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토론:화학
single template? row template?어느 쪽이 좋을까요?
en:Template:Element - 이게 single template로 화학 원소 정보를 구현한 것이고, 아래처럼 표의 각 줄마나 template를 사용하는 걸 row template라고 합니다. 각각 장단점이 있습니다. -- ChongDae 2005년 6월 27일 (月) 18:58 (UTC)
머리말
템플릿 이름 번역?굳이 해야 할까요? 그냥 영문 template 이름을 그대로 쓰는게 옮기는 수고를 덜 수 있을 듯 싶네요. -- ChongDae 2005년 6월 29일 (水) 07:36 (UTC)
양쪽성 원소poor metal에 대해 더 나은 용어 없나요? -- ChongDae 2005년 6월 29일 (水) 08:21 (UTC)
화합물 이름영어계 접두어와 한자어 접두어중 어떤것을 쓸지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고 보며, 이산화탄소같은경우는 띄어스기를써서 이산화 탄소로 쓰는 경우는 적고 양의 산화수를 가지는원소의 산화수를 이용하여 표기할때 이산화 탄소를 산화탄소(IIII)로 쓰는 사람도 없고 이산화질소와 사산화이질소는 구별할수 없기에 한쪽기준으로 위키백과에서 사용할 화합물이름을 정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위키백과에서 사용할 이름을 토의를 거쳐 하나로 규정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화합물 이름을 규정해야 할까요? 그리고 이 프로젝트에서 참고하는 규정도 이러한 문제점이 있어 화합물 이름을 일치시키기 어렵습니다. 어쩧게 해야 할까요?221.149.59.60 2007년 1월 17일 (수) 13:34 (KST)
화학 결합원소 정보도 중요하지만, 한글 위키백과가 다른 언어 위키백과에 비해 화학 결합 정보에 대한 문서가 부족합니다. 지금까지 한글 위키백과에 나온 것이라봐야, 화학 결합, 수소 결합, 공유 결합, 펩타이드 결합, 전기 음성도 뿐입니다. 화학 결합 관련 이런 문서를 더욱더 제작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Hkh4834 2007년 12월 30일 (일) 18:26 (KST) [띄어쓰기] 용어에 대해 띄어쓰기를 지켜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위키백과사전도 사전이니 만큼 사전의 원칙을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공유결합'은 복합명사 또는 합성어로 봐야 하지 않을까요? 따라서 엄밀히는 '공유 결합'과 의미가 다른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띄어쓸 때는 두 개의 과정, 이중의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죠. 하지만 공유결합은 여러 결합 방식 중에 하나로서 한 과정을 말하기 때문에 띄어쓰지 않고 복합 명사로 쓰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네이버 국어사전에서 검색해 보면 국립국어원에서 복합 명사의 띄어쓰기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복합 명사는 하나의 단어가 된 것이므로, 음절 사이를 띄어서 쓰지 않습니다. 보기로 드신 것 가운데 '공중전화'가 이에 해당하는 예입니다. 반면 '추락 사고, 고장 신고' 등은 복합 명사가 아니므로, 각각의 단어를 띄어 쓰시면 됩니다.' -2014년 12월 4일심온 2014년 12월 4일 (목) 17:39 (KST) 틀:분자 정보틀토론:분자 정보에 분자 정보 틀에 붙어있는 ‘면책 조항’을 없애자는 의견을 냈습니다. 관심있는 분의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 --정안영민 2007년 12월 31일 (월) 21:47 (KST) 참고 자료안녕하십니까. 화학 원소 틀 맨 밑에 링크 되어 있는 참고 자료 문서의 용도는 무엇인지요? 쟈본 2008년 3월 2일 (일) 04:33 (KST) 참가자에 대해서문서에 보면 참가자라는 항목이 있는데, 아무도 적혀있지가 않습니다. 현재 활동중인 분들이 계신건가요, 아니면 안 계신건가요?--..TTT.. (토론) 2008년 5월 26일 (월) 00:32 (KST)
효리님과 산토끼님산토끼님은 참가자 목록에 열심히 올리고 효리님은 열심히 또 지우고 계시는군요, 그런데 토론페이지에는 말도 없고 뭐하자는 건지 모르겠습니다. 효리님은 지운 이유로 WP:UNPY를 언급하셨는데 그게 뭔가요? 지금 대충 보니 산토끼님이 예전에 차단당한 사용자이신 것 같은데 다시 반달행위 등을 했다면 차단을 하고 지우시고, 차단되지 않은 사용자라면 단순히 참가자 이름을 쓴 것에 그렇게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가 있습니까? ☞ Truelight (토론 • 기여) 2008년 6월 28일 (토) 02:56 (KST) 앙투안 라부아지에-초년(물의 흙으로의 변화)에서 내용이번에 대문에 소개 된 앙투안 라부아지에서 초년의 물의 흙으로의 변화에서 '과학자들은 식물이 물만으로도 자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는데' 이런 말이 있는데. 상식적으로 식물은 물만으로 생존할 수 없습니다. 이 내용을 '과학자들은 식물이 물만으로도 자랄 수 있다고 믿고 있었는데'식의 수정은 어떨까요?--222.105.173.239 (토론) 2008년 8월 17일 (일) 16:31 (KST)
혹시 글 작성자이신가요? 글 작성자나 참여자이시다면 저의 본의 아닌 태클(?)이 기껍지 않게 들리겠지요. 저의 글이 님의 기분에 언짢게 해드렸다면 죄송합니다. 그리고 저는 단지 이러이러하면 안되나요?라고 의견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제가 맘대로 수정해도 될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222.105.173.239 (토론) 2008년 8월 17일 (일) 16:54 (KST)
아 그러가요.. 그래도 제가 수정한다는게 내키지 않네요..혹 저의 상식이 틀릴 수도 있고요. 다른 내용 같은 부분의 본문에서 '고체가 남으며, 이것이 물이 면화한 흙이라고 주장하였다' 여기서 면화의 뜻이 뭔가요? 국어사전 찾아보니 면화라는 뜻이 이 문장에 어울리지 않는 것 같던데...혹 변화의 오타인가요?? 제가 화학은 잘 못해서 그런데...혹 화학 용어인가요?--222.105.173.239 (토론) 2008년 8월 17일 (일) 17:11 (KST)
수정된 것 같습니다..화학에 문외한이지만 어느정도의 이해가되네요.--222.105.173.239 (토론) 2008년 8월 17일 (일) 17:21 (KST) 화합물 이름 이산화탄소이산화탄소가 위키백과에서는 이산화 탄소로 되어 있습니다. 화합물 이름을 띄어 쓰도록 하고 있나요? (참고로 한글 맞춤법에서는 화합물 이름은 붙여쓰기를 합니다.) --Knight2000 (토론) 2008년 10월 19일 (일) 21:44 (KST)
대한화학회에서도 많이 헛갈리는듯 합니다. 예를 들어 '이중결합'을 2013년 무기화학, 유기화학 화합물 명명법과 화학술어집에서도 '이중 결합', '이중결합'을 섞어서 쓰고 있습니다. '공유결합', '수소결합'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이럴 바엔 대한화학회의 명명법보다는 한글 맞춤법을 따르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심온 2014년 12월 5일 (금) 16:20 (KST) 검증 부탁드립니다Conjugation란게 화학적 용어인지, 그리고 저렇게 쓰는것이 맞는지 알고 싶어서 올렸습니다. --책읽는달팽(대화) 2009년 12월 25일 (금) 01:57 (KST) {{원소 정보}}현재의 각 원소 정보 틀들은 하위 틀을 이중으로 쓰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이를 통합한 새로운 {{원소 정보}} 틀을 이용하여 보다 간소화하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많은 도움을 주신 IRTC1015님께 감사드립니다.)--아들해 (토론) 2010년 1월 19일 (화) 16:53 (KST)
얘네들 만들어진 목적을 도통 이해 못하겠습니다. 2008년 기록을 보면 원자의 분자량이나 이온, 원자번호 등을 표시하려고 만든 것같은데 <math>로도 충분히 입력할 수 있는 거 아닌가 싶네요. {{산소|2|-|3}}로 표현한 결과는 3O2-으로 나타나고, 수식입력기능을 이용하면 <math>^3 O_2 ^- </math>로 했을 때 로 나타납니다. 거의 차이가 없는데도 굳이 이러한 틀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원소기호에 링크를 걸기 위해서인가요? --Teflotax (토론) 2010년 2월 1일 (월) 06:35 (KST) 셀룰로스/셀룰로오스대한화학회 편수 자료를 보는데, 유기화합물은 원칙이 애매하군요. Cellulose가 탄수화물 영역에는 "셀룰로스"를, 고분자 영역에는 셀룰로오스가 관용명이라고.. :( -- ChongDae (토론) 2010년 3월 20일 (토) 01:58 (KST) 염산 문서의 좋은글 후보 토론에 참여해 주셨스면 감사하겠습니다. → 위키백과:좋은 글 후보/염산 --Ho949494•토론•기여•메일 2011년 1월 20일 (목) 08:52 (KST) 알칼로이드 문서에 도움을 요청함.혼자 번역하려니 힘들군요. 화학프로젝트에서 도와주셨으면 합니다. 특히 알칼로이드의 이름들을 한글화하는데 도움이 절실합니다. --島一片(talk·contribs) 2011년 1월 30일 (일) 18:45 (KST) 동위원소의 정의영영사전을 보고 안 것입니다만, 동위원소의 정의는 "한 원소이면서 서로 다른 원자량을 가지는 둘 이상의 형태들 가운데 하나" 라고 정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사전과 한국 위키백과에 "원자 번호가 같지만 원자량이 다른 원소"로 되어 있는데, 이는 동위원소가 아닌 원소가 있는 것을 전제로 한 것입니다. C-12도 한 동위원소이듯이, 동위원소가 아닌 원소가 없기 때문에 이런 정의는 잘 못 되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Shoebuti (토론) 2012년 3월 6일 (화) 00:33 (KST)
프로젝트 반스타반스타는 화학분야에 크게 기여한 사람에게 주는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는데, 정확하게 화학 문서 편집 활동에 크게 기여한 사람을 뜻하는 것입니까? 아니면 진짜 화학계에 큰 과학적 업적을 남긴 사람에게 주는 것을 뜻합니까? Jsm364 (토론) 2014년 12월 24일 (수) 00:18 (KST) Free 'RSC Gold' accountsExcuse me please for writing in English. I am pleased to announce, as Wikimedian in Residence at the en:Royal Society of Chemistry, the donation of 100 "RSC Gold" accounts, for use by Wikipedia editors wishing to use RSC journal content to expand articles on chemistry-related topics. Please visit en:Wikipedia:RSC Gold for details, to check your eligibility, and to request an account. Pigsonthewing (토론) 2015년 1월 10일 (토) 03:56 (KST) 있는 화합물 문서가 많이 빈약하다는 생각이 드네요.흔한 화합물인 산화 철(III)을 보니 봐줄 수 있는 토막글의 한계를 넘어섰다 싶어서요. 채울 수 있는 대로 채우긴 하겠습니다만... -&bahn (반월) (話) 2015년 3월 31일 (화) 22:53 (KST) 아이오딘화은 내용좀 추가 부탁해요..제가 문서를 만들었긴 했는데 화학을 잘 몰라서 좀 도와주세요 -- 이 의견을 2017년 3월 1일 (수) 23:09 (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Jangg8962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ㅂㄱㅇ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대한화학회의 표기법중 사회적, 학술적으로 전혀 받아들여지지 않는 부분을 예외로 프로젝트 지침에 명시현재 프로젝트의 명시적, 묵시적 정책은 구조에 따라 화합물의 명명한 이름, 일반적인 이름은 화학회 표기를 따르는 것이고 (위키프로젝트:화학/문서 편집 지침), 예외적으로 약품의 일반명등은 프로젝트 지침에는 명시되지 않았으나 약이름이니만큼 당연히 약학계의 한글 표기법 원칙을 따르고 있습니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경우도 약품명과 비슷하게 취급됩니다), 다만, 약품이라도 화학적인 구조에 의해 체계적으로 명명된 이름은 대한화학회 표기법을 따릅니다. 그런데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의 표기관행과 외부의 표기관행이 완벽하게 일치하고, 대한화학회의 규정과는 다르며, 대한화학회식 표기는 거의 쓰이지 않는 화합물이 여럿 있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이붕화 레늄, 이붕화 마그네슘, 탄화 규소와 같이 -소(-素)로 끝나는 원소가 음성을 띈 무기화합물은, 수소화물만 아니면 소를 생략하는 것이 중고등학교의 화학교재에서 가르치는 원칙이고, 널리 쓰이는 표기입니다. 그런데 대한화학회에서 무기화합물 표기법을 정비하면서, 염소와 산소만 아니면 소를 모두 살리도록 제정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탄화수소는 유기물이므로 이에 영향받지 않습니다) 그래서 예시에서 SiC를 탄소화 규소로 쓰고 있었습니다. (1번, 2번 링크) 그러나 물리학계에서 붕화물은 초전도체에 관련되어 주목을 받는 물질인데 붕화라는 말은 쓰지만 붕소화라는 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고, 탄화물(카바이드)또한 탄화물이란 말은 잘만 쓰이고 국어사전에도 실려있지만 탄소화물이라는 표현은 거의 쓰이지 않으며, 질화물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재료학계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세라믹 관련된 탄화 규소, 질화 규소에서도 대한화학회의 표기인 탄소화 규소, 질소화 규소는 어느 학계에서든 산업계에서든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일반인이야 더말할거 없습니다. 따라서 다른 학계와 교육계, 산업계에서 수소화물이 아닌 한 소를 생략하는 것이 올바른 것으로 받아들이고 압도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프로젝트 지침을 수정하여 '수소화물이 아닌 한 소를 생략한다'를 명시해 예외적으로 이붕화 레늄, 이붕화 마그네슘, 탄화 규소, 질화 규소 같은 물질은 대한화학회의 표기를 따르지 않음을 밝히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223.38.22.9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테트라플루오린화 vs 사플루오린화위와 비슷한 일인데요. 대한화학회에서는 영어 원소명 앞에서는 그리스어 접두어를 쓰라고 하고 있지만 X화물, X화 접두사Y 이런 꼴의 화합물에서 관용적으로 이를 무시하고 한자 숫자를 사용한 표기가 몇배 더 널리 쓰이고 있었습니다. 현재 한국 위키백과 대부분의 문서는 대한화학회 원칙과 다르게 한자숫자를 따르고 있습니다. 다만 이거는 화학회식 표기도 어느정도 쓰이는 만큼, 윗문단과 달리 꼭 관용을 따를 필요는 없고 대한화학회를 따르는게 좋을지, 아니면 통용 표기를 써서 한자숫자를 사용할지 토론이 필요합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223.38.22.9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추가하였습니다. 틀:화합물 정보를 영어 위키백과 식으로 바꿀 때 호환성 문제현재 화합물 정보상자가 영어 위키백과보다 많이 빈약하다고 생각되어 en:Template:Chembox를 가져오려 합니다. 필요한 틀 생성은 거의 끝났고 번역은 차차 할 예정인데, 원래 쓰던 화합물 정보상자와 호환이 안 될것 같습니다.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봇이라도 돌려야 할까요... (한국어로 제작 중인 틀은 틀:화합물 정보/연습장에 있습니다. 테스트 결과는 틀:화합물 정보/시험장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친절한사용자 (토론 / 기여) 2020년 3월 17일 (화) 16:05 (KST)
하이탑 표절이 의심되는 문서완충 용액 문서가 하이탑 표절인지 살펴주세요. --TulipRose2 (토론) 2021년 5월 8일 (토) 13:22 (KST)
산과 염기 틀에서의 출처 미표시산, 염기, 중화 반응, 전기화학 등 산 염기 관련 화학 문서의 각주가 하나도 달려 있지 않습니다. 각주를 확인하실 수 있으신 분은 적어주시면 좋겠습니다. 추가로 번역체(과도한 콤마 사용, 과도한 따옴표 사용)가 주로 사용되었고, 산의 경우 어원에 대해 라틴어 어원을 가져오는 등 번역이 의심되는 징후도 보입니다. |
Portal di Ensiklopedia Du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