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주받은 병사들

저주받은 병사들
Żołnierze wyklęci
1947년 2월 반공주의 지하조직 "저주받은 병사들"의 모습. 왼쪽부터 헨리크 비브라노프스키(가명 '타잔', 1948년 11월 사망), 에드바르트 타라슈키에비치('젤라즈니', 1951년 10월 사망), 미에치스와프 마웨츠키('소쿠', 1947년 11월 사망), 스타니스와프 파쿠와('크셰비나')
활동 기간1944년~1947년
국가폴란드
충성폴란드 (폴란드 망명정부)
역할폴란드 지하국가이자 폴란드 망명정부의 군대
규모전성기 대략 15만~20만명.[1]
1947년 폴란드 사면령 이후 200~400명 활동 추정[2]

저주받은 병사들(폴란드어: żołnierze wyklęci 조우니에제 비클렝치[*]) 또는 불굴의 병사들(폴란드어: żołnierze niezłomni 조우니에제 니에즈웜니[*])[3]제2차 세계 대전 말과 그 여파 시기 폴란드 지하국가의 구성원이 형성한 반소-반공주의 폴란드 저항운동 조직이다. "저주받은 병사들"이라는 말은 1990년대 들여오기 시작된 말로[4] 그 전까지는 완고한 병사들(diehard soldiers)이라 불렀다.

이 비밀조직은 1950년대에도 교도소와 국영 국가보안국 건물, 정치범 구금시설, 전국에 설치된 강제수용소를 공격하는 등 폴란드 공산정부에 대항해 유격전을 펼치며 무장 투쟁을 이어갔다. 대부분의 폴란드 반공단체는 1950년대 후반 폴란드 공안부와 소련 내무인민위원부(NKVD) 요원에 쫓겨 사라졌다.[5] 마지막으로 알려진 "저주받은 병사"인 유제프 프란차크는 1963년 기습으로 사망했다.[6][7]

스탈린주의 시기 폴란드에서 활동한 잘 알려진 반공 폴란드 조직으로는 자유와 독립 협회(WIN), 폴란드 민족군(NSZ), 민족군사연합(NZW), 지하 폴란드군(KWP), 국내군 저항운동(ROAK), 시민국내군(AKO), 독립(NIE), 폴란드 대표군(DSZ), 자유와 정의 협회(WiS)가 있다.[7]

다른 중부유럽 국가에서도 비슷한 반공 단체 반란이 발생했다. 한편 "저주받은 병사들"의 개별 병사 혹은 소속 부대가 폴란드 내 영토에서 유대인이나 기타 소수민족 또는 민간인에 대한 전쟁범죄에 어느 정도 관여했는지 대해서가 논쟁이다. 이 주제에 대해선 보통 병사들의 신용을 떨어뜨리기 위한 공산주의적인 선전으로 일부 혹은 전체가 조작되었다거나 진짜 희생자는 공산당에 협조했거나 관여했기 때문에 살해당했으며 그들의 민족성이 사망과 관련이 없다는 주장 등이 대부분의 반응이다.[8][9]

주요 전투

같이 보기

각주

  1. Atlas polskiego podziemia niepodległościowego 1944–1956, Warszawa–Lublin 2007, s. XXXIII.
  2. Sławomir Poleszak, Rafał Wnuk: Zarys dziejów polskiego podziemia niepodległościowego 1944–1956. W: Atlas polskiego podziemia niepodległościowego 1944–1956. Wyd. 1. Warszawa – Lublin: IPN, 2007, s. XXII–XXXVIII. ISBN 978-83-60464-45-8.
  3. “1st of March - "Indomitable" Soldiers National Remembrance Day”. 《www.msz.gov.pl》. 
  4. "Od wyklętych do Smoleńska: jak - i po co - PiS przepisuje najnowszą historię Polski?", and interview with professor Rafał Wnuk
  5. Tennent H. Bagley (2007). 《Spy wars: moles, mysteries, and deadly games》. Yale University Press. 120쪽. ISBN 978-0-300-12198-8. 2011년 5월 24일에 확인함. puppet government they had set up formally disbanded the AK. 
  6. “Żołnierze wyklęci: Antykomunistyczne podziemie po 1945 roku”. Muzeum Podkarpackie, Krosno. 2007. 2007년 5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29일에 확인함. w 50 lat po zamordowaniu członków IV Zarządu Głównego Zrzeszenia Wolność i Niezawisłość   (폴란드어)
  7. Agnieszka Adamiak, Oddziałowe Biuro Edukacji Publicznej (2001). “Żołnierze wyklęci. Antykomunistyczne podziemie na Rzeszowszczyźnie po1944 roku”. 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 2012년 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29일에 확인함.   (폴란드어)
  8. Engelking, Barbara; Leociak, Jacek; Libionka, Dariusz (2006). 《[Zagłada Żydów. Pamięć narodowa a pisanie historii w Polsce i we Francji》 (폴란드어). Maria Curie-Skłodowska University. 195쪽. ISBN 9788322724323. 
    • Siegień, Paulina; Siegień, Wojciech (2020년 2월 24일). “An unwanted march: Polish nationalists honour anti-communist partisans accused of war crimes”. Notes from Poland. 2023년 3월 22일에 확인함. "I very much appreciate the actions of Romuald 'Bury' Rajs," one participant in the march, Wiesław Bielawski, tells us. [...] "Bury was one of the greatest Polish heroes of the postwar period. He and his troops fought communists, managed to eliminate communist party cells, fought people collaborating with communists, executed traitors to the Polish nation." Asked if civilians killed in 1946 were traitors to the Polish nation, Bielawski and his friends argue that civilians died only because they did not obey the orders of Bury's soldiers. Why did Bury burn one of the villages? Because this property served traitors to the Polish nation. 
  9. Koschalka, Ben (2020년 3월 2일). “Poles should be willing to die for their country like the "cursed soldiers", says PM”. Notes from Poland. 2023년 3월 22일에 확인함. But commemoration of the cursed soldiers also often stirs controversy, given that among the undisputed heroes, such as [Witold] Pilecki, are some figures who have been found responsible for the killing of civilians, including from ethnic minorities such as Jews and Belarusians. 
    • Tilles, Daniel (2021년 3월 3일). “Controversy over state commemoration of Polish anti-communist partisan accused of war crimes”. Notes from Poland. 2023년 3월 22일에 확인함. But many in Poland – particularly on the political right – regard [Zygmunt] Szendzielarz as a hero for his role in fighting the wartime German occupiers and postwar communist authorities, who executed him in 1951. They often argue that the reputation of the cursed soldiers was deliberately and falsely tarnished by the communists. "The communists considered Szendzielarz one of their greatest opponents," said Piotr Niwiński, a historian at the University of Gdańsk, quoted by the Polish Press Agency (PAP). "[So] they tried to annihilate him not only physically but also through propaganda, blaming him for many crimes." 
    • Tilles, Daniel (2022년 2월 9일). “Opposition MPs walk out as Polish parliament honours resistance fighter accused of war crime”. Notes from Poland. 2023년 3월 22일에 확인함. 
    • Tilles, Daniel (2023년 3월 22일). “Jewish leaders condemn Polish coin honouring WWII partisan accused of murdering Jews”. Notes from Poland. 2023년 3월 22일에 확인함. On its website, the 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 (IPN) [...] defends [Józef] Kuraś's legacy. It argues he has been unfairly portrayed as a murderous antisemite due to the lasting effect of communist propaganda, which sought to sully the name of the cursed soldiers. The IPN admits that "Jews died at the hands of the [Polish] underground". However, this was not because they were Jews, but because "of their service in the [communist] organs of repression, Polish Workers' Party or cooperation with the Department of Security". 

참고 문헌

  • Jerzy Ślaski, Żołnierze wyklęci, Warszawa, Oficyna Wydawnicza Rytm, 1996
  • Grzegorz Wąsowski and Leszek Żebrowski, eds., Żołnierze wyklęci: Antykomunistyczne podziemie zbrojne po 1944 roku, Warszawa, Oficyna Wydawnicza Volumen and Liga Republikańska, 1999
  • Kazimierz Krajewski et al., Żołnierze wyklęci: Antykomunistyczne podziemie zbrojne po 1944 r., Oficyna Wydawnicza Volumen and Liga Republikańska, 2002
  • Tomasz Łabuszewski, Białostocki Okręg AK- AKO : VII 1944-VIII 1945 (Warszawa: Oficzna Wydawnicza Volumen and Dom Wydawniczy Bellona, 1997)
  • Zrzeszenie “Wolność i Niezawisłość” w dokumentach, 6 vols. (Wrocław: Zarząd Główny WiN, 1997–2001)
  • Zygmunt Woźniczka, Zrzeszenie “Wolność i Niezawisłość” 1945-1952 (Warszawa: Instytut Prasy i Wydawnictw “Novum” – “Semex”, 1992)
  • Marek Latyński, Nie paść na kolana: Szkice o opozycji lat czterdziestych (London: Polonia Book Fund Ltd., 1985)

외부 링크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