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토론:신뢰할 수 있는 출처 목록ㅇㅇㅇㅇ 출처로서의 블로그논의 중에 있지만, 신뢰성에 따른 분류는 할 수 있을 듯합니다.
개인 홈페이지의 경우도 같은 기준에서 다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jtm71 (토론) 2011년 8월 4일 (목) 04:32 (KST)
학술 전문 출판사
지역 신문, 지역 방송지역 언론 같은 경우는 지역 정보를 전하기 때문에 관련 문서에 대한 출처로 사용하기에 적당하리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위키백과 내 한국 지역 혹은 문화재와 관련된 문서가 많기 때문에 아무래도 서울에 본사를 둔 중앙 언론보다는 더 세세한 면을 다룰 수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하군요. --어쏭(소통의 공간) "11 P.M Sleep, 6 A.M Wake up" 2011년 8월 4일 (목) 08:38 (KST)
국민일보국민일보는 기독교 개신교계 신문입니다. 유독 종교나 그와 관련된 부분에서 편파적인 보도를 합니다. 따로 분류를 하던가 현재 목록에서의 수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토트(dmthoth) 2011년 8월 4일 (목) 12:33 (KST)
대략 보면 일정 기준이 있군요.종이신문으로 발행되는건 대체로 인정되는듯하고, 인터넷으로만 발행되는 언론은 믿기 어렵다는 인식이 형성되어 있는것같네요. 그냥 간단하게 "신문으로 발행되는 언론은 신뢰할수있고, 신문발행 안하는 언론은 신뢰하기 어려움"으로 요약해도 되지 않을까요? 그리고 메이저 언론이 신뢰할수 있다고 하더라도 맹점은 존재한다는점을 인식하는것도 중요합니다. 경향신문, 조선일보같은 언론들도 퀼리티가 확 떨어지는...... 연예인 미니홈피 퍼오는식의 10줄짜리 보도도 자주 하거든요. [1] [2] --1 (토론) 2011년 8월 4일 (목) 21:44 (KST)
다소 논란이 있는 출처이 문단에 이런 것도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정 종교나 기업, 재단에 속해있는 언론사가 사주와 밀첩한 관련이 있는 사안을 논할 때에는 출처 사용에 매우 '주의'해야합니다. 정도가 서술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토트(dmthoth) 2011년 8월 4일 (목) 22:56 (KST)
사실 언론사 뿐만 아니라 홍보 블로그, 보도자료도 마찬가지입니다. 기업이나 정부에서 홍보 사이트, 보도자료로 뭔가 발표하는 일이 많은데 그때마다 검증이 필요하죠. 그렇다고 보도자료를 인용하지 않을 수도 없고요. 특정 기관, 단체, 종교와 관련이 있는 출처(홍보 사이트, 보도자료, 유관단체 자료)를 인용할 때에는 잘못된 사실이나 왜곡된 내용이 없는지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정도가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국민일보, 세계일보, 중앙일보처럼 특정 종교, 기업과 관련이 있는 언론사의 경우에는 별도로 뺐으면 합니다. 언론 인용이 다른 출처보다 많은 편이니까요. 특정 종교, 기업에 관련한 내용을 작성할 때, 해당 종교나 기업과 관련된 언론사의 기사를 인용할 때에는 잘못된 사실이나 왜곡된 내용이 없는지 매우 주의해야 합니다 adidas (토론) 2011년 8월 4일 (목) 23:30 (KST) 교차검증사실 교차검증만 거치면 대부분의 출처 논란은 해소된다고 생각합니다. A 출처와 B 출처가 서로 다른 얘기를 하는 경우, 또다른 출처 C, D를 통해 어느 쪽의 의견이 좀더 진실에 가까운지 볼 수 있습니다. 교차검증에 관한 서술이 초반부에 필요하다고 봅니다. adidas (토론) 2011년 8월 5일 (금) 13:35 (KST) 예시 들어주기위키백과 공동체 내에서는 대체적으로 인정되는 출처의 경우, 구체적인 예시로 소개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 페이지를 처음 보는 사람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adidas (토론) 2011년 8월 5일 (금) 13:36 (KST) 시사잡지들은신뢰할 수 없는 출처인 경우일까요? 그러니까 등의 잡지들 중에서 어디까지 신뢰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확정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Ellif (토론) 2011년 8월 5일 (금) 14:32 (KST) 신뢰할 수 있다는 의미가, 내가 신뢰할 수 있다, 개인이 신뢰할 수 있다가 아니라 공신력이 있다는 의미지요. 정부에 정기간행물 등록을 했다는 것 하나로 공신력이 당연히 인정될 수 있다고는 볼 수 없겠지만, 정부에서도 등록취소를 하지 않은 것을, 개인들이 "공신력이 전혀 없다"고 할 수도 없겠지요. 저건 전부 공신력 있는 출처입니다. -- Bonafide2004 (토론) 2011년 8월 5일 (금) 14:38 (KST)
이 페이지의 단축을 추가했습니다.백:신뢰/출처로 부여했으며, 다른 단축으로 옮겨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의견을 달아주세요. - Ellif (토론) 2011년 8월 13일 (토) 21:18 (KST)
해외 기사를 한국어로 번역해 올려놓는 블로그해외의 외국어 기사를 한국어로 번역해 올려놓은 블로그의 경우 출처로 삼을 수 있을까요? 물론 번역본 자체야 원본이 아니니 2차 출처가 되겠지만, 외국어를 읽을 수 없는 독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입니다. 해당 블로그가 원 기자 또는 언론사에게 번역 허가를 받았고, 번역문에도 원본을 링크로 걸어두었다면 출처로 표시할 수 있을까요? (참고 : [3]) --토트 2013년 7월 28일 (일) 18:17 (KST)
출처 목록을 추가하고자 합니다.위키백과:의견 요청/하나님의교회 등의 총의와 토론 상에서의 논의들을 반영해, 조만간 작업에 들어갈 생각입니다. 물론 일반 블로그등의 포스팅에 대해서는 기준 설정 이후 적용하고자 합니다. - Ellif (토론 · ML) 2014년 8월 2일 (토) 09:14 (KST) 출처 추가현재 우리나라의 공공기관 또는 SOC 등의 문서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관보나 관련 고시/공고, 그리고 법령 등을 참고해 작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은 모두 공통점이 "공문서"라는 점인데, 이러한 공문서들에 대한 언급이 어디에도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해서도 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 넣는 것을 제안합니다. 여기에 대한 정부기관 등에서 공식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블로그, 페이스북 페이지, 트위터 등도 포함하는 것은 의견을 묻고 싶습니다.ㅡ커뷰 (토론) 2014년 10월 23일 (목) 16:59 (KST)
수필 제안신뢰할 수 있는 출처가 무엇무엇이 있다고 딱딱 선 그어서 정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우선 본 문서는 이쯤해서 정리된 것으로 하고 정책이나 지침 보다는 수필 틀을 붙여두는 게 좋다고 봅니다.--Leedors (토론) 2015년 4월 2일 (목) 19:09 (KST)
설명 부분 제안문서의 내용은 '신뢰할 수 있는 출처 목록'이라기보다는 '신뢰할 수 있다고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출판사 목록'이라고 하는 것이 옳을 듯합니다. 최근의 신뢰할 수 있는 출처와 관련된 토론으로 '확인 가능'과 '신뢰할 수 있는 출처'의 내용을 다시 보게 되었습니다만, 출처의 신뢰성은 저자와 출판사와 내용, 위키백과 내에서 사용되는 문맥상의 위치에 의해 판별되어야 하고, 출판사는 그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으나 그것만으로 해당 글의 신뢰도를 평가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이러한 있을 수 있는 오해를 방지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간단하게 설명하는 부분을 앞부분에 두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jtm71 (토론) 2015년 8월 6일 (목) 12:44 (KST)
언론 기사 중 바이라인 없는 이른바 "온라인 기사"들대형 언론사를 포함, 언론사 기사 중에 직접 취재를 하지 않고 통신사 기사를 받아적거나, 심지어 타 기사를 베껴 올리는 경우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 삼을때 주의해야 하지 않을까요? 기사가 많다고 중요한 사건이 아닙니다. 클릭을 유도하는 낚시 기사일 뿐입니다. [4] 외. -- ChongDae (토론) 2015년 10월 26일 (월) 18:04 (KST) 지역민방/신문과 교통방송 등 라디오 채널 추가지역민방네트워크에 가맹 9개 지역민방사 뉴스는 SBS와 공동 바이라인을 사용하고 있어 SBS 만큼의 신뢰도를 갖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또 경인방송, 경기방송 등이 OBS와의 형평성을 위해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추가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또 매일신문, 부산일보, 전남일보, 국제신문 등 지역일간지 역시 신뢰도 면에서 최근 비슷한 부분이 많다 할 수 있습니다. (일부 경제지들에 비해) 더욱이 지역 상황과 관련된 사안에서는 이들 신문을 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 활용하는 것이 옳다 봅니다. 또한 최근 김어준의 뉴스공장을 통해 영향력이 커진 교통방송 역시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포함되어야 한다 봅니다. 어떠신지요? --trainholic (T, C) 2017년 7월 18일 (화) 06:54 (KST)
신천지와 천지일보당사자가 신천지와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부인하건 말건, 해당 언론이 신천지교에 유리한 사실만 잔뜩 싣는 것은 거의 모든 사람들이 아는 바입니다. 영어 위백 이용자들이 영국 데일리 메일의 인용을 금지하기로 결의했듯, 천지일보도 인용을 원천 차단해야하는거 아닙니까? JSH-alive (토론) 2018년 3월 9일 (금) 01:30 (KST)
더 이상의 논의가 없는 만큼, 총의가 형성된 것으로 보고 기여하겠습니다. - Ellif (토론) 2018년 9월 28일 (금) 22:07 (KST) 논란이 있는 출처에 대해신뢰할 수 있는 출처는 가급적 논란이 없어야지요..조선일보 한겨레 같은 대형 일간지들도 정파 논란, 공정성 시비가 있는데 하물며 인터넷 매체들은 두말 할 필요가 없지요..여기선 논란 있는 출처도 허락하는 분위기 인데 아시다시피 오마이뉴스나 민중의소리 김어준의 뉴스공장 등은 대표적 좌파 매체이고 뉴데일리는 대표적 우파 매체입니다.. 서로 입장이 극명하게 갈리며 좌파나 우파는 서로 이들 매체를 동원하여 자신의 정적 흠집내기에 사용하겠지요..논란 있는 출처는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 인정해선 안될 것입니다..저들 인터넷 매체들을 허락하게 되면 나중엔 ㅍㅍㅅㅅ나 인사이트, 뉴스앤조이, 또 여러 신생 매체들도 신뢰할 수 있는 매체로 끼워야한다고 나올 것이고, 그 후론 극도로 혼란해 질 수 있습니다..실제로 《창조과학회》같은 문건의 경우 이런 신뢰할 수 없는 출처를 근거로 문서의 대부분이 작성되었음에도 이를 지적하는 사람이 없더군요..오히려 이를 지적하고 항의한 분은 영구 차단 당하셨고요..신뢰할 수 있는 출처는 위키백과가 절대 양보해선 안되는 엄격함 입니다..신뢰할 수 있는 출처로는 언론 매체로는 10대 일간지와 공중파 방송, 그리고 학술논문 정도로 엄격하게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 이 의견을 2019년 10월 30일 (수) 14:53에 작성한 사용자는 신비한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Ellif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의견을 남기실 때에는 항상 의견 끝에 띄어쓰기를 하고
팩트체크 전문 매체와 팩트체크팩크체크 전문 매체의 경우에는 그 자체로 신뢰성이 충분히 높다고 판단해서 제가 알고있는 몇몇 팩트체크 전문 매체를 신뢰할 수 있는 출처 목록에 추가했습니다. 추가하고 나니 이 수필에 "일반적인 경우, 팩트체크 기사는 다른 기사보다 더욱 신뢰할 수 있습니다."와 같은 서술을 추가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에 대해 다른 사용자 분들의 의견을 알고 싶습니다.--Dennisnam03 (토론) 2020년 11월 1일 (일) 16:07 (KST) 신뢰할 수 있는 출처 추가KBS 소속인 크랩 KLAB, MBC 소속인 14F, SBS 소속인 비디오머그, 국민일보 소속인 취재대행소 왱과 저명한 해외 언론(CNN, 폭스 뉴스)을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추가해도 될까요? --Answerer 5do 👻 2020년 11월 7일 (토) 23:22 (KST) 일베를 옹호한 매체인 미래한국을 신뢰할 수 없는 출처로 추가하는데 총의를 모으고자 합니다.https://news.v.daum.net/v/20200410001152508 에 따르면, 미래한국은 2014년 광화문에서 벌어진 ‘일베 폭식 투쟁’에 대해 “기성세대는 감히 발상조차 할 수 없는 논리적인 투쟁 방식”이라고 평가하고, 일베가 차기 보수정권 재창출의 최전선에 서게 될 것이라 하였습니다. 이처럼 미래한국이 일베를 옹호하고 극우적 색채를 띄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신뢰할 수 없는 출처'로 추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데니스3 (토론) 2021년 6월 25일 (금) 18:45 (KST) 일베를 옹호하고 극우적 성향을 띈 점을 논란이 되는 정도가 심하다고 해석하여 '신뢰할 수 없는 출처'에 추가했습니다. 본래 총의를 모으고자 했지만 세 달 넘게 아무런 의견이 달리지 않았고 제 편집이 논란의 여지가 크지 않다고 봐서 총의 없이 편집을 했습니다. 미래한국이 신뢰할 수 없는 출처라는데 동의하지 않는 분이 있다면, 이 아래에 의견을 남겨주세요.--데니스3 (토론) 2021년 9월 29일 (수) 20:32 (KST) 뉴스타파가 신뢰할 수 있는 출처?뉴스타파가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 있고 오마이뉴스, 데일리안 등이 논란이 있는 출처라고 적혀있는데 이게 맞나요? 뉴스타파보다 오마이뉴스, 데일리안이 더 영향력이 클텐데요? Kid990 (토론) 2022년 7월 28일 (목) 19:02 (KST)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