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배숙

조배숙
출생1956년 9월 10일(1956-09-10)(68세)
대한민국 전라북도 이리시
성별여성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국적대한민국
본관임천
학력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학사
직업법조인(검사판사→변호사)
경력민주평화당 당대표
종교개신교
소속위원회법제사법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의원 선수5
의원 대수16·17·18·20·22
정당국민의힘
지역구
당내 직책
  • 전북특별자치도당 위원장
  • 호남동행특별위원회 위원장
웹사이트공식 사이트

조배숙(趙培淑, 1956년 9월 10일~)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출신 정치인이다. 제16·17·18·20·22대 국회의원이다. 익산 출생이다.

생애

검사와 판사를 지내고, 변호사로 활동하며 제16대 국회에 새천년민주당 비례대표로 정계에 입문했다. 열린우리당 소속으로 제17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전북 익산 을), 대통합민주신당에 합류했다. 16대 의원 시절, 성매매 특별법을 대표발의한 바 있다. 2002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노무현 대통령 후보의 경쟁력에 문제를 제기하며 정몽준 후보와 단일화를 추진했던 '후보단일화협의회(후단협)'의 일원으로 활동했다.[1]

2007년 대선에서는 비친노 대선주자 만들기 노선을 걷던 김한길, 강봉균과 함께 열린우리당을 선도 탈당하여 대통합민주신당에 합류했다.[2] 대통합민주신당이 새천년민주당과 합당하여 통합민주당으로 개칭하면서, 2008년 4월 9일 제18대 총선거에서 통합민주당 소속 지역구 후보로 당선되었다.(전라북도 익산시)

2012년 총선에서는 전정희와의 경선에서 정치신인 가산점 때문에 패배하였다. 불복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민주통합당 공천을 받은 전정희에게 패하였다. 2012년 대선에서는 야권 후보 단일화 국면에서 민주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후보 중 지지대상을 택할 수 있는 자율선택권을 당에 요구하며 집단행동에 나서 파장을 일으켰다.[3]

2015년 4.29 보궐선거에서는 당 후보가 있음에도 무소속 정동영 후보의 선거를 도왔다가 새정치민주연합 윤리심판원으로부터 1년간 자격정지의 징계를 받았다. 이어 12월에는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했다.[4]

2016년 국민의당 소속으로 제20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가 2018년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통합에 반대하여 국민의당을 탈당하고, 민주평화당을 창당하여 초대 당대표를 역임하였다. 이후 국민의힘에서 전라북도지사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하였다.

2024년 2월, 국민의미래로 당적을 옮겨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비례대표 공천에 도전했으나 35번 내의 비례대표 후보자 명단에 포함되지 않으며 컷오프되었다. 하지만 이후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후보자들의 자질 논란과 호남·당직자 홀대론이 빚어지자 비례대표가 조정되었고, 재조정된 비례대표에서 당선 안정권으로 평가받는 13번을 받았다.

이후 22대 총선에서 국민의미래 후보가 18번까지 당선되면서 국회 재입성에 성공하였다. 이로써 무려 5선 중진이 되었다.

2025년 5월 14일에는 국회 소통관에서 전한길 등의 '부정선거, 신의 작품인가' 영화 제작진과 함께 연 기자회견에서 이미 헌법재판소에서 타당하지 않다고 판결된 21대 총선 부정선거 음모론을 주장했다.[5]

학력

경력

역대 선거 결과

실시년도 선거 대수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2000년 총선 16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새천년민주당 6,780,359표
35.90%
비례대표 23번 초선, 승계
2004년 총선 17대 국회의원 전북 익산시 을 열린우리당 46,078표
66.82%
1위 재선
2008년 총선 18대 국회의원 전북 익산시 을 통합민주당 28,459표
54.91%
1위 3선
2012년 총선 19대 국회의원 전북 익산시 을 무소속 18,511표
28.35%
2위 낙선
2016년 총선 20대 국회의원 전북 익산시 을 국민의당 34,201표
46.10%
1위 4선
2020년 총선 21대 국회의원 전북 익산시 을 민생당 12,302표
15.60%
2위 낙선
2022년 지방 선거 36대 도지사 전라북도 국민의힘 128,828표
17.88%
2위 낙선 민선 8기
2024년 총선 22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국민의미래 10,395,264표
36.67%
비례대표 13번 5선

소속 정당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새천년민주당 2000~2003 정계 입문
무소속 2003 탈당
열린우리당 2003~2007 창당
무소속 2007 탈당
중도개혁통합신당 2007 창당
중도통합민주당 2007 합당
무소속 2007 탈당
대통합민주신당 2007~2008 창당
통합민주당 2008 합당
민주당 2008~2011 당명 변경
민주통합당 2011~2012 합당
무소속 2012~2014 탈당
새정치연합 2014 창당준비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2014~2015 창당
무소속 2015~2016 탈당
국민회의 2016 창당준비위원회
국민의당 2016~2018 합당
무소속 2018 탈당
민주평화당 2018~2020 창당
민생당 2020~2022 합당
무소속 2022 탈당
국민의힘 2022~2024 입당
무소속 2024 탈당
국민의미래 2024 입당
국민의힘 2024~현재 합당

같이 보기

각주

  1. 김보협 기자 (2003년 10월 21일). ““당신들은 왜 남아 있는가””. 한겨레21. 2016년 3월 19일에 확인함. 
  2. 사먼나 (2015년 5월 15일). ““김한길, 당적 6개월 동안 4번 바꾼 변절자””. 네이버 블로그. 2016년 4월 3일에 확인함. 
  3. 서울 연합뉴스 (2012년 11월 16일). “민주, 2002년 `후단협 악몽' 재현?”. 연합뉴스. 2016년 3월 19일에 확인함. 
  4. 박지경 기자 (2015년 12월 8일). “새정치 탈당 조배숙 전의원 참여”. 광주일보. 2016년 4월 3일에 확인함. 
  5. '부정선거' 군불? 조배숙·전한길 "이번에도 사전투표가…". 2025년 5월 14일. 2025년 5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전임
유성엽
제3대 민주평화당 원내대표
2019년 8월 19일~2020년 2월 24일
후임
(없음)
제1대 민주평화당 당대표
2018년 2월 6일~2018년 8월 5일
후임
정동영
전임
김성식
제3대 국민의당 정책위원회 의장
2016년 12월 29일~2017년 5월 15일
후임
이용호
Prefix: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0 1 2 3 4 5 6 7 8 9

Portal di Ensiklopedia Dunia

Kembali kehalaman sebelumnya