 보셔도 될거 같아요. 도성전 (토론) 2020년 8월 21일 (금) 14:28 (KST)답변
설명문서를 참조하여 보통의 경우에는 '삭제 신청 틀'만 추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넘겨주기 문서는 {{삭제 신청}} 틀이 문서의 가장 위에 붙으면, 더 이상 넘겨주기가 작동하지 않는 점도 이후에 참고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메이 (토론) 2020년 8월 31일 (월) 11:29 (KST)답변
제가 이 댓글을 뒤늦게 보았습니다. 저는 관리자이기 때문에 삭제를 직접 진행하며, 삭제 신청 틀을 추가하는 일은 없습니다. (있다고 하더라도 극히 예외 케이스이겠지만 기억 상으로 근래에 그러한 일은 한 적이 없습니다) 사실을 왜곡하지 마시고, 제가 삭제 신청만 달아놓는다는 증거를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ted (토론) 2020년 11월 22일 (일) 07:32 (KST)답변
틀의 설명문서 및 정책 문서(위키백과:삭제 정책#삭제 신청)를 참고하여 보통의 경우에는 '삭제 신청 틀'만 추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넘겨주기 문서는 {{삭제 신청}} 틀이 문서의 가장 위에 붙으면, 더 이상 넘겨주기가 작동하지 않는 점도 이후에 참고를 부탁드립니다. 문서 내용을 그대로 놔두시는 편이 사용자가 문서 상황 및 편집 역사 등을 확인하고, 판단 및 처리하기가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외래어 표기법 '제4장.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에 따르면 시군구, ~산, ~시, ~씨 등 띄어쓰기는 지양하고 붙여쓰기로 개정된지 몇년되었습니다. 그리고 한자이름을 띄어쓰기하는건 한국어 문법에 적용되는 것이지 일본어 문법이 적용되는 일본어 이름에는 적용하지 않습니다. 이에따라 띄어쓰기 지양하길 바랍니다. Yoyoma88 (토론) 2020년 10월 31일 (토) 09:47 (KST)답변
위키공용분류 문서가 없는 문서에 위키공용분류 틀을 남기는건 향후에 해당문서의 위키공용분류를 직접 만드실 의향이신가요? 그러시다면 먼저 만들어주시면 세부 사항을 첨가할 의사는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아직 위키공용분류 문서를 만든 이력이 없기에 처음부터 도움을 드리기는 힘들것 같습니다. Yoyoma88 (토론) 2020년 11월 4일 (수) 14:32 (KST)답변
Yoyamo88 답변 답변드립니다. 위키공용분류는 추후 계획중입니다. 현재는 위키백과:업로더(현재 위키미디어 공용 업로드 및 새 버전 파일 업로드)와 위키백과:되돌리기(계획) 권한도 얻을려고 하고 있으나 직접 만드는 문서도 있을거예요. 전체는 힘들고 위키공용쪽은 업로더, 사진 분류 추가만 하고 있고 문서 분류 추가는 계획만 하고 있습니다. --도성전 (토론) 2020년 11월 4일 (수) 19:27 (KST)답변
사용자 문서 및 연습장 삭제 기능을 도입해주세요.
위키백과를 하면서 사용자 문서는 현재는 만들지 않았지만 활동을 계속하고 있지만
12월 지나고 만들 계획이 있으나 계획은 취하될수 있습니다.
가몬 목록을 편집할려고 연습장을 만들었는데 자신이 만든 문서나
연습장 같은 경우는 삭제 기능이 필요하지 않나보구요.
장기인증 안된 사용자와 장기인증이 된 사용자에게 동시에 삭제 기능을 도입 혹은 추가할지
횟수 달성으로 장기인증이 된 사용자에게만 삭제 기능을 도입할지 조정을 요청합니다.
자신이 만든 사용자 문서나 연습장은 필요없을때 삭제할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성전 (토론) 2020년 11월 5일 (목) 05:10 (KST)답변
보통 문서들이 산 명칭 옆에 (서울특별시)를 (서울)로 하고 (부산광역시)를 (부산)으로 하고 (경상남도)는 (경남), (충청남도)는 (충남), (전라북도)는 (전북)이렇게 생성하거나 이동합니다. 다른 문서 표제어를 통합하기 위해서 이동하는 거예요. --도성전 (토론) 2020년 11월 18일 (수) 19:48 (KST)답변
설명문서를 참조하여 보통의 경우에는 '삭제 신청 틀'만 추가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넘겨주기 문서는 {{삭제 신청}} 틀이 문서의 가장 위에 붙으면, 더 이상 넘겨주기가 작동하지 않는 점도 이후에 참고를 부탁드립니다. 틀의 설명 문서 외에 정책 문서(위키백과:삭제 정책#삭제 신청)도 한 번 읽어보시고, 이후 참고를 바랍니다.
거듭 이와 관련하여 안내드린 바 있으며, 틀 사용 방법에 대한 이견이 있는 경우 정책 개정 등을 선행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관련 문서 등의 확인 및 이후 적절한 틀 사용을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메이 (토론) 2020년 11월 19일 (목) 06:22 (KST)답변
삭제 신청을 하는 경우, 문서의 본래 내용을 지워야 할 이유가 없습니다. 핵심은 저작권 등의 문제가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문서의 본래 내용은 그대로 놔두시고 삭제 신청 틀만 붙여 주세요이지, 어떠한 변수를 선택하느냐가 아닙니다. -- 메이 (토론) 2020년 11월 19일 (목) 06:34 (KST)답변
반면 유고슬라비아는 표가 따로 없습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을 세르비아-몬테네그로 문서로 통합을 해야한다고 봅니다.
국가 문서는 영어판이 정확하며 영어판을 한국어판에도 적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은 세르비아-몬테네그로 문서로 넘겨주기 처리하고
넘겨주기 한 이전 문서는 세르비아-몬테네그로 문서로 내용을 가져오는 방식으로 진행하면 되지 않을까요.
유고슬라비아는 반면 문서가 오래되었으니 구성국 틀은 생겼으나 유고슬라비아의 표가 없는게 단점입니다.
Yugoslavia 영어판 문서와 Serbia and Montenegro 문서를 유고슬라비아 문서와 세르비아-몬테네그로 문서
한국어판 문서만 분리가 된 것을 보고 요청드립니다. 218.236.209.93 (토론) 2020년 10월 15일 (목) 03:37 (KST)
의견 의견을 존중하나 영어판이 진실이냐 크로아티아어와 세르비아어가 진실이냐 이것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한국어판이 영어판을 문서로 사용하는지 유럽 방언을 문서로 사용하는지가 중요하거든요.
당사국 언어판도 맞는말입니다. 그렇지만 영어판도 고민거리가 필요합니다. 이거는 토론을 열어서 모든 위키러가 함께 중재를 해야되는 상황이고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문서가 영어판을 문서로 이용하는지 유럽 방언을 문서로 이용하는지가 숙제입니다. 문제는 영어판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통합한다는 말이죠. 유고슬라비아는 표를 따로 만들고 나무위키는 영어판을 문서 출처로 이용하는듯 한데 나무위키는 그래도 커뮤니티라 정확한건 아니지만 영어판이 좀더 정확하다고 생각하거든요. 당사국 언어판이랑 한국어판이랑은 위키백과에서 토론 합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거는 여기나 토론을 열어서 해결해야 합니다.
토론의 방해: 다른 계정으로 새로운 논지를 제시해 토론의 논점을 흐리거나, 토론 중 다중 계정으로 하여금 중립의 자세에 있는 것처럼 보이려는 행동 등 다중 계정을 통해 한 사용자가 한 사용자 이상의 영향력을 끼치는 행동은 금지됩니다. 다중 계정으로 같은 문서나 토론 페이지에 기여: 사용자가 둘 이상의 계정으로 같은 문서나 토론을 편집하여 여러 사람인 것처럼 보이게 함으로써 어떠한 이익을 얻으려고 하는 행동은 금지됩니다. 다른 사용자들의 감시를 회피하는 것: 기여 내역이 완벽하게 공개되지 않은 다중 계정을 이용하는 것은 다른 사용자들이 당신의 편집 규칙을 읽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