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2017 아랍에미리트 의 인구. 단위는 백만 명.
2020년 아랍에미리트의 인구 피라미드.
인구학적 동향
아랍에미리트는 지난 수년간 다양한 종교와 문화 배경을 가진 외국인의 유입으로 빠른 속도로 인구가 증가했다. 2005년 410만 명에서 2018년 950만 명으로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1] 이 중에 아랍 에미리트 시민은 11.5%에 불과하며, 나머지 88.5%는 외국인 노동자로 구성되어 있다. 외국인 중에서는 남아시아인이 59.4%(인도인 38.2%, 방글라데시인 9.5%, 파키스탄인 9.4%, 기타2.3%)로 가장 많았고, 나머지는 이집트인 이 10.2%, 필리핀인 6.1%, 그 외 기타 12.8%를 차지했다.[ 2]
여성 시민 및 비시민 인구는 전체 인구의 28%에 불과한데, 남성 외국인 노동자가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이다. 이 국가 인구의 절대 다수가 25-64세 노동 인구에 속하는데, 마찬가지로 이 연령대에 속한 외국인 노동자가 많기 때문일 것이다.[ 3]
또한 이 국가의 인구는 아부다비 (290만 명), 두바이 (270만 명), 샤르자 (140만 명) - 3개 토후국 등 무산담 반도 의 북동쪽 지역에 크게 집중되어 있으며, 인구의 75% 가까이가 거주하고 있다.[ 4] [ 5] [ 6]
인구 통계
연도별 인구 연도 인구 1963 95,000 — 1968 180,226 +13.66% 1975 557,887 +17.52% 1980 1,042,099 +13.31% 1985 1,379,303 +5.77% 1995 2,411,041 +5.74% 1999 2,938,000 +5.07% 2005 4,106,427 +5.74% 2010 8,264,070 +15.01% 2011 8,925,096 +8.00% 2012 9,205,651 +3.14% 2013 9,346,129[ 9] +1.53% 2016 9,269,610[ 9] −0.27% 2018 9,599,353[ 10] +1.76% 출처:[ 7] [ 8]
1976-현재 출생 및 사망 통계
연도
인구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
조출생률 (1000명당)
조사망률 (1000명당)
자연 증감률 (1000명당)
합계출산율
1976
646,900
21,394
33.1
1977
748,100
23,119
30.9
1978
852,200
27,645
32.4
1979
952,000
31,685
33.3
1980
1,042,000
34,774
33.4
1981
1,121,000
38,547
34.4
1982
1,190,000
41,961
35.3
1983
1,253,000
43,419
34.7
1984
1,318,000
43,704
33.2
1985
1,391,000
44,192
31.8
1986
1,472,000
45,460
3,222
42,238
30.9
2.2
28.7
1987
1,561,000
47,703
3,231
44,472
30.6
2.1
28.5
1988
1,656,000
50,836
3,447
47,389
30.7
2.1
28.6
1989
1,756,000
51,903
3,640
48,263
29.6
2.1
27.5
1990
1,860,000
52,264
3,938
48,326
28.1
2.1
26.0
1991
1,970,000
49,496
4,026
45,470
25.4
2.0
23.4
1992
2,087,000
50,604
4,271
46,333
24.2
2.0
22.2
1993
2,207,000
50,197
4,342
45,855
22.7
2.0
20.7
1994
2,329,000
52,440
4,584
47,856
22.5
2.0
20.5
1995
2,449,000
48,567
4,779
43,788
19.8
2.0
17.8
1996
2,571,000
47,050
4,785
42,265
18.3
1.9
16.4
1997
2,700,000
46,360
4,878
41,482
17.2
1.8
15.4
1998
2,838,000
48,136
5,033
43,103
17.0
1.8
15.2
1999
2,988,000
49,659
5,194
44,465
16.6
1.7
14.9
2000
3,155,000
53,686
5,396
48,290
17.0
1.7
15.3
2001
3,326,000
56,136
5,777
50,359
16.9
1.7
15.2
2002
3,507,000
58,070
5,994
52,075
16.6
1.7
14.9
2003
3,742,000
61,165
6,002
55,163
16.3
1.6
14.7
2004
4,088,000
63,113
6,123
56,990
15.4
1.5
13.9
2005
4,580,000
64,623
6,361
58,262
14.1
1.4
12.7
2006
5,242,000
62,960
6,483
56,477
12.0
1.2
10.8
2007
6,044,000
67,677
7,414
60,263
11.2
1.2
10.0
2008
6,894,000
68,779
7,755
61,024
9.9
1.1
8.8
2009
7,666,000
76,366
7,789
68,577
10.0
1.0
9.0
2010
8,271,000
79,625
7,414
72,211
9.6
0.9
8.7
2011
8,672,000
83,950
7,350
76,600
9.7
0.8
8.9
2012
8,900,000
89,578
7,702
81,876
10.1
0.9
9.2
2013
9,006,000
93,539
8,015
88,524
10.4
0.9
9.5
2014
9,071,000
95,860
8,265
87,595
10.6
0.9
9.7
2015
9,154,000
97,328
8,755
88,573
10.6
1.0
9.6
2016
9,121,200
98,299
8,988
89,311
10.8
1.0
9.8
2017
9,304,277
97,738
8,826
88,912
10.5
0.9
9.6
2018
9,366,828
95,309
8,794
86,515
10.2
0.9
9.3
2019
9,503,738
2020
9,282,410
[ 11]
1950-현재 유엔 추계
출처: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9[ 12] [ 13]
인구
인구
15세 미만 (%)
15–24세
(%)
25–64세
(%)
65세 이상
(%)
중위 연령 (세)
1950
69,588
42.3
18.6
35.8
3.4
18.9
1970
234,514
34.8
20.3
43.5
1.4
22.8
1990
1,828,432
31.1
15.7
52.0
1.2
26.0
2000
3,134,062
26.0
16.0
56.9
1.1
28.0
2005
4,588,225
18.3
16.1
64.7
0.9
29.7
2010
8,549,988
13.2
13.5
72.6
0.7
31.8
2015
9,262,900
14.2
10.7
74.2
0.9
32.6
2020
9,890,402
14.8
11.2
72.8
1.3
32.6
그 외 출생 및 사망 등 기타 통계
기간
출생아 수
(천 명)
사망자 수
(천 명)
자연 증감
(천 명)
조출생률
조사망률
합계출산율
영아 사망률
유아 사망률
출생 성비
인구 성장률
1950–1955
18
8
10
49.1
21.9
6.97
181
269
105
2.7
1965–1970
40
9
31
41.3
9.2
6.77
87
123
105
9.0
1985–1990
228
22
206
28.5
2.8
4.90
17
19
105
5.8
1995–2000
248
28
221
17.9
2.0
2.97
10
12
105
5.2
2000–2005
298
34
265
15.5
1.8
2.40
9
10
105
7.6
2005–2010
418
49
369
12.7
1.5
1.97
8
9
105
12.5
2010-2015
504
61
443
11.3
1.4
1.70
7
8
105
1.6
2015-2020
497
70
428
10.4
1.5
1.42
6
6
105
1.3
* 연평균 기준이며, 예외적으로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의 경우 연평균 기준이 아닌, 해당 기간 전체 수를 모두 합한 것임.
기대수명
1950-현재 출생시 기대수명
기간
기대수명
기간
기대수명
1950–1955
43.86
1985–1990
71.19
1955–1960
48.94
1990–1995
72.58
1960–1965
54.08
1995–2000
73.76
1965–1970
58.86
2000–2005
74.86
1970–1975
63.36
2005–2010
75.86
1975–1980
66.82
2010–2015
76.79
1980–1985
69.35
2015-2020
77.75
출처: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9[ 14]
유엔 인구 통계
출처: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9[ 12] [ 13]
아랍에미리트의 인구
1950
1970
1990
2000
2005
2010
2015
2018
2019
7만 명
↗ 23.5만 명
↗ 182.8만 명
↗ 313.4만 명
↗ 458.8만 명
↗ 855만 명
↗ 653.3만 명
↗ 926.3만 명
↗ 977.1만 명
1960-2017 아랍에미리트의 인구. 단위는 백만 명.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7)
2019년 유엔 인구 통계
총인구: 980만 명
15세 미만 인구: 14.7%
15~24세 인구: 11.8%
25~64세 인구: 72.4%
65세 이상 인구: 1.2%
노인 부양 가능 인구 (65세 이상 노인 1명당 25~64세 노동 인구): 62.5명
인구 성장률 : 1.3%
조출생률 (인구 1000명당): 10.2명
합계출산율 : 1.39명
조사망률 (인구 1000명당): 1.5명
영아사망률 (1살 미만 1000명당): 5명
유아사망률 (5세 미만 1000명당): 6명
출생시 기대수명 : 78.0세
성별 및 연령별 인구 구조
2017년 인구 피라미드
2005년 12월 5일 인구 조사
연령대
남성
여성
전체
%
전체
2 806 141
1 300 286
4 106 427
100
0-4
145 601
136 538
282 139
6.87
5-9
139 929
129 453
269 382
6.56
10-14
130 778
118 279
249 057
6.07
15-19
121 388
110 838
232 226
5.66
20-24
272 036
161 530
433 566
10.56
25-29
483 657
178 137
661 794
16.12
30-34
489 879
150 482
640 361
15.59
35-39
386 762
113 844
500 606
12.19
40-44
262 718
78 543
341 261
8.31
45-49
174 459
51 311
225 770
5.50
50-54
107 339
31 539
138 878
3.38
55-59
51 303
15 804
67 107
1.63
60-64
18 820
8 527
27 347
0.67
65-69
9 172
5 285
14 457
0.35
70-74
5 391
4 013
9 404
0.23
75-79
2 440
1 837
4 277
0.10
80-84
1 537
1 439
2 976
0.07
85+
1 250
1 165
2 415
0.06
불명
1 682
1 722
3 404
0.08
연령대
남성
여성
전체
%
0-14
416 308
384 270
800 578
19.50
15-64
2 366 679
898 833
3 265 512
79.52
65+
21 472
15 461
36 933
0.90
[ 15]
체류 외국인 현황
아랍에미리트 통계청은 국적별 인구 통계는 공표하지 않는다. 다음 자료는 각국 대사관에서 제공된 추정치에 해당한다.[ 16]
국적
인구
비율
기준 연도
인도
2,600,000
27.15%
2019
파키스탄
1,200,000
12.53%
2014
UAE
1,084,764
11.32%
2015
방글라데시
700,000
7.31%
2013
필리핀
525,530
5.49%
2014
이란 *
400,000 – 500,000
4.18% – 5.22%
N/A
이집트 *
400,000
4.18%
2014
네팔
300,000
3.13%
2014
스리랑카
300,000
3.13%
2015
시리아
>250,000[ 17]
≈2.6%
2016
영국
250,000
2.61%
2015
중국
200,000
2.09%
2015
요르단
200,000
2.09%
2015
아프가니스탄
150,000
1.57%
<2011
팔레스타인
150,000
1.57%
2009
유럽 연합
107,000
1.09%
2015
남아프리카 공화국
100,000
1.04%
2014
레바논 *
100,000
1.04%
2015
에티오피아
90,000
0.94%
2014
예멘
90,000
0.94%
2013
인도네시아
85,000
0.89%
2015
수단
75,000
0.78%
2013
사우디아라비아
70,000
0.73%
2014
소말리아
70,000
0.73%
2015
이라크
52,000
0.54%
2014
미국
50,000
0.52%
2015
캐나다
40,000
0.42%
2014
케냐
40,000
0.42%
2014
우간다
30,000
0.32%
2018
프랑스
25,000
0.26%
2015
오스트레일리아
16,000
0.17%
2015
독일
12,000
0.12%
2013
스페인
12,000
0.11%
2015
알제리
10,000
0.10%
2014
이탈리아
10,000
0.10%
2014
한국
10,000
0.10%
2014
태국
10,000
0.10%
2014
튀르키예
10,000
0.10%
2014
아제르바이잔
7,000
0.07%
2015
아이슬란드
7,000
0.07%
2015
말레이시아
6,000 – 7,000
0.06% – 0.07%
2015
콜롬비아
5,466
0.06%
2018[ 18]
카자흐스탄
5,000 – 6,000
0.05% – 0.06%
2015
그리스
5,000
0.05%
2015
모리타니
5,000
0.05%
2015
네덜란드
5,000
0.05%
2015
세르비아
5,000
0.05%
2015
우크라이나
5,000
0.05%
2014
스웨덴
4,000
0.04%
2015
덴마크
3,000 – 4,000
≈0.03%
2015
멕시코
3,000 – 3,500
≈0.03%
2014
벨기에
3,000
0.03%
2015
에리트레아
3,000
0.03%
2015
일본
2,603
≈0.03%
2015
도미니카 공화국
2,000-3,000
0.02% – 0.03%
2015
오스트리아
2,500
≈0.03%
2015
벨라루스
2,500
≈0.03%
2015
헝가리
2,500
≈0.03%
2015
스위스
2,430
≈0.03%
2013
폴란드
2,348
≈0.02%
2015
싱가포르
>2,000
≈0.02%
2015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000 – 2,000
0.01% – 0.02%
2015
체코 공화국
1,500
≈0.02%
2015
베네수엘라
1,200
≈0.01%
2015
노르웨이
1,184
≈0.01%
2015
핀란드
1,180
≈0.01%
2014
키프로스
1,000
≈0.01%
2014
슬로바키아
1,000
≈0.01%
2014
세네갈
700 – 800
< 0.01%
2015
가나
500
< 0.01%
2015
뉴질랜드
444
< 0.01%
2015
대만
400
< 0.01%
2015
라트비아
300
< 0.01%
2014
페루
300
< 0.01%
2015
칠레
270
< 0.01%
2014
알바니아
200 – 300
< 0.01%
2015
차드
200
< 0.01%
2015
슬로베니아
100 – 150
< 0.01%
2015
앙골라
100
< 0.01%
2015
짐바브웨
1
< 0.001%
2018
나이지리아
-1
> -0.001%
2020
* 이 국가들 수치의 경우, 직접적 출처는 대사관이 아닐 수도 있음.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